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트코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상화폐의 이해
1.1. 가상화폐 정의
1.2. 가상화폐의 등장 배경
1.3. 가상화폐와 전자화폐의 차이
1.4. 가상화폐의 특징
2. 비트코인
2.1. 비트코인 개요
2.2. 비트코인 채굴과 발행
2.3.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트코인 거래
2.4. 비트코인의 장단점
3. 가상화폐의 한계
3.1. 화폐로서의 한계
3.2. 정부 규제와 문제점
4. 중앙은행 주도 디지털 화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상화폐의 이해
1.1. 가상화폐 정의
가상화폐는 정부나 중앙은행에 의해 발행되지 않고 개인 간 거래를 통해 유통되는 디지털 형태의 화폐이다. 유럽중앙은행은 가상화폐를 '가상화폐 발행자가 발행·관리하고, 특정 가상 커뮤니티의 구성원들 사이에서 이용되며, 대부분 법적 규제를 받지 않고, 중앙은행이나 금융기관 등 공인기관이 관여하지 않는 디지털화폐'로 정의하였다. 또한 미국 재무성은 가상화폐를 '진짜 통화의 모든 속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으나, 특정 환경에서 통화처럼 사용되는 교환 수단'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따르면 가상화폐는 실물화폐가 아닌 디지털 형태의 화폐로, 정부나 중앙은행이 아닌 개인 간 거래를 통해 유통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1.2. 가상화폐의 등장 배경
그동안 국가가 관리하고 있는 법정화폐 체제에 대한 문제점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특히 베트남 전쟁이나, 2008년 금융위기, 2020년부터 지속된 팬데믹 등 경제위기가 발생하면 통화당국은 화폐 발행량을 크게 늘려 위기에서 벗어나려 했다. 문제는 화폐 발행을 무작정 늘려 통화량이 급증하고 이에 따라 화폐가치가 급락하는 상황이 벌어지는데, 이를 통제 및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사실상 없다는 점이다. 통화발행규모는 정치적, 경제적 목적에 따라 결정되고, 통화운용은 전적으로 중앙은행을 비롯한 정부가 독점 관리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라는 경제현상에서 보듯 화폐의 가치는 지속적으로 떨어져 왔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가상화폐가 주목받아왔다. 가상화폐, 특히 비트코인은 발행규칙의 객관성, 탈집중화 운용, 발행 상한제 등과 같은 특성을 지니도록 설계돼 있는데, 이는 현행 법정화폐체계나 기축통화인 달러체계가 가진 약점을 정확하게 간파한 것이다.
1.3. 가상화폐와 전자화폐의 차이
가상화폐와 전자화폐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가상화폐는 중앙발행기관이 없이 분산화된 방식으로 운영되며, 발행량이 제한되어 있는 특징을 가진다. 대표적으로 비트코인은 제한적 발행량과 익명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반면 전자화폐는 정부나 금융기관이 발행하고 관리하는 전자적 형태의 화폐이다. 은행이나 신용카드 등을 통해 발행되며, 기존 법정화폐와 동일한 가치를 지닌다.
전자화폐는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어 거래되지만 발행과 관리는 중앙기관이 담당하지만, 가상화폐는 중앙기관 없이 분산화된 네트워크에 의해 발행과 관리가 이루어진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전자화폐는 기존 법정화폐와 동일한 가치를 지닌 반면, 가상화폐는 자체적인 가치를 가진다는 특징을 가진다.
