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요양시설의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고찰과 문제점, 해결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의료 정책과 한국 간호사
1.1. 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한 교재 요약
1.2. 교재 요약을 통한 문제점 고찰
1.3. 보건의료 인력 정책의 해결방안
1.4. 출처 및 참고문헌
2.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
2.1.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 개념 및 이론
2.2. 장기요양보험의 발전과정 및 문제점
2.3. 장기요양보험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
2.4. 참고문헌
3. 요양병원 관리 정책
3.1. 요양병원 관리 강화 정책의 배경과 필요성
3.2. 요양병원 관리 강화 정책의 주요 내용
3.3. 정책 실행을 위한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의료 정책과 한국 간호사
1.1. 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한 교재 요약
전통적인 의료조직으로 의사와 병원이 존재하며, 대부분의 병원은 개인 비영리 기업으로 지역사회 내 중요한 사람들로 구성된 독립적인 이사회에 의해 운영되었다. 전통적 행위별 수가제에 속한 대부분의 의사는 특정한 병원에 고용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병원의 직원과 협력하는 시스템이었다. 의사는 환자를 입원시키는 특권과 함께 의료진 위원회로 일하거나 의사가 없는 응급의학과 환자를 진료하여 병원에 협력하는 책임을 맡았다.
새로운 의료조직 모델로는 집단개원 그룹, 지역보건센터, 선불 그룹진료 등이 있다. 집단개원 그룹은 의료기술의 우수성으로 명성이 커지면서 병원에 임상병리 전문가와 다른 의사들이 추가되었고, 의료진에게 봉급을 지급하면서도 환자에게는 행위별 수가제로 의료비용을 청구하게 되었다. 지역보건센터는 일차진료와 질병예방 기능을 수행하며 전체 지역사회 건강 상태를 책임지는 모델이다. 선불 그룹진료와 건강유지기구는 건강보험 재정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모델로, 회사가 후원하는 의료 서비스를 통해 행위별 수가제를 대체하고 재정과 서비스 제공을 하나의 조직화된 구조로 포함시키는 시도를 하였다.
수직통합 모델과 가상통합 모델을 비교해 보면, 가상통합 모델은 전통적인 HMO에서 의사나 병원 목록을 갖고 선택을 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책임의료기관은 미국의 의료 질 개선과 비용 상승 억제를 위한 조직적이며 통합된 의료 시스템으로의 기여는 불분명하지만, 개인 환자보다는 인구집단 환자들에 대해 예방적인 진료를 수행하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보건의료 서비스와 관련하여 한국 간호사에 대한 현 보건정책 이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1.2. 교재 요약을 통한 문제점 고찰
의료분야가 늘어나는 사회적 부담을 감당할 여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며, 보건의료체계의 현재 상황 속 대표적인 지표로 의료인들을 대상으로 한 노동강도가 상당히 높으며 환자 유인 수요가 큰 편인 것으로 현재 낮은 수가와 높은 노동강도로 의료기관의 소득을 보전하기 위한 방식은 한계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결국 보건의료 문제 부분에서 과도한 민간 중심 공급이 문제가 되며, 보건의료 제도와 관련된 가치적 문제에도 연결되어 보건의료체계 인력 공급과 관련한 문제 중에서도 간호노동 강도가 가장 심각하고 이것은 양질의 서비스 제공이 어렵고 우리 사회에서도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1.3. 보건의료 인력 정책의 해결방안
현재 병원 공급병상수 기준 간호사 수급이 턱없이 부족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방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간호사 인력 부족은 지역 주민의 의료 접근성 저하와 지역 의료의 공동화 현상, 중소병원의 병동 폐쇄 등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의료전달체계의 왜곡 심화현상으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적정한 간호사 인력 공급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며, 그 대안으로 간호사인력 공급 확대정책이 요구된다. 우선 신규간호사 수요의 증가현상을 감안하여 연간 신규간호사 배출 인력을 확대하기 위해 대학 내 입학정원을 현재수준에서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결국 입학정원 확대를 통해 국내 간호사인력 공급의 핵심적인 요소 자체를 확대시키는 방안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가 즉각적으로 반영되어 효과를 볼 수 없으므로 중장기적인 관점을 떠나 중소병원에서는 간호조무사들의 적극적인 인력활용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 간호사 구분의 세분화를 통해 간호등급 산정기준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이를 위한 대안으로 지역소재 간호대학을 중심으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한 간호조무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으로 기초 ...
참고 자료
(보건의료정책) 강의안 자료
2) 건강정책학회. (2021). 우리나라 보건의료 인력정책의 현재와 미래 - 의사, 간호사 인력계획의 방향 -. 비판건강정책, 1(1), 41-57.
http://www.riss.kr/link?id=A107790415
3) 이용균,& 강정아. (2009). 병원 간호사 인력의 적정수급 방안. 한국병원경영연구원 연구보고서, -(-), 2-88.
http://www.riss.kr/link?id=A100349846
요양병원 무엇이 문제인가…지역사회 통합돌봄 등 인프라 미비.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 http://www.dementi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51
초고령사회 대비 고령층 의료·돌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합니다. 보건복지부 공식 블로그 : https://m.blog.naver.com/mohw2016/222576525468
복지부 “요양병원 관리·감독 강화, 의료서비스 개선대책 마련 예정”.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https://korea.kr/briefing/actuallyView.do?newsId=148923512
이용석(2003), “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고찰 : 독일과 일본의 장기요양보험을 중심으로 Focused on Bancassurance”, 보건학회지
차홍봉(2013),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발전과정과 향후 개선방향에 대한 논의”, 장기요양연구
윤종률(2015),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65세 미만자 노인성질병의 재검토 및 범위 확대의 필요성”, 한국장기요양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