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활볍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복무 부적응 병사의 자살 예방 방안
1.1. 학교보건사업
1.1.1. 학교보건법 및 학교보건사업 관련 법안
1.1.2. 학교보건사업 현황 및 추진 사례
1.2. 감염병 예방 및 관리
1.2.1.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1.2.2. 코로나19 대응 사례
1.3. 지역사회 보건사업
1.3.1. 지역사회 보건사업 관련 법안
1.3.2. 지역사회 보건사업 추진 사례
1.4. 복무 부적응 병사의 자살 예방 방안
1.4.1. 입대 전 선별검사 강화
1.4.2. 자살시도자에 대한 관리 강화
1.4.3. 군 문화 개선을 위한 노력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복무 부적응 병사의 자살 예방 방안
1.1. 학교보건사업
1.1.1. 학교보건법 및 학교보건사업 관련 법안
학교보건법은 학교의 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을 보호·증진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이에 필요한 시책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학교의 장은 학교시설에서의 환경위생과 식품위생을 적절히 유지·관리해야 한다. 셋째, 학교의 장은 학생과 교직원에 대한 건강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 넷째, 교육감은 학생의 신체 및 정신 건강증진을 위한 학생건강증진계획을 수립·시행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에는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을 관리하는 보건교사, 학교의사, 학교약사 등의 전문인력이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학교보건법은 학교 내 보건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증진을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학교 등의 역할과 책무를 명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학교 내 보건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2. 학교보건사업 현황 및 추진 사례
학교보건사업 현황 및 추진 사례는 다음과 같다.
학교보건사업은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포함한다. 최근 학교보건정책의 방향은 '환경개선 및 질병관리 중심의 소극적 학교보건'에서 '건강증진 및 보건교육 중심의 적극적 학교보건'으로 전환되고 있다.
학교보건사업의 추진 사례를 살펴보면, 서울시 교육청에서는 학생 흡연율 감소를 위한 금연 사업을 확대 운영하고 있다. 전자담배와 관련된 예방 교육을 강화하고 특히 여학생의 흡연율 감소를 위한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또한 비대면 1:1 금연상담 프로그램인 '톡톡 금연상담실'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학생 금연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세종시교육청은 학생 대상 찾아가는 맞춤형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디지털 성범죄, 성차별 등의 문제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발달 단계를 고려한 실질적인 성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보건교사로 구성된 성교육연구회를 운영하고 교육자료를 개발하여 학교에 보급하고 있다.
울산시는 어린이 구강보건 증진을 위해 초등학생 대상 불소도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치아우식증에 취약한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 2회 고농도 불소 도포를 실시하여 약 40%의 충치 예방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대전시교육청은 여학생 위생용품 무상 지원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여학생들이 선호하는 위생용품을 구매하여 학교 내 편리한 장소에 비치함으로써 여학생들의 건강과 위생 관리를 지원하고 있다.
이처럼 각 지역 교육청과 지자체에서는 학생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 다양한 학교보건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감염병 예방, 흡연 및 성교육, 구강 관리 등 학생 건강과 직결된 주요 영역에서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1.2. 감염병 예방 및 관리
1.2.1.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은 국민 건강에 위해가 되는 감염병의 발생과 유행을 방지하고, 그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 건강의 증진 및 유지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법률에서는 감염병을 제1급감염병,...
참고 자료
복무 부적응 병사들의 자살 시도 경험에 관한 현상적적 연구, 논문 출처: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4), 2018.4, 329-341(13pages) 저자: 이은주, 유은광
박소영, 『 우리나라 학교보건정책 변화의 패러다임 -Hall의 패러다임 변동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학회지 5권 1호, 2019 pp. 69-99
우옥영, 『 학교보건법 개정 10년의 보건교육정책과 변화 전략 -사회적 요구의 확대와 보건교육의 새 패러다임, 보건교사의 리더십 요구-』, 한국보건교육학회지 2017권 0호, 2017 pp. 3-22
우옥영, 『 보건교육·성교육 정책 현안과 보건교육 기반 건강증진학교』, 한국보건교육학회지 2019권 0호, 2019 pp. 1-23
일본의 학교 보건현황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 2020.5.27.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strCurMenuId=54&nTbBoardArticleSeq=826417)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최선하 외 7인, 2019), PP. 525-550
법령 주소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d=000890#0000)
이한결 기자 『대구시교육청, 코로나 속 취약계층 학생 맞춤형 지원』, 『『대구일보』』,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011040025)2021. 4.15.
김삼조 기자 『대구 북구보건소, 아동비만예방프로그램 운영』, 『『gukjenews』』, 2021. 4.14.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02629)
심연규 기자 『대전시교육청, 학교 여학생 위생용품 무상 지원』, 『『신아일보』』, 2021. 4.16.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00653)
정태경 기자 『관기초등학교, 담배는 No! 흡연예방 체험코스 운영』, 『『충청일보』』, 2021. 4.15. (http://www.ccdailynews.com)
이한결 기자 『울산시, 어린이 구강보건 불소도포사업 추진』, 『『충청일보』』, 2021. 4.15.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412_0001403030&cID=10814&pID=10800)
전완영 기자 『세종시교육청, 학생에 찾아가는 성교육』, 『『뉴시스』』, 2021. 4.12. (http://www.ccdaily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