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단환자 응급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절단환자 응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절단(Amputation)
1.1. 정의
1.2. 원인
1.3. 종류

2. 절단 사고 시 응급처치와 절단부위 상처치유
2.1. 응급처치
2.2. 절단부위 상처치유

3. 합병증
3.1. 감염
3.2. 치유 지연
3.3. 만성적인 절단부 통증
3.4. 환상지통
3.5. 관절구축
3.6. 조직 괴사

4. 간호
4.1. 절단 환자 간호의 목적
4.2. 절단 환자 간호 중재

5. 사지 수부 amputation 환자 응급관리
5.1. 정의
5.2. 원인 및 적응증
5.3. 진단검사
5.4. 절단의 종류
5.5. 절단의 위치
5.6. 증상 및 징후
5.7. 응급처치
5.8. 합병증
5.9. 당뇨 발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절단(Amputation)
1.1. 정의

절단(Amputation)이란 병소가 되는 신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만일 관절 부위에서 잘린 경우는 이단(disarticulation)이라고 한다. 여러 원인에 의해서 특히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의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적 수술로서 행해지기도 한다. 외상성 절단사고의 경우, 2000년 기준으로 약 13만건의 사고가 있었다고 접수되었으나, 현재 여러 공정의 과정이 자동화되거나 안전장치가 확보되면서 산업재해로서 나타날 수 있는 사고는 현저히 줄고 있는 추세로 2022년 기준 절단, 베임, 찔림 사고는 총 10,374건이 일어났다.


1.2. 원인

말초혈관질환(peripheral vascular disease; PVD)이 절단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동맥경화나 혈전 등에 의해 혈관의 단면이 좁아지고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하지 근육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특히 당뇨병이 고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걷거나 오르막을 오를 때 쥐가 나는 듯한 증상을 유발하는 '간헐성 파행'이 나타나지만, 진행될 경우 괴사 등으로 조직 손상이 진행되어 절단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외상성 절단은 자동차 사고 혹은 노동 중의 사고나 폭력 등에 의해 발생하며, 젊은 남성에게서 호발한다. 또한 동상과 화상, 감전 등의 사고로도 외상성 절단이 나타날 수 있다. 절단 사고가 일어나는 부위는 다양하지만, 많은 경우 손가락 혹은 발목 등에서 많이 발생한다. 손가락과 같은 작은 신체 부위 및 사지 전체의 성공적인 재접합 수술이 가능하다.


1.3. 종류

절단의 종류에는 개방성 절단과 폐쇄식 절단이 있다.

개방성 절단(open amputation)은 환부를 단면으로 절단하는 것으로, 감염이 있을 때 실시하며 삼출액의 배출을 위해 상처부위를 봉합하지 않는다. 이는 감염이 있는 경우 감염부위를 노출시켜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이다.

반면 폐쇄식 절단(closed amputation)은 환부를 절단한 후 절단부의 피부로 절단 상처를 완전히 봉합해 폐쇄하는 방법이다. 이는 절단부에 감염의 우려가 없을 때 실시하는데, 감염 위험을 낮추고자 봉합하여 폐쇄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개방성 절단은 감염이 동반된 경우에, 폐쇄식 절단은 감염 위험이 없는 경우에 주로 선택되는 절단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2. 절단 사고 시 응급처치와 절단부위 상처치유
2.1. 응급처치

절단 사고 시 응급처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시 절단사고 환자임을 밝히며 119에 신고하고, 상처를 직접 압박하거나 높이 들어올려 지혈시킨다. 깨끗한 거즈로 감싸주는 것은 쇼크 예방에 도움을 준다. 절단부위를 생리식염수로 씻어 물기가 없고 깨끗한 거즈로 감싼다. 거즈로 감싼 후 다시 큰 타월로 싼 후 비닐로 밀봉해 얼음과 물 1:1의 비율로 섞은 용기에 봉지를 담아 냉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환자와 함께 빠르게 접합 가능한 전문 병원으로 재빨리 이송하도록 한다. 절단 부위를 절대 얼음물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2.2. 절단부위 상처치유

