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견갑난산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1.2. 질환에 대한 통계자료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정의
2.1.2. 원인
2.1.3. 진단검사
2.1.4. 합병증
2.1.5. 치료
2.2. 간호력
2.3. 간호과정
2.3.1. 간호사정
2.3.2. 간호진단
2.3.3. 간호계획 및 중재
2.3.4. 간호평가
2.4. 간호기록
3. 결론 및 고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최근 결혼연령이 늦어지면서 초산연령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고위험 임신률도 증가하고 있다""(). 고령 임산부의 경우 태아염색체이상,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병, 조기진통, 태반조기박리 등이 발생할 위험이 크고 특히나 임신 전부터 비만, 당뇨병, 고혈압과 같은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엔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1.2. 질환에 대한 통계자료
통계청이 발표한 전체 산모에 대한 고령산모(35세 이상)의 비율을 살펴보면 2019년도에 33.3%로 2009년 15.4%, 2014년 21.6%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최근 결혼연령이 늦어지면서 초산연령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고위험 임신률도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임신성 당뇨병의 진료인원도 임신성 고혈압의 진료인원에 비해 10배 이상 많은 것을 보아 임신성 당뇨병이 문제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고령임신은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요인이므로 조기에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정의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이란 "원래 당뇨가 없던 사람이 임신 20주 이후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임신 기간 중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인해 모체의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게 되고, 정상적으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되어야 하나 인슐린 분비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임신성 당뇨병이 발병하게 된다.
2.1.2. 원인
임신성 당뇨병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임신성 당뇨병의 주요 원인은 임신 중에 발생하는 인슐린 저항성 증가이다. 임신 중에는 여러 가지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정상적으로는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여 이를 극복하지만 인슐린 분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임신성 당뇨병이 발병하게 된다. 특히 고령 임부, 비만한 임부, 이전에 임신성 당뇨병을 앓았던 경험이 있는 경우 인슐린 저항성이 더욱 증가하여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이 높다.
또한 과거 당뇨병 가족력이 있거나, 이전에 거대아를 출산한 경력, 임신 중 과도한 체중증가 등도 임신성 당뇨병의 주요 위험요인이 된다. 임신 초기에는 대사적 변화로 인해 오히려 인슐린 감수성이 증가하여 임신 초기 체중감소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임신 중기 이후에는 점진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임신 중 발생하는 신체적 변화와 함께 임부의 과거력, 생활습관 등 다양한 요인이 임신성 당뇨병 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2.1.3. 진단검사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검사"이다.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선별검사와 확진검사가 필요하다"이다. 선별검사로는 50g 경구 포도당 부하검사(50g OGTT)가 시행되며, 임신 24-28주 사이에 시행한다"이다. 이 검사는 금식 없이 50g의 포도당 용액을 마시고 1시간 후에 혈당을 측정하는 것으로, 혈당이 130-140mg/dL 이상이면 확진검사를 받아야 한다"이다. 확진검사로는 100g 경구 포도당 부하검사(100g OGTT)가 시행되며, 공복 상태에서 시행한다"이다. 공복 혈당 측정 후 100g의 포도당 용액을 마시고 1시간, 2시간, 3시간 후 혈당을 측정하며, 4회 중 2회 이상 기준치보다 높게 나오면 임신성 당뇨로 진단된다"이다.
2.1.4. 합병증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의 주요 합병증은 거대아, 분만 시 외상, 신생아 저혈당증,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난산으로 인한 제왕절개, 제 2형 당뇨병 등이다.
거대아는 출생 시 체중이 4,000g 이상인 신생아를 의미하는데, 이는 임신성 당뇨병 산모에게서 자주 발생한다. 거대아는 분만 시 어깨 난산, 골절, 신경손상과 같은 외상을 입을 위험이 높다. 또한 제왕절개로 분만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산모의 회복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신생아 저혈당증은 임신성 당뇨병 산모에게서 태어난 신생아에...
참고 자료
Abid A. Brachial plexus birth palsy: Management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Orthop Traumatol Surg Res. 2016 Feb;102(1 Suppl):S125-32.
Nafisa K. Dajani, Everett F. Magann, Complications of shoulder dystocia, Seminars in Perinatology, Volume 38, Issue 4, 2014, Pages 201-204.
김희순 외 (2019). 아동청소년간호학 I, 수문사
김희순 외 (2019). 아동청소년간호학 II, 수문사
송경애 외 (2017), 최신 기본간호학 1, 수문사
임신육아종합포털아이사랑, 난산의 위험, https://www.childcare.go.kr/cpin/contents/020106010000_ 3.jsp;jsessionid=hBQH3tUvDEQHm29DSlpmfi1HMDhAA1Jiw2TWPne1Gik8vu30Opkq2NIrg4ulD7zb.mwdawas02_servlet_pcms, 2020.11.23.
구미차병원, 어깨난산, http://gumi.chamc.co.kr/healthinfo/HealthGuide.aspx?menucode=637&gc_ index=297&g_code=37, 2020.11.23.
wikipedia, Shoulder dystocia, https://en.wikipedia.org/wiki/Shoulder_dystocia, 2020.11.23.
푸드&메드, 고위험 신생아 절반 정도가 저체온증 경험, http://www.foodnmed.com/news/articleView .html?idxno=11802, 2020.11.24.
서울아산병원, 과체중아, http://child.amc.seoul.kr/asan/depts/child/K/bbsDetail.do?menuId=4342&c ontentId=259849, 2020.11.24.
여성건강간호학Ⅰ.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20.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Ⅱ.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20. 수문사
대한산부인과 의사회 여성건강정보 사이트http://www.wisewoman.co.kr/piim365/
분만의 생리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yoonjiwon/6.pdf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7
NANDA 간호진단 https://m.blog.naver.com/snow_cm/221518671252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97~103, 181~189, 203~205
임웅재. 고령임신, 임신성당뇨‧고혈압 가능성 높아 세밀한 산전검사를. 서울경제. 2020.05.27. Available fr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Z2WXOMDX4
임신성고혈압‧당뇨, 진료인원 30만명‧진료비 520억. 데일리메디. 2020.10.11. Available from: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61327&thread=22r01
약학정보원 [Internet]. 서울: 저자; 2020 [cited 2020 11 30]. Available from:
http://www.health.kr/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178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Ⅰ. 제 3판. 서울: 현문사; 2018. p.221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206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Ⅰ.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396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204~205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188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Ⅰ.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410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Ⅱ. 제3판. 서울: 현문사; 2017. p251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제1판. 서울: 현문사; 2017. p.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