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세대 가족치료의 관점과 기법을 통해서 우리가족을 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의 개념 및 치료기법
1.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개념
1.2.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치료기법
2. 한부모가족의 문제와 지원대책
2.1. 한부모가족 문제
2.2. 한부모가족 지원대책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의 개념 및 치료기법
1.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개념
보웬은 가족을 하나의 사회체계로 여겨 하나의 부분에서 나타나는 변화는 다른 부분에서의 변화를 일으킨다는 상호관계서의 체계이론으로 문제 원인과 치료를 전형적인 인과관계 특징으로 묘사한다.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은 진화모델, 감정 모델, 연속 모델이라는 특징을 지니며, 주요 개념에는 자기분화, 삼각관계, 핵가족 감정 체계, 다세대 간 전수 과정 등이 포함된다. 자기분화는 개인이 다른 사람이 아니라 자기만의 방식에 따라서 기능하는 것을 배우는 과정이며, 삼각관계는 가족구조 안에서 두 사람 사이 스트레스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다른 가족 구성원을 두 사람 사이 서로 맞물린 관계 체계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핵가족 감정 체계는 미분화된 가족 자아 덩어리를, 다세대 간 전수 과정은 감정 과정이 삼각관계와 투사과정을 통해서 다음 세대에 전수되는 것을 의미한다.
1.2.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치료기법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치료기법은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는 가족의 문제가 어떤 것인지 정의하고 가족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서 가계도 작성과 변화전략을 구상한다. 상담자는 가계도를 통해 가족의 상호작용만이 아니라 그들의 주된 삼각관계를 파악할 수 있고 삼각관계 유형은 세대 사이 어떠한 모습으로 지속되는지 파악함에 따라 이를 변화할 전략 등을 구성할 수 ...
참고 자료
김영숙, 2015,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을 적용한 가족관계 회복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p.25~45
임병연, 2008, 한부모가족의 주거안정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p.12~14
조세영, 2009, 한부모가족에 대한 목회적 돌봄 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학원, p.47~57
김유숙, 가족치료(이론과 실제), 2014, 학지사
정문자, 정혜정 외 2명, 가족치료의 이해, 2018, 학지사
Family Therapy. Goldenberg, Irene & Goldenberg, Herbert. 가족치료. 김득성 외 역. 시그마프레스, 2003.
가족상담. 김유숙. 학지사, 2015.
가족치료: 이론의 실제. 김유숙. 학지사, 2012.
Family Evaluation. Kerr, M. E. & Bowen, Murray. 보웬의 가족치료이론. 남순현, 전영주, 황영훈 공역, 학지사, 2005.
가족치료의 이론과 기법. 송정아, 최규련. 하우 출판사, 1999.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 Nichols, Michael P. & Schwartz, Richard C.가족치료 개념과 방법. 김영애 외 역. 시그마플레스, 2005.
Family Therapy: A Systemic Integration. Becvar, D. S. & Becvar, R. J. 가족치료: 체계론적 통합. 정해정·이형실 역. 도서출판 하우, 2006.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김혜숙. 학지사, 2003.
가족관계와 가족치료. 송성자. 홍익제, 1991.
가족치료 이론. 김용태. 학지사, 2000.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에 근거한 신학대학원생의 가족배경 분석 및 상담. 김영근. 복음과 상담 16. 2011.
영화 <세자매> 분석을 통해 본 아동기 정서학대의 다세대 전수과정 : 보웬의 가족체계이론을 중심으로. 박혜진.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