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나 다큐멘터리에 나타난 아동의 건강문제, 아동간호학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영화나 다큐멘터리에 나타난 아동의 건강문제, 아동간호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 간호학과 치료적 의사소통술
1.1. 영화 '열두 살 샘'의 선택 이유
1.2. 백혈병에 대한 문헌 고찰
1.2.1. 백혈병의 정의 및 원인
1.2.2. 백혈병의 병태생리
1.2.3. 백혈병의 유형 및 증상
1.2.4. 백혈병의 진단
1.2.5. 백혈병의 치료 및 간호중재
1.3. 영화 '열두 살 샘'에서 도출 가능한 간호진단
1.4. 간호과정 적용
1.4.1. 간호사정
1.4.2. 간호진단 및 계획
1.4.3. 간호중재
1.4.4. 간호평가

2.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문제 - 모성정체감 부족
2.1. 현황 및 필요성
2.2. 모성정체감 결핍의 문제점
2.2.1. 모성거부 증후군
2.2.2. 영아 유기와 살해
2.2.3. 자녀의 정서불안 장애
2.3. 모성정체감 결핍의 원인
2.3.1. 산후 우울증
2.3.2. 애착 형성 기회의 부족
2.3.3. 사회경제적 지지기반 부족
2.4. 모성정체감 형성을 위한 해결방안
2.4.1. 사회·경제적 지원
2.4.2. 산전 교육
2.4.3. 산후 관리
2.4.4. 애착 형성

3. 정신건강간호학 실습 - 우울증 관리
3.1. EBS 우울증 영상의 주요 내용
3.1.1. 우울증의 정의와 원인
3.1.2. 우울증의 증상
3.1.3. 우울증의 진단
3.1.4. 우울증의 치료
3.2. 교과서 내용
3.2.1. 우울증의 정의
3.2.2. 우울증의 원인
3.2.3. 우울증의 증상
3.2.4. 우울증의 진단
3.2.5. 우울증의 치료
3.3. 소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 간호학과 치료적 의사소통술
1.1. 영화 '열두 살 샘'의 선택 이유

영화 '열두 살 샘'을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 영화는 백혈병에 걸려 시한부 선고를 받은 열두살짜리 샘과 같은 병원에서 친해진 형 펠릭스가 가정교사의 지도로 "영원히 사는 법"에 대해 이야기를 하다가 자신들의 버킷리스트를 작성하여 이루기 위한 내용이다. 연출도 좋았고, 백혈병 아이들이 담배펴보기, 술마셔보기 등을 한다는 것이 놀랍기도 하고 재미있을 것 같아서 선택했다. 또한 예전에 어떤 다큐멘터리에서 백혈병을 앓은 아이를 보고 운 적이 있었는데, 그 다큐멘터리를 보고 메이크어위시 위시엔젤이라는 봉사단체를 알게 된 계기도 있었다.


1.2. 백혈병에 대한 문헌 고찰
1.2.1. 백혈병의 정의 및 원인

백혈병은 혈액과 골수, 비장, 림프절 등의 조혈기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분화된 백혈병 세포들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혈액의 악성 질환이다. 세포분열에 대한 정상 조절 기능이 상실된 미분화 세포들의 증식 및 침윤으로 초래되며 모든 연령집단에서 발생한다.

백혈병의 원인은 어떤 하나의 단일 요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유전적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들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발생된다. 염색체 변화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처음 확인된 요인으로, 정상 유전자라도 일단 변형되면 백혈병을 포함한 많은 종류의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비정상 유전인자가 될 수 있다. 다운증후군과 폰 레클링하우젠 신경섬우종증, 판코니 빈혈과 같은 특정 유전자 변형을 지닌 사람은 급성 백혈병 이환률이 높다. 또한 화학물질, 항암제, 바이러스, 방사선에 만성적인 노출, 면역 결핍증도 위험요인이 된다.


1.2.2. 백혈병의 병태생리

백혈병은 단일 줄기세포의 악성 변화로 시작한다. 백혈구 세포는 천천히 증식하나 정상적으로 분화하지 않는다. 백혈구의 수명은 길어지며, 골수에 축적된다. 골수에 축적된 백혈구 세포는 다른 정상 혈구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게 된다. 백혈구 세포는 성숙 백혈구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감염이나 염증 과정에 비효율적으로 작용한다.

백혈구 세포는 골수에서 정상 조혈요소를 대치하게 되므로, 적혈구와 혈소판 생성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심한 빈혈, 비장비대, 출혈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백혈구 세포는 골수에서 방출하여 전신으로 순환하고 다른 신체조직으로 침윤한다. 백혈병은 일반적으로 내출혈과 감염으로 사망하게 된다.


