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AST

  • 1
  • 2
  • 3
  • 4
  • 5
>
최초 생성일 2024.12.04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BLAST"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미생물 동정 실험 - sequencing & BLAST
1.1. 실험 목적
1.2. 실험 재료
1.3. 실험 방법
1.3.1. DNA sequencing
1.3.2. BLAST를 이용한 균 동정
1.4. 실험 결과
1.4.1. 균 동정 결과
1.5. 토의
1.5.1. DNA sequencing의 중요성
1.5.2. BLAST를 이용한 균 동정 방법
1.5.3. BLAST 결과 해석의 핵심 요소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미생물 동정 실험 - sequencing & BLAST
1.1. 실험 목적

이번 실험의 목적은 5개의 DNA 및 단백질 서열을 BLAST를 이용해 동정하여 어떤 코로나 바이러스인지 파악하고, BLOSUM 분석을 활용하여 5개의 바이러스 중 Human-SARS-CoV-2와 가장 유사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바이러스가 무엇인지 관찰하는 것이다.


1.2. 실험 재료

실험 재료는 BLAST(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동정하려는 균의 염기 서열이다.

BLAST는 뉴클레오타이드 데이터베이스(nucleotide database)와 단백질 데이터베이스(protein database)의 신속한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 NCBI의 도구이다. 이를 통해 미지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또는 단백질 서열을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유사한 서열을 찾아 균을 동정할 수 있다.

동정하려는 균의 염기 서열은 DNA sequencing 기술을 통해 결정된다. DNA sequencing은 DNA에서 뉴클레오타이드의 순서인 염기서열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미지의 균을 동정하고 분류할 수 있다.


1.3. 실험 방법
1.3.1. DNA sequencing

DNA sequencing은 DNA에서 뉴클레오타이드의 순서인 염기서열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DNA sequencing에는 아데닌, 구아닌, 사이토신, 티민의 4가지 염기의 순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방법 및 기술이 포함된다. DNA 염기서열에 대한 지식은 기본적인 생물학적 연구와 의학 진단, 생명공학, 법의생물학, 바이러스학, 계통분류학과 같은 수많은 응용 분야에서 필수적이다. 정상적인 DNA 염기서열과 돌연변이가 일어난 DNA 염기서열을 비교하면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고, 항체 레퍼토리를 특정할 수 있으며, 환자 치료를 안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DNA를 신속하게 시퀀...


참고 자료

위키피디아, BLOSUM
https://ko.wikipedia.org/wiki/BLOSUM
위키피디아, SARS-CoV
https://ko.wikipedia.org/wiki/SARS-CoV
위키피디아, SARS-CoV-2
https://ko.wikipedia.org/wiki/SARS-CoV-2

유전공학의 이해/ 남상욱 외 2인/ 라이프 사이언스/ p.224~227
https://ko.wikipedia.org/wiki/DNA_%EC%8B%9C%ED%80%80%EC%8B%B1
http://www.bio.davidson.edu/courses/molbio/molstudents/01licohen/sequencing.html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