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독도는 한국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독도의 역사적, 법적 지위
1.1. 독도의 역사적 지위
1.1.1. 이사부의 우산국 정복
1.1.2. 안용복의 울릉도ㆍ독도 수호 활동
1.1.3. 고지도에 나타난 독도
1.2. 독도의 법적 지위
1.2.1. 대한제국의 독도 관할
1.2.2. 일본의 독도 편입 시도
1.2.3. 국제법적 근거
1.3. 한일 간 독도 영유권 분쟁
1.3.1.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1.3.2. 한국의 반박
1.4. 독도의 현재 지위
1.4.1. 한국의 실효적 지배
1.4.2. 향후 과제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독도의 역사적, 법적 지위
1.1. 독도의 역사적 지위
1.1.1. 이사부의 우산국 정복
512년, 신라의 장수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복하면서 독도 또한 한국의 영토로 인식되었다. 신라의 장수 이사부는 아슬라주의 군주가 된 이후, 우산국의 사람들을 우둔하며 사납고, 다루기 어려운 사람들이기에 항복을 받기 어려워 계략을 통해 항복을 받아야 한다 생각하였다. 이에 이사부는 나무로 사자를 만든 후 이를 내세우며 "너희들이 만약 항복하지 않는다면 이 맹수를 풀어 너희들을 밟아 죽이도록 하겠다."라고 말하였고, 이에 우산국의 백성들은 두려워하며 항복하였다. 이후 우산국이 귀복하며, 매년 토산물을 공물로 바치기로 하였다. 우산국은 울릉도를 기점으로 그 주위의 부속 도서들에 영향력을 미치는 소국이었으며, 이를 통해 독도 또한 우산국의 영토임을 알 수 있다.
1.1.2. 안용복의 울릉도ㆍ독도 수호 활동
숙종 19년, 동래 어민인 안용복과 왜인 어부들 사이에서 충돌이 있었다. 후 왜인들은 안용복과 박어둔 등을 납치하여 일본의 오키섬에 납치되었다. 후에 일본은 대마도주를 통해 "죽도에 조선 어민의 출어를 금지하여 달라"는 요구를 조선에 요구하였는데, 조선 정부는 "죽도는 울릉도이니 일본어민의 출어를 금지하라"라고 답변하며 양국 간 외교전이 일어났다. 후 일본은 일본 어민이 울릉도와 독도에서 출어하는 것을 금지하겠다고 하며, 이 문제는 해결되는 듯 싶었지만, 일본은 울릉도를 죽도라고 하면서 고기잡이와 벌목을 계속 진행하였는데, 이를 본 안용복은 일본인들을 내쫓고, 그들을 따라가 돗토리번주 앞에서 이를 항의하고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땅이라는 것을 명확히 하는 요구를 하였다. 이에 돗토리번주는 울릉도와 독도는 조선의 땅에 속하며, 만약 국경을 넘어 다시 침범하는 자가 있다면 처벌하겠다고 약속하며 에도막부의 의견을 전했다. 이러한 안용복의 활동으로 애도 막부는 울릉도와 독도의 도해 금지 명령을 내리면서, 이를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땅이라는 것을 확인시켰다 할 수 있다..
1.1.3. 고지도에 나타난 독도
고지도에 나타난 독도는 우산도 또는 무릉도라는 이름으로 조선의 영토로 표시되어 왔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조선시대 지리지에는 울릉도와 독도가 별개의 섬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팔도총도』와 『동국지도』 등의 고지도에서도 독도가 울릉도 동쪽에 위치한 것으로 표시되고 있다. 또한 1785년 일본 학자 하야시 시헤이의 『삼국통람도설』에서도 울릉도와 독도가 모두 조선의 영토로 표기되어 있다. 에도시대 문화 6년(1809년)에 제작된 「일본변계약도」에서도 동해를 조선해라 하고 우산도(울릉도, 독도)를 조선영토로 표시하고 있다. 이처럼 오래전부터 역사적 고지도들은 일관되게 독도를 한국의 영토로 인정해왔음을 보여주고 ...
참고 자료
홍정희, [독도를 우리 땅이라고 주장하는 방법]
https://www.korea.kr/news/reporterView.do?newsId=148823496
우주먼지의 하루, [독도가 우리 땅인 이유]
https://rk1993.tistory.com/entry/%EB%8F%85%EB%8F%84%EA%B0%80-%EC%9A%B0%EB%A6%AC-%EB%95%85%EC%9D%B8-%EC%9D%B4%EC%9C%A0%EC%97%AD%EC%82%AC%EC%A0%81-%EC%A7%80%EB%A6%AC%EC%A0%81-%EA%B5%AD%EC%A0%9C%EB%B2%95%EC%A0%81
k-독도, [독도의 인물]
http://k-dokdo.com/index.do?menu_id=00010074
마이프랜드 효성, [독도가 우리 땅인 이유, 팩트체크]
https://blog.hyosung.com/3708
독도의 역사 3-2, 우산도와 독도 인식
독도의 역사 6-1, 울릉도 쟁계
독도의 역사 6-2, 울릉도 쟁계
독도의 역사 7-1, 울릉도 쟁계
독도의 역사 7-2, 울릉도 쟁계
독도의 역사 9-1, 울릉도 쟁계
독도의 역사 9-2, 안용복의 2차 도일
독도의 역사 10-1, 안용복의 2차 도일
1. 독도냐 다께시마냐, 김병렬, 다다미디어, 1998.
2. 독도 연구, 김명기, 법률출판사, 1998.
3. 네이버(Naver.com) 독도의 중요성. http://www.truthofdokdo.or.kr/kor/html/importance_similarity.html
독도는 한국땅 | 김화홍 | 인간과 자연사 2005
독도영유 진실 이해 | 신용하 | 성루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독도: 독도자료총람 | 김병렬 |다다미디어 1998.
세계의 도서분쟁과 독도 시나리오 | 배진수 | 한국군사문제연구원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