1.2.3. 백혈병의 유형 및 증상

백혈병의 유형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골수에 있는 다능성 골수 줄기세포의 악성 변형으로 시작되며, 발생은 갑작스럽고 극적으로 나타난다. 환자들은 심한 감염과 비정상적 출혈 증상을 나타낸다. 골수아구의 무한 증식을 특징으로 하며, 골수와 비장의 과형성증을 보인다. 주요 증상으로는 피로, 허약, 두통, 구강통증, 빈혈, 출혈, 발열, 감염, 흉골 압통 등이 있다.

급성 림프성 백혈병은 어린이 백혈병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골수 내 미성숙 림프구의 증식이 특징이다. 대부분 환자에서 진단 시 발열상태가 나타나며, 출혈이나 발열 등 증상이 갑작스럽게 발생하거나 피로, 허약, 뼈나 관절의 통증, 출혈 경향이 점진적으로 나타난다. 중추신경계가 침범되어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며, 특히 백혈병적 뇌막염은 지주막에 백혈병 세포가 침윤되어 발생한다.

만성 골수성 백혈병은 골수에 성숙형의 악성 과립구가 과도하게 증식되어 나타난다. 임상경과는 점진적으로 진행하면서 치료에 대한 반응도 좋아 증상이 개선되면 거의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급성 전화까지의 기간에 따라 예후가 좌우된다.

만성 림프성 백혈병은 성숙형의 비기능적 림프구의 증식이 특징이며, 흔히 침범되는 림프구는 B세포이다. 성숙 림프구가 정상 조혈 세포를 심하게 억제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완만하게 시작되어 서서히 진행된다. 초기에는 무증상 상태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신체 전 부위에서 림프절 비대가 나타나며 감염 빈도가 증가한다. 신경이 압박되면서 통증과 마비현상이 발생하고 종격동 림프절 비대로 인한 호흡기 합병증도 나타난다. 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한다.

이처럼 백혈병은 세포의 악성 변화와 증식에 따라 그 유형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급성 백혈병은 빠르게 진행되고 심각한 증상을 보이는 반면, 만성 백혈병은 더디게 진행되지만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백혈병의 유형과 증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1.2.4. 백혈병의 진단

백혈병의 진단은 전반적인 혈액 및 골수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우선 전혈구검사(CBC)를 시행하여 총 백혈구 수, 혈색소, 혈소판 수 등을 확인한다. 백혈병 환자의 경우 총 백혈구 수는 정상 또는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게 나타나며, 절혈구, 혈색소, 혈소판 수는 일반적으로 감소되어 있다.

다음으로 말초혈액 도말검사를 실시하여 미성숙 아세포 형태의 비정상적인 백혈구가 증가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를 통해 백혈병 진단을 할 수 있으나,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골수검사가 필수적이다. 골수 천자나 골수 생검을 통해 미성숙 형태의 백혈구가 골수에 밀집되어 있는지, 전체적인 골수 세포가 증가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요추천자나 CT 검사 등을 시행하여 암세포가 혈액이나 골수 외 부위로 전이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림프관 조영술이나 림프절 생검을 통해 악성 병변의 위치와 형태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이러한 검사 결과들을 토대로 백혈병의 유형과 상태를 진단하게 된다.


1.2.5. 백혈병의 치료 및 간호중재

백혈병의 치료 및 간호중재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백혈병 치료의 목표는 완화와 관해 유도, 장기 생존 향상이다. 치료 방법으로는 항암화학요법, 조혈모세포 이식, 표적치료제 등이 있다. 항암화학요법은 가장 기본적인 치료법으로, 백혈병 세포를 선택적으로 공격하여 파괴하는 약물을 투여한다. 조혈모세포 이식은 고용량의 항암화학요법 후 정상 조혈 기능을 재건하는 방법이다. 최근에는 유전자 변이에 작용하는 표적치료제도 사용되고 있다.

간호사는 백혈병 환자의 치료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첫째, 호중구 감소와 관련된 감염 예방이다. 감염의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고, 무균술을 준수하며, 예방적 항생제 투여 등으로 감염을 예방한다. 둘째, 혈소판 감소로 인한 출혈 예방이다. 출혈 증상을 관찰하고, 침습적 처치 시 출혈에 유의하며, 필요 시 혈소판 수혈을 시행한다. 셋째, 구강 간호 및 영양 관리이다. 구강 점막염 예방을 위해 부드러운 칫솔질과 구강 청결을 실시하고, 고단백, 고열량 식이를 섭취하도록 한다. 넷째, 피로 관리와 신체상 증진이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게 하고, 탈모 등의 신체상 변화에 대한 대처를 돕는다. 다섯째, 불안과 우울 중재이다. 질병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지지적 간호를 제공하여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완화한다.