1.4. 가상화폐의 특징
가상화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트코인은 세계 전역에 있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2010년 이전에는 약 20개의 온라인 쇼핑몰만이 비트코인을 지불 수단으로 허용했지만 현재 수천 개 이상의 인터넷 쇼핑몰이 거래를 수용하고 지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중국 최대 검색 사이트인 바이두와 미국 최대 온라인 음식 배달 서비스인 푸들러가 비트코인을 통한 결제를 허용한 상태이며 세계 최대 경매사이트인 이베이도 현재 도입을 검토하였고 현재 이베이는 영국에서 비트코인 거래를 허용하고 있다. 또한 비트코인의 오프라인 거래도 활성화되어 국내에서는 파리바게트 인천시청역점에서 최초로 비트코인으로 거래를 했다는 것이다. ""
둘째, 비트코인은 사용자의 익명성을 보장한다. 비트코인은 각 사용자의 지갑을 통해 거래되는데, 지갑은 33자리의 숫자와 영문의 조합으로 지갑 주소(비트코인 주소)를 이루며 이 주소에는 소유자에 대한 정보가 일체 포함되지 않으므로 익명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은행 등 금융거래를 통해 물건을 구입하게 되면 추적이 가능했지만 비트코인으로 거래할 시에는 추적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셋째, 비트코인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 기계적으로 발행되므로 누군가가 임의로 발행량을 조절할 수 없다. 자체적으로 생태계가 구축되므로 외부의 힘으로부터 독립된 금융 생태계가 구축된 셈이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을 상거래로서 이용하면 환전을 위한 불필요한 수수료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환율에 따른 우려도 없으며 어떠한 이익 단체도 인위적인 영향을 끼칠 수 없는 완전 화폐가 된다는 것이다.""
넷째,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의해 공급량이 결정되는 기존의 화폐와는 달리 비트코인은 네트워크망 상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그 시세가 정해진다. 하지만...
참고 자료
김범수, 가상화폐거래소 ‘4+1’ 정도만 생존?, 세계일보, 2021.6.7.
김홍기, 최근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의 법적 쟁점과 운용방안, 증권법연구 Vol.15, no.3, 2014.
김홍배, 가상자산 비트코인은 화폐인가, 자산인가?, 금융공학연구 Vol.19, no.4, 2020, pp.33-64.
박형기, 비트코인 급락 원인은 FBI가 해커 지갑 풀었기 때문, 뉴스1, 2021.6.9, http://naver.me/GpJ6k87i
박형기, '비트코인 진짜 돈' 인정한 엘살바도르…성공은 '글쎄', 뉴스1, 2021.6.10, http://naver.me/FQapfg4v
박형기, 바젤위원회 경고로 비트코인 3% 급락, 뉴스1, 2021.6.1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21&aid=0005410784
서봉석, 블록체인과 비트코인(가상화폐)의 법적 문제, 은행법연구 Vol.11, no1, 2018, pp.61-90.
서정호;이대기;최공필, 금융업의 블록체인 활용과 정책과제, 한국금융연구원, 2017.
성시돈, 가상화폐의 자산적 특성 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20.
송창섭, "가상자산, 화폐 아닌 자산가치로만 주목하는 건 위험", 시사저널, 2021.6.7,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etc&oid=586&aid=0000025219
여자의, 중국 가상 화폐 발전의 경제적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18.
유자비;이승주, 비트코인 엘살바도르서 '진짜 돈' 인정…호재 될까, 뉴시스, 2021.6.1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3&aid=0010543708
윤병조, 아시아 주식시장의 안전 피난처로서 비트코인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6, no.6, 2019, p.69.
윤인숙, 유럽연합의 가상화폐 규제분석, 법연 Vol.58, 2018, pp.47-49.
이승호, 비트코인, 엘살바도르 법정화폐 된다... 세계 첫 추진, 중앙일보, 2021.6.7.
이원삼, 가상화폐의 의미와 법적지위: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상사판례연구 Vol.31, no.2, 2018, pp.279-307.
이창선; 김건우, 가상화폐 비트코인 아직은 성공적, 미래는 불투명, LG Business Insight, 2013.8.14, pp.29-37.
장천, 강소연 옮김, 비트코인, 디지털화폐의 한계, 차이나브리프 Vol.6, no.2, 2018, 94-101.
최단비, 가상화폐의 법적 성격 및 거래소 이용자의 권리 구제방안, 법학연구 Vol.20, no.2, 2020.
최서연; 신정순; 임예진, 가상 화폐의 비선형성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2, 2018, pp. 791-799.
한혜원, 머스크 트윗에 비트코인 3% 하락…4천300만원대, 연합뉴스, 2021. 6.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12438557
허세영; 조상래; 김수형, 비트코인 후 블록체인,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2, no.1, 2017, pp.72-81.
허인, 비트코인 시장의 변동성과 전통 금융시장과의 관계, 시장경제연구 Vol.48, no.2, 2019, pp.5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