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체구조와기능 중추신경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신경계의 특징과 기능
1.1. 신경계의 정의와 역할
1.2. 신경계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
1.3. 신경계의 구분 및 주요 기능
2. 중추신경계
2.1. 뇌
2.1.1. 대뇌
2.1.2. 간뇌
2.1.3. 뇌간
2.1.4. 소뇌
2.2. 척수
3. 말초신경계
3.1. 뇌신경
3.2. 척수신경
3.3. 자율신경계
4.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상호작용
4.1. 감각 정보의 전달
4.2. 운동 기능의 조절
4.3. 자율신경계의 역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신경계의 특징과 기능
1.1. 신경계의 정의와 역할
신경계는 인체에서 가장 분화된 조직으로, 신체를 전체적으로 총괄하고 조절하여 인체의 기능적 균형을 유지시킨다. 신경계는 체내의 내적 및 외적 환경 변화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이에 적절한 반응을 하도록 신체 각 부위에 지시하며, 각 부분의 활동을 통합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말초자극수용기에서 전달된 자극을 중추신경계로 보내고, 여기서 나오는 명령을 다시 운동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극의 전달은 나트륨이온과 칼륨이온의 세포막에서의 분포 변화에 의해 이루어진다. 신경조직에서 중요한 점은 신경세포는 일단 파괴가 되면 다시 세포분열이 일어나지 않으며, 다른 신경세포로 대치될 수도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경계를 유지·보호하기 위하여 골격, 근육, 뇌막, 뇌척수액 등이 싸고 있으며 혈액 공급도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다.
1.2. 신경계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
신경계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신경세포인 "신경원(neuron)"과 신경교(neuroglia)이다. 신경원은 신경흥분을 전달하는 신경 세포의 구조적 단위로, 종류에 따라 모양이 다르고 기능에도 차이가 있다. 신경원에서 수상돌기는 모든 자극을 받아 세포체에 신경흥분을 전달하고, 축삭은 이를 다른 세포로 전도하는 역할을 한다. 신경교는 신경원을 지지하고 영양을 공급하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신경세포는 일단 파괴가 되면 다시 세포분열이 일어나지 않으며, 또 다른 신경세포로 대치될 수도 없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신경계를 유지·보호하기 위하여 골격, 근육, 뇌막, 뇌척수액 등이 싸고 있으며 혈액 공급도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다.
1.3. 신경계의 구분 및 주요 기능
신경계의 구분 및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분된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에서 나와 온몸에 분포하는 신경들로 이루어져 있다.
중추신경계의 주요 기능은 감각 정보의 수용 및 처리, 운동 기능의 조절, 자율신경계를 통한 내부 환경 조절 등이다. 뇌의 경우 대뇌, 간뇌, 뇌간, 소뇌로 나뉘며 각 부위마다 고유한 기능을 수행한다. 대뇌는 지각, 사고, 기억, 운동 등 고차원적인 정신 기능을 담당하고, 간뇌는 체내 恒常性 유지와 감정 조절에 관여한다. 뇌간은 자율신경계 조절, 생명 유지 기능을 담당하며, 소뇌는 운동 기능과 자세 및 균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척수는 감각 정보 전달과 운동 명령 전달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말초신경계는 크게 체성신경계와 자율신경계로 구분된다. 체성신경계는 신체 감각 정보의 전달과 골격근 운동 기능을 담당하며, 자율신경계는 내부 장기의 기능을 조절한다. 자율신경계는 다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뉘는데, 교감신경은 교감 반응을 매개하고 부교감신경은 부교감 반응을 매개한다. 이들은 대부분의 장기에 길항적으로 작용하여 내부 환경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요약하면,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는 각각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며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인체의 통합적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2. 중추신경계
2.1. 뇌
2.1.1. 대뇌
대뇌는 뇌의 가장 큰 부분으로 뇌중량의 80%를 차지한다. 대뇌는 좌우 대칭인 두 개의 반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백질(대뇌피질)과 백질(대뇌수질)로 구분된다. 회백질은 뇌의 외층인 피질을 형성하고 시상핵, 시상하부, 기저신경질을 이룬다. 백질은 뇌의 내층인 수질부분으로 신경흥분을 전달하는 통로가 된다.
대뇌는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으로 구분된다. 전두엽에는 추체로의 중추가 있어 수의적 운동을 주관한다. 우측 전두엽에 있는 운동중추의 흥분은 연수에서 교차하여 좌측 신체의 움직임을 조절한다. 전전두영역에서는 인격과 태도, 고도의 지적기능인 의식, 학습, 추리, 창조적인 사고, 문제 해결, 판단, 기억, 의지력, 도덕, 그리고 윤리적인 가치관에 관련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호흡이나 위장계 활동, 심맥관계의 활동 및 정서적 반응과 같은 자율신경기능과도 관련이 있다.
두정엽은 피부감각을 받아 들이고, 물체의...
참고 자료
김경진, 신경호르몬, 아카넷, 2000.
아쿠타 사토시, 뇌와 마음을 지배하는 물질, 하서출판사, 2012.
박세영 외, 심리학개론, 피앤씨미디어, 2017.
우리 뇌가 느끼는 ‘지금 이 순간’, 김청안, The Science Times, 2020.04.16.
유종영, 2020, 뇌과학의 관점에서 본 마음챙김의 도덕교육적 의미, 국내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p.34~36
장은혜, 시청각 '공포' 동영상 자극이 뇌 활동과 말초신경계 반응에 미치는 효과, 국내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p.12~14
말초신경계, 서울 아산병원, 2023년 2월 24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body/bodyDetail.do?bodyId=24&partId=B000016
중추신경계, 서울 아산병원, 2023년 2월 24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body/bodyDetail.do?bodyId=54&partId=B000007
성인간호학Ⅱ (일곱째판, 출판사:수문사) p.1209~1219
인체의 구조와 기능 (기초간호과학, 출판사:은하출판사) p.12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