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면접 대비 전략
1.1. 면접의 목적
면접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올바른 가치관을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가치관이란 무엇이 옳고(right), 좋으며(good), 바람직한가(desirable)에 대한 판단기준이 되는 규범(norm)이다. 가치관을 파악함으로써 응시자가 회사에 들어와서 하게 될 행동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응시자의 성품, 태도, 행동을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 건전한 가치관은 태도로 나타나는데, 이는 인간에 대한 태도, 일에 대한 태도, 직장에 대한 태도 등이다. 건전한 가치관을 가진 사람은 인간에 대한 좋은 태도를 가지게 된다."
둘째, 응시자의 언행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언행이란 대개 응시자의 인상과 언어사용 능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인상이란 밝은 표정을 일컫는다. 성형수술로써 얼굴을 예쁘게 고칠 수는 있어도 인상을 고칠 수는 없다. 언어사용 능력이란 또렷하고 부드러운 말씨를 말한다. 사투리가 하루 아침에 고쳐질 수는 없지만 가급적 보편적인 말 즉 표준어를 많이 쓰도록 한다."
셋째,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의 소유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창의성은 타고 난 부문도 없지 않으나 관련분야의 지식을 쌓고 소화할 때 창의성이 발휘되는 것이다."
1.2. 면접의 방식
면접의 방식에는 크게 네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개별면접시험은 면접시험관과 응시자가 1:1로 대면하여 여러 가지를 묻고 답변하는 전통적인 면접 방식이다. 이 형식에서는 응시자가 긴장감을 느낄 수 있지만, 면접관과의 개별적인 대화를 통해 응시자의 자질과 인성을 면밀히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집단면접시험은 다수의 면접시험관 앞에 응시자가 앉아서 질문에 답변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긴장감이 클 수 있지만, 다양한 관점에서 응시자를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응시자는 마음을 가라앉히고 자신감 있게 대응해야 한다.
셋째, 집단토론식 면접시험은 다수의 응시자를 모아놓고 주어진 질문이나 주제에 대해 각자의 의견, 소신, 해결방법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면접시험관은 응시자들의 발언 내용을 면밀히 기록하여 평가한다. 이 경우 개인의 논리적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팀워크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넷째, 극기훈련 면접시험은 최근 도입된 방식으로, 거리, 산, 역 등 실외 공간에 응시자들을 모아놓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응시자의 자신감, 담력, 적극성, 상황대처 능력 등을 평가한다. 이러한 극기훈련 면접은 점차 선호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면접 방식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필기시험을 생략하고 서류심사와 면접시험 만으로 인재를 채용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면접시험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 면접 준비
1.3.1. 지원서 작성
지원서 작성은 면접 대비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면접관들은 지원자의 입사지원서를 읽고 얻은 정보를 기반으로 질문을 하기 때문에, 지원서에 자신의 직무 능력을 잘 나타낼수록 면접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지원서 작성 시에는 우선 자신이 지원하는 분야에 대한 직무 능력을 중심으로 기록해야 한다. 면접관들은 지원자의 입사지원서를 보고 해당 지원자가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인지 파악하기 때문에, 자신의 강점을 잘 드러낼수록 면접관의 관심을 끌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