절단부위 상처치유는 감염의 예방과 부종의 최소화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경성 드레싱과 압박 드레싱이 사용되는데, 경성 드레싱은 보철물 착용을 위해 절단부에 석고 드레싱을 하고 절단부의 말단부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압박 드레싱은 잦은 상처관찰이 필요한 경우 연성 압박 드레싱을 적용하며, 부목을 적용해 절단부와 보철물이 잘 맞도록 지지해줄 수 있게 한다. 또한 절단부의 피부를 강화시키도록 격려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절단부위 상처관리는 감염 예방과 상처치유를 위해 매우 중요하며, 경성 드레싱과 압박 드레싱을 통해 절단부의 안정성과 피부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정기적인 상처 관찰과 치료제 사용, 그리고 피부 관리 등 다양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3. 합병증
3.1. 감염

절단부의 감염은 절단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주요 합병증 중 하나이다. 절단부의 감염은 절단 환자의 예후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절단부의 감염은 외상성 절단, 당뇨병, 말초신경혈관장애가 있는 환자의 계획된 절단에서 주로 발생한다. 절단부 감염의 주요 증상으로는 절단부위의 배액, 냄새, 발적 및 봉합부위의 불편감 증가 등의 국소감염 증상과 발열, 심박수 증가, 혈압 감소, 오한, 상처나 혈액배양검사의 양성소견 등의 전신감염 증상이 나타난다.

절단부 감염의 위험요인으로는 외상성 절단, 당뇨병, 말초신경혈관장애 등이 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관 및 신경 기능 장애로 인해 감염에 취약하다. 또한 절단 수술 과정에서 수술 부위의 오염이나 무균술 준수 부족 등도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절단부 감염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절단부위의 깨끗한 소독과 드레싱 관리, 항생제 투여, 혈당 조절, 영양 공급 등이 중요하다. 특히 수술 직후 발적, 배액, 온도, 부종 등을 주기적으로 사정하여 감염 징후를 빨리 발견하고 적절한 처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처 드레싱 시 무균술을 준수하고,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여 감염을 예방해야 한다.

절단부 감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항생제 투여, 상처 배액, 필요 시 재수술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감염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신속한 대응이 중요하다.

따라서 절단 환자의 감염 관리를 위해서는 절단부위의 철저한 관찰과 상처 관리, 감...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I,Ⅱ』, 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
서울아산병원.(n.d).절단┃질환백과.2022년 11월 05일 검색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3495
서울아산병원.(n.d).당뇨병과 말초혈관질환┃메디컬 칼럼.2022년 11월 05일 검색
https://www.amc.seoul.kr/asan/healthstory/medicalcolumn/medicalColumnDetail.do?medicalColumnId=33903
중앙응급의료센터.(n.d).절단┃기타 응급 증상.2022년 11월 06일 검색
https://www.e-gen.or.kr/egen/etc_emergency_symptom.do?contentsno=55
NHS(National Health Service).(n.d).TENS(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Health A to Z. 2022년 11월 06일 검색
https://www.nhs.uk/conditions/transcutaneous-electrical-nerve-stimulation-tens/
Cornell Orthorics & Prosthetics.(n.d).PSRD: POLYTHYLENE SEMI-RIGID REMOVABLE DRESSING–INSTRUCTIONS┃Blending science. 2022년 11월 06일 검색
https://www.cornelloandp.com/psrd-polythylene-semi-rigid-removable-dressing-instructions/
KOSIS.(2022.03.14.).전체 재해 현황 및 분석-발생형태별(산업별 중분류)
https://kosis.kr/search/search.do
성인간호학Ⅱ-수문사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정담 (최정신 외)
http://media.lanecc.edu/users/howardc/PTA205L/205LAmputation/205LAmputation_print.html(그림)
http://img.medscape.com/pi/emed/ckb/clinical_procedures/79926-79928-1237886-1996094tn.jpg(그림)
기본간호학 2-현문사(손정태 외)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