이와 같은 다각적인 간호중재를 통해 백혈병 환자의 치료 경과를 향상시키고,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다.


1.3. 영화 '열두 살 샘'에서 도출 가능한 간호진단

영화 '열두 살 샘'에서 도출 가능한 간호진단은 다음과 같다:

신체 면역 기능 저하와 관련된 급성통증이다. 백혈병 환자인 샘은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감염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급성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샘의 감염 증상 및 징후를 관찰하고 통증 관리를 위한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골수기능 저하와 관련된/면역 억제효과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이다. 샘은 백혈병으로 인해 골수 기능이 저하되어 있고 항암치료로 인해 면역 억제 효과를 겪고 있어 감염의 위험이 높다. 간호사는 정기적인 검사와 활력징후 모니터링, 예방적 항생제 투여, 무균술 적용 등을 통해 감염 예방에 힘써야 한다.

혈소판 감소로 인한 응고 장애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이다. 백혈병 환자인 샘은 혈소판 수치 저하로 인해 출혈의 위험이 높다. 간호사는 점상 출혈, 비출혈, 혈뇨 등의 징후를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안전한 환경 조성, 처치 시 주의 등의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구강 점막의 감염과 관련된 구강 점막 손상이다. 백혈병 환자는 골수기능 저하로 인해 구강 점막의 감염 위험이 높다. 간호사는 부드러운 칫솔질, 구강간호 실시 등을 통해 구강 점막 건강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신체 요구량보다 적음이다. 백혈병 환자인 샘은 식욕 부진으로 인해 영양 섭취가 부족할 수 있다. 간호사는 고단백, 고열량 식이를 제공하고 영양 보충제 투여, 소량 다회 식사 등을 통해 영양 불균형을 개선해야 한다.

낮은 헤모글로빈 수치와 관련된 피로이다. 백혈병으로 인한 빈혈로 샘의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아 피로감을 겪을 수 있다. 간호사는 수혈, 철분제 투여 등 적절한 치료를 통해 피로 감소를 도와야 한다.

탈모와 관련된 신체상 장애이다. 항암 치료로 인한 탈모는 샘의 신체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간호사는 가발 착용, 긍정적 자아상 형성 등을 통해 신체상 장애를 완화하는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불확실한 미래, 예후와 관련된 불안이다. 백혈병이라는 중증 질환을 앓고 있는 샘은 자신의 예후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불안을 경험할 수 있다. 간호사는 정서적 지지, 정보 제공 등을 통해 불안을 감소시키는 중재를 해야 한다.

질병의 이해와 관련된 보호자의 지식부족이다. 샘의 가족들은 백혈병에 대한 이...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1,2, 윤은자 외 11인, 수문사
아동간호학 1, 2, 박호란 외 9인, 현문사
기본간호학1,2, 이동숙 외 8인 메디컬사이언스
서울아산병원, 급성골수성백혈병식사요법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ealtherapy/mealTherapyDetail.do?mtId=59
서울아산 병원, 혈소판 이상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039
서울 아산병원, 알부민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06
차케어스 건강정보, 혈청 총 단백
https://www.chamc.co.kr/health/e_clinic/content.asp?cc_id=10606&co_id=1566&ct_id=106
김승돈(2017),‘보채고 말안듣는다‘ 친엄마 폭행에 3살 딸 숨져, TV조선뉴스, Retrieved from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22/*************.html
김동민,김선주,심성미(2012), 제 자식 버리는 엄마들, ‘영아 유기,살해 2년새 2배 급증’,한국경제,
Retrieved fr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2030213101
이유주(2016), 핀란드 놀이터엔 아빠가 반, 엄마가 반, 베이비뉴스, Retrieved from http://m.ibabynews.com/news/newsview.aspx?newscode=2*************1700002406&categorycode=0005
최은아(2015), 성인여성의 모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인식전환 단계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d34ad858b902876bffe0bdc3ef48d419
정연이,김혜원(2014), 산후우울의 영향요인과 모성 정체성과의 관련성,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1), Retrieved from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38eb4f9cc3b94bd6ffe0bdc3ef48d41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