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세균 배양 실험 간호와 연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12.07
13,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항생제 세균 배양 실험 간호와 연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항균성 실험
1.1. 실험 주제 및 목적
1.2. 이론
1.2.1. 항균성
1.2.2. 항생제
1.2.3. 작용기전에 따른 항생제 분류
1.2.4. 살균 효과
1.2.5. 정균 효과
1.2.6. 베타락탐계
1.2.7. 테트라사이클린계
1.2.8. 감수성 검사
1.2.9. 감수성 시험 결과 판정기준
1.3. 시약 및 기구
1.4. 실험방법
1.5. 결과
1.6. 고찰

2. 미생물의 분류와 관찰
2.1. 분류학과 분류의 목적
2.2. 미생물의 분류 계급
2.3. 세포벽과 세포질막
2.4. 세균의 형태와 배열
2.5. 세포 구조
2.6. 미생물 분류의 최신 체계
2.7. 현미경의 종류와 특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항균성 실험
1.1. 실험 주제 및 목적

실험 주제 및 목적"은 흔히 사용되는 항생물질을 이용하여 항생제에 대한 미생물의 감수성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항균성 실험의 주제이자 목적으로, 병원균에 대한 각 항생제의 효과를 확인하여 감염 치료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실험에서는 항생제에 대한 미생물의 감수성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항생제의 항균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각 항생제가 다양한 병원균에 대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감염 치료 시 더욱 적절한 항생제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1.2. 이론
1.2.1. 항균성

항균성이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작용을 통해 세균의 증식을 저해하거나 사멸시키는 성질을 말한다"". 세균의 증식을 저해하거나 사멸시킬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화학요법제와 항생물질이 사용된다"".

화학요법제에는 설폰제와 같이 화학적으로 합성한 것과 미생물이 생산한 항생물질이 있다"". 항생물질은 미생물이 생성하는 항미생물 제제로 다양한 세균과 진균(곰팡이)에 의해 생산되며 자연계에서 다른 미생물의 생장을 저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비록 수천 종의 항생제가 알려졌지만 대부분의 경우 숙주에 독성을 나타내거나 숙주세포가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1% 미만의 약제만이 임상에서 유용하다"".

따라서 항균성은 미생물의 생장을 저해하거나 사멸시키는 성질로, 이를 활용하여 인체에 대한 독성이 약한 화학요법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항균성을 지닌 물질들은 인체에 침입한 세균의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1.2.2. 항생제

항생제는 미생물이 생성하는 항미생물 제제로 다양한 세균과 진균(곰팡이)에 의해 생산되며, 자연계에서 다른 미생물의 생장을 저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인체에 침입한 세균의 감염을 치료한다"" 비록 수천 종의 항생제가 알려졌지만 대부분의 경우 숙주에 독성을 나타내거나 숙주세포가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1% 미만의 약제만이 임상에서 유용하다""

항생제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베타락탐계 항생제와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가 있다"" 베타락탐계 항생제는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대표적인 약물로는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이 있다""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는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여 항균작용을 하며, 이 계열의 대표적인 약물로는 독시사이클린과 미노사이클린이 있다""

이처럼 항생제는 다양한 작용기전을 통해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인체에 침입한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1.2.3. 작용기전에 따른 항생제 분류

항생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세포벽 합성 저해 항생제: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을 파괴하는 항생제로, 베타락탐계 항생제(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등)와 반코마이신 등이 해당된다. 이러한 항생제는 주로 증식 중인 세균에 대해서만 항균 작용을 나타낸다""

세포막 기능 저해 항생제: 세균과 진균의 세포막 투과성을 변화시켜 세균이나 진균의 세포 내, 외부의 균형을 잃게 하여 사멸하게 하는 항생제로, 폴리믹신과 암포테리신 B, 케토코나졸, 플루코나졸 등이 있다. 이러한 항생제는 대량 투여 시 인체 세포에도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

증식 저해 항생제: 세균의 증식에 필요한 과정인 엽산 합성, 핵산 합성,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 작용을 나타내는 항생제로, 설폰아미드, 트리메소프림,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마크로라이드, 테트라사이클린계 등이 있다. 엽산 합성 저해 항생제는 세균에만 작용하고 인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1.2.4. 살균 효과

살균 효과란 세균이나 진균을 억제하는 것을 넘어 사멸하게 하는 작용을 총칭하며, 미생물의 발육 억제 작용과는 구분해야 한다. 살균작용의 경우 미생물은 사멸되어 증식의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진 상태까지 도달한 것을 의미한다.

살균 항생제는 최소억제농도(MIC)와 최소살균농도(MBC)의 수치가 거의 비슷하며, MBC가 MIC보다 2~4배 정도 큰 항생제를 말한다. 이러한 살균 항생제는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통해 효과를 나타낸다. 대표적인 살균 항생제로는 반코마이신, 이소니아지드, 바시트라신, 리팜피신 등이 있다.

반면 정균 항생제는 MBC가 MIC보다 16배가 넘는 항생제로, 세균의 중간대사나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여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테트라사이클린, 설파제, 에탐부톨, 클린다마이신 등이 대표적인 정균 항생제에 해당한다.

이처럼 살균 항생제와 정균 항생제는 미생물에 작용하는 기전이 다르기 때문에 치료 효과와 내성 발현에 차이가 있다. 살균 항생제는 감염증 치료에 더 효과적이지만 내성 발현 위험이 높은 반면, 정균 항생제는 내성 발현은 낮지만 감염 치료에 있어 한계가 있다."


1.2.5. 정균 효과

정균 효과는 화학 시약, 항생 물질이 미생물 특히 세균의 증식을 저지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 물질이 존재할 때만 작용하여 제거한 뒤에는 증식을 허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살균 작용과 구별되는데, 살균 작용은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것이다. 정균 항생제는 세균의 중간대사나 단백합성을 방해하며 최소균저해농도(MIC)에 비해 최소균살균농도(MBC)가 16배가 넘는 항생제를 지칭한다. 대표적인 정균 항생제로는 테트라사이클린, 설파...


참고 자료

김종배 외 8명, 『병원미생물학』, 라이프사이언스, 2012
Michael T. Madigan 외 3명, 『BROCK의 미생물학 14판』, 오계헌 역, ㈜바이오사이언스, 2016
네이버 지식백과, 「 암피실린 」, 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2802&docId=5663072&categoryId=62802.
네이버 지식백과, 「 항생제 」, 약학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9913&docId=5145839&categoryId=59913.
네이버 지식백과, 「 테트라사이클린」, 미생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1232&docId=5703472&categoryId=61232.
네이버 지식백과, 「 감수성 검사 」,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0942&docId=3595795&categoryId=32762.
네이버 지식백과, 「 디스크 확산법 」, 미생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1232&docId=5894147&categoryId=61232.
네이버 지식백과, 「 MIC 」, 의학/간호 약어해설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0408&docId=4133175&categoryId=59580
네이버 지식백과, 「 페니실린 」, 약학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9913&docId=5661919&categoryId=59913.

성인간호학 수문사
성인간호학 현문사
네이버 대백과사전
대한간호협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