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 가족의 현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우리나라 노인가족의 현황
2.1. 노인가족 수 및 구성
2.2. 노인부양 부담 증가
3. 베이비 붐 세대의 노인일자리 확보방안
3.1. 개인적 방안
3.1.1. 구직지원 서비스 활용
3.1.2. 직업훈련 및 평생교육 참여
3.2. 지역적 방안
3.2.1. 지방정부와 지역사회 참여 독려
3.2.2. 지역 맞춤형 정책 개발
3.3. 국가적 방안
3.3.1.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
3.3.2. 노인일자리 사업 강화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의 사회는 평균 수명의 증가로 인해 세계적으로 이례적인 급속한 고령화 문제에 처해있다. 이런 현상으로 생애 주기에서의 노년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함에 의해 고령자들이 노년기에 적극적으로 사회생활에 참여해야 하는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2020년 기준 인구통계에 의하면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인구는 총 인구의 16.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2년엔 11.5% 2016년엔 13.2% 2020년 15.7%, 현재는 16.5%이다. 이렇게 한국의 고령화 사회 진행 속도는 매우 빠르게 이뤄지고 있으며, 2018년부터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게 되었고, 2026년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치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노년 부양비는 1980년에서 2003년엔 11.6%로 증가했고, 2007년엔 13%에서 2012년엔 16.75%로 증가했으며, 2030년엔 37.7%, 2060년엔 72%로 나타나 노인부양비가 계속해서 급속도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고령사회의 도래는 단순히 고령 인구의 규모가 커진다는 것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미 진행된 급속한 고령화는 노인인구의 부양비 증가, 경제성장률의 저하, 재정 부담 확대 등 여러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다. 고령화 사회는 노령층의 삶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사회, 경제 등 우리 삶 전체에 큰 변화를 야기함으로써,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2. 우리나라 노인가족의 현황
2.1. 노인가족 수 및 구성
우리나라 노인가족 수는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09년부터 2020년까지의 노인 가족(고령 인구) 비율을 살펴보면 점차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2009년 10.6%였던 노인 가족 비율이 2020년에는 15.7%로 5% 이상 증가했다. 이는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노년기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2025년이 되면 노인 인구가 1,0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2036년에는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3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노인가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2019년 기준 독거노인 가구는 약 137만 가구, 자녀세대 또는 배우자와 함께 동거하는 노인가구는 약 350만 가구였다. 노인가구 중 배우자와 함께 동거하는 비중은 약 63%로 나타났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노인 가족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가구의 특성 또한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2.2. 노인부양 부담 증가
현재 국내에서는 어떤 식으로든 직업에 임할 수 있는 생산연령인구(15~64세)에 해당하는 5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고 있는 꼴이다. 그러나 노인 가족이 증가하면서 이런 부양 부담은 빠르게 커지고 있으며, 사회의 불만도 제기되고 있다.
대략 20년 후인 2040년 쯤에는 생산연령인구 3명 당 노인 1명을 부양하게 되고, 2060년엔 생산연령인구 1명 당,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이른바, '1인 1부양'시대가 현실화 될 전망이다. 이처럼 5명이 부양하던 노인 1명을 혼자 부담하게 되면, 세금와 보험...
참고 자료
오흥희, 「노인일자리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8.
이명숙,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반영한 노인 일자리 창출 활성화 방안」, 석사학위논문,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3.
이영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에 따른 생활태도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9.
함정선, 「고령화 쇼크, ‘째깍째깍’...내년 노인 800만, 5년뒤 1000만 시대」, 이데일리, 2019-11-29.
KOSIS 장례인구추계, 통계청 참고.
네이버백과사전, ‘베이비 붐 세대’ 참고.
KOSIS 국가통계포털 –고령자65세이상 일반가구-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
박차상 외 5명 저, 한국노인복지론, 학지사, 2007
고재욱 저, 노인복지론, 양서원, 2018
원석조 저, 노인복지론, 공동체, 2018
김도년 기자, 노인 일자리 끊자, 취업자 늘어난 곳…코로나가 만든 진풍경, 중앙일보, 2020.04
https://news.joins.com/article/23763112
이창환 기자, "세계에서 제일 가난한 韓노인들" 노인고용률 세계 2위의 그늘, 아시아경제,
2019.12, https://view.asiae.co.kr/article/2019121311152986601
손도언 기자, 단양군, 2019년 노인실태조사 보고서 발간, 중도일보, 2019.12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1231010013126
복지로 – 노인일자리 사업, https://online.bokjiro.go.kr/apl/info/aplInfoApplEldjbView.do
김용래 기자, 11살부터 78세 노인까지…서울 검정고시 4천800여명 합격, 연합뉴스, 2016.08
https://www.yna.co.kr/view/AKR20160824077100004?input=1195m
집단발달 및 이론별 촉진요인으로 구분한 집단상담 활동 권경인 저 | 교육과학사 | 2013.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