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에서 결장암(대장암)은 2013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1년에 연 218,017건의 암이 발생되었는데, 그 중 결장암은 남녀 합쳐서 연15,674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7.18%를 차지했다. 남녀 발생건수는 남자가 연 9,228건, 여자가 연 6,226,건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발생한다. 또한 남녀를 합쳐서 본 연령대별로는 60대가 29.3%로 가장 많고, 70대가 27.2%, 50대가 21.9%, 2~10%빈도로 젊은 사람에게도 발생하고 있는데 이처럼 젊은 층에서 나타나는 결장암은 가족력이 있는 사람에게 많이 발생한다.
또한 결장암의 50%는 직장에서 발생하며, 20~30%에서는 S결장과 하행결장에서 발생한다. 최근에는 식생활 문화의 서구화로 결장암의 발생률과 사망률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결장암은 치료 효과가 높아 초기에 발견하면 완치될 가능성이 높다. 대변에 잠혈이 섞여 나오므로 대변의 잠혈반응 검사를 받거나 대장조영술 및 대장내시경 검사 등으로 조기 진단이 가능하며 식생활과 운동, 햇빛을 통해 예방 및 증상 완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고 나아가 우리나라에서 발생빈도 증가하고 있는 결장암에 관한 지식을 함양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1.2. 연구기간 및 방법
본 연구는 20**년 5월 28일부터 20**년 6월 3일까지 **대학교병원 21병동에 입원 중이신 강**님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기간은 약 1주일 동안 진행되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고찰, 관찰, 차트 및 간호기록지 분석, 보호자 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기록하였다""
1.3. 문헌 고찰
1.3.1. 정의
결장암은 대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의미한다. 대장은 소장에서 시작하여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결장으로 구성되며, 이 중 S상결장, 하행결장, 상행결장 순으로 결장암이 호발한다. 대부분의 결장암은 선암이며, 이 외에도 림프종, 육종, 신경내분비종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결장암은 점막층에서 시작하여 점막하층, 근층, 장막층 순으로 진행하며 점점 악화된다. 또한 혈관과 림프관을 통해 전이될 수 있어 간, 폐, 골 등의 장기로 파급될 수 있다.
1.3.2. 위험요인
결장암 발병 위험 요인에는 50세 이상의 연령, 선종성 용종, 염증성 장질환, 유전적 요인, 식이 요인, 신체 활동 부족, 비만, 음주 등이 있다.""
50세 이상의 연령은 결장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데, 특히 60~70세 연령대에서 발생 빈도가 가장 높다. 선종성 용종은 크기가 클수록, 고등급 이형성증을 보일수록, 그리고 융모같은 특성을 보일수록 발암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성 장질환인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있을 경우 결장암 발병 위험은 4~20배 상승하며, 이로 인한 결장암은 일반 결장암보다 20~30년 일찍 발병한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가족성 용종증과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 등이 있다. 가족 중에 대장암의 전구병변인 선종이나 대장암이 발생한 환자가 있는 경우 그 가족에게 결장암이 발생할 확률이 일반인에 비해 높다.""
식이 요인으로는 붉은 고기와 같은 동물성 지방의 과도한 섭취, 육가공품의 섭취, 섬유질 섭취 부족 등이 결장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발한 신체 활동은 결장직장암의 위험을 낮추지만, 신체활동이 부족하면 그 위험이 증가한다.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결장직장암 발생 위험은 더욱 커지며, 복부비만도 결장직장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과도한 음주 역시 결장직장암의 위험요인 중 하나이다.""
1.3.3. 증상
조기 결장암은 대부분 증상이 없기 때문에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이다. 결장암이 진행됨에 따라 동반되는 증상 중 가장 흔한 증상은 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이다. 거의 모든 예에서 배변 습관의 변화가 있으며, 변비가 심해지거나 설사가 동반될 수 있다. 배변 후에도 완전한 배변감을 느끼지 못하고 대변이 남아있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약간의 통증을 느낄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말기가 될 때까지 통증이 없다. 암의 크기가 커지면 장 내경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배변 곤란, 복부 팽창 등이 생길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