본문내용
1.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쓰기 유형 분석
1.1. 서론
'한류'1990년대 말부터 아시아에서 일기 시작해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 한국 대중문화의 열풍을 일컫는 말이다. 2010년대에 이르러서 한국의 대중음악, 영화, 드라마, 게임 등이 아시아를 넘어 중남미와 북미권, 유럽까지 정착하고 있어 한류는 세계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대한민국의 문화가 널리 퍼져감에 따라 외국인들은 한국에 대한 다양한 관심을 내보이며 한류를 받아들이고 있다. 한국 문화를 받아들이고자 하는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는 또 하나의 기대의 대상이 되었으며, 한국어 교육이 단순히 한국어를 알고 싶어 하는 일반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결혼 이민자, 학문 목적, 직업 목적의 학습자들이 계속 늘어남에 따라 그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과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국립국제교육원이 시행하는 한국어 시험이며, 다음과 같이 토픽의 쓰기 유형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1.2. 한국어 능력 시험 정보
한국어 능력 시험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과 재외동포의 한국어 학습 방향 제시 및 한국어 보급 확대를 목적으로 한다. 1991년 한국학술진흥재단에서 시작하여 2011년부터는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주관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36개 대학, 국외에서는 70여 개국 200여 개 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다. 한국어 사용 능력을 측정·평가하여 그 결과를 국내 대학 유학 및 취업에 활용하며, 응시 대상자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재외동포 및 외국인으로서 한국어 학습자 및 국내 대학의 유학 희망자 또는 국내외 한국 기업체나 공공기관 취업을 희망하는 자, 또는 외국 학교에 재학하거나 졸업한 재외국민이다. 시험 점수는 성적 발표일로부터 2년간 유효하다.
1.3.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영역 평가 범주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영역 평가 범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문항 51-52번에서는 내용 및 과제 수행, 언어 사용 능력을 평가한다. 제시된 과제에 맞게 적절한 내용으로 썼는지, 어휘와 문법 사용이 정확한지를 확인한다.
문항 53-54번에서는 내용 및 과제 수행, 글의 전개 구조, 언어 사용 능력을 평가한다. 주어진 과제를 충실히 수행하였는지, 주제와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하였는지, 글의 구성이 명확하고 논리적인지, 문법과 어휘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사용하였는지 등을 확인한다.
특히 53번 문항에서는 제시된 시각 자료를 이해하고 주제에 대해 서술하는 능력을, 54번 문항에서는 주어진 주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능력을 평가한다고 볼 수 있다.
즉,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영역은 내용 구성력, 언어 사용 능력, 담화 구성 능력 등 종합적인 쓰기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4. 한국어 능력 시험 쓰기 영역 문항 유형과 분석
한국어 능력 시험 쓰기 영역 문항 유형과 분석은 다음과 같다.
51번 문항은 실용문(이메일, 문자 메시지, 게시판, 안내문 등)의 형태로 출제되며, 최근 시험에 나왔던 글의 종류와 문장 유형은 안내문, 이메일, 모집 안내문, 편지글 등이다. 이때 활용되는 문장 유형에는 "정리하려고 합니다",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뵙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시간이 괜찮습니까", "모집하려고 합니다", "처음 배우십니까", "초대하고 싶습니다", "언제든지 다 괜찮습니다", "카메라를 주문했습니다", "받아 주실 수 있으십니까", "빌려줘서", "돌려주면 됩니까", "필요하다고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합니까", "하러 갑니다", "들(었으)면 좋겠습니다" 등이 있다.
52번 문항은 짧은 설명문 형태로 출제되며, 최근 시험에 나왔던 문법 유형은 "-(으)면 / -기 때문이다", "-기도 하고 ?기도 하다 / -아/어도", "~은/는 ?이다 / -(으)면 ?기 어렵다", "-는 것이 좋다 / -아/어야 하다", "-아/어야 하다 / -(으)라고 하다", "-기 때문이다 / -는 것이 좋다", "항상 -는 것은 아니다 / -(으)ㅁ으로써 ?도록 하다", "-는 것이다 / -아/어야 -(으)ㄹ 수 있다" 등이다.
53번 문항은 시각 자료(그래프, 도표 등)를 제시하고 200~300자로 해당 주제에 대한 글을 쓰는 형태이다. 최근 출제된 정보의 유형으로는 공공시설 설문 조사(원 그래프), 1인 가구 증가의 원인과 현황(표), 대중 매체 분류(표), 글쓰기 능력 향상 방법 설문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