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소설<活着> 와 영화 <活着>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화 '인생'으로 보는 중국 영화와 역사
1.1. 영화 '인생'의 배경
1.1.1. 소설 『활착』과 영화 '인생'의 관계
1.1.2. 장예모 감독의 작품세계
1.2. 영화 '인생'의 시대적 배경
1.2.1. 1940년대: 국공내전
1.2.2. 1950년대: 대약진 운동
1.2.3. 1960년대: 문화대혁명
1.3. 영화 '인생'의 등장인물과 메시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화 '인생'으로 보는 중국 영화와 역사
1.1. 영화 '인생'의 배경
1.1.1. 소설 『활착』과 영화 '인생'의 관계
소설 『활착』과 영화 '인생'은 원작과 각색작으로서 일정 부분 내용의 차이가 존재한다. 소설의 경우 민요 수집가인 '나'가 노인 '부꾸이'를 만나면서 그의 인생 이야기를 듣는 식으로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전개되지만, 영화의 경우 '부꾸이'의 젊은 시절부터 노년기까지를 전기적 형식으로 담아내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소설에서 '부꾸이'가 농민이었던 반면 영화에서는 그림자극 공연자로 설정된다는 것이다. 이는 장예모 감독이 중국의 전통 문화 요소인 그림자극을 적절히 활용하여 작품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림자극은 영화 전반에 걸쳐 등장하며, 때로는 인물의 운명 변화와 연결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이를 통해 감독은 인생이 마치 연극과 같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소설이 개인의 운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영화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개인의 삶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주목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소설이 삶과 죽음에 대한 작가의 철학을 담고 있다면, 영화는 역사와 개인의 갈등을 통해 당시 시대상을 보여주고자 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1.1.2. 장예모 감독의 작품세계
장예모 감독은 1950년 중국 서안에서 태어나 현재 첸 카이거와 함께 생존하는 제5세대 감독이다. 장예모는 어릴 때부터 촬영기술에 관심을 보였고 1966년 고등중학을 졸업한 후 문화혁명을 맞이하여 해방되었다. 이후 산시성의 농촌과 방직공장에서 7년간 교육을 받았다. 1978년 베이징전영학원 촬영과에 입학한 장예모는 졸업 후 광서영화제작소에 배치되어 촬영을 담당하게 되었다.
장예모는 데뷔 전 제5세대 최초의 영화라 평가받은 장 춘차오의 (1983년) 촬영으로 주목받았고, 첸 카이거의 데뷔작 와 에서 촬영감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또한 우 티안밍의 (1987년)에서 촬영과 주연을 겸하여 그 해 동경영화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장예모의 데뷔작 으로 베를린영화제 그랑프리를 수상하며 제5세대 중국영화의 대표적인 감독으로 부상하였다. 이후 (1990년)로 깐...
참고 자료
탕미아오/위화의 소설 활착와 영화 인생의 비교연구(위화의 소설 活着와 영화 人生의 비교연구)/2016/41,43,44,47p
영화는 영화 이상이다 [씨네토크] ‘인생’과 ‘국제시장’/2015.03.26(목) 16:39:19/이정희 기자/단비뉴스
http://www.danb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314
조준현 (2009) 영화로 읽는 중국 역사와 경제, 오름
김미정 (2008) 영화로 보는 중국문화이야기, 신아사
리쩌허우, 김형종 옮김(2005) 중국현대사상사론, 한길사
임대근(2008) 중국영화 이야기, 살림
박정동(2004) 中國바로알기, 인천일보사
이원복(2002) 새 먼나라 이웃나라 13 중국편, 김영사
다케우치 미노루(2005) 청년 모택동, 논형
리쩌허우, 김형종 옮김(2005) 중국현대사상사론, 한길사
이인호(2002) 中國 이것이 중국이다, 아이필드
이종희(2002) 중국영화의 어제 오늘 내일, 책세상
최환 (2005) 중국 영화의 이해와 감상, 영남대학교 출판부
오쿠무라 사토시 저(2004) 새롭게 쓴 중국 현대사: 전쟁과 사회주의의 변주곡, 소나무
조너선 스펜스 저, 김희교 역(2006) 현대중국을 찾아서2, 이산
제영미, <중국 제5세대 張藝謨 감독의 작품속에 나타나는 민족의식>,동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3
이광규, <제5세대 감독의 영화(패왕별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슈테판 크라머, 황진자 옮김, 《중국영화사》, 이산, 2000
이종희, 《중국 영화의 어제, 오늘, 내일》, 책세상,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