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맞춤형 아기 시술에 대한 논의
1.1. 유전자 조작을 통한 유전병 예방 가능성
배아 상태에서의 유전자 조작 기술을 활용하면 유전병 예방이 가능하다."
배아 단계에서의 유전자 조작을 통해 유전병을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2017년 우리나라 유전체 교정연구단은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 대학의 연구팀과 함께 인간배아에서 비후성 심근증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통해 교정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를 통해 비후성 심근증 변이 유전자가 자녀에게 유전될 확률을 50%에서 72.4%로 높일 수 있었다. 이처럼 배아 단계에서 병이 유전될 확률을 낮추고 병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유전자 조작을 통한 유전병 예방은 태아의 생명권 보장, 의료비용 절감, 환자의 삶의 질 향상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1.2. 불치병 치료와 환자의 삶의 질 향상
불치병 치료와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은 맞춤형 아기 시술의 중요한 의의 중 하나이다. 현대의학 수준에서 아직 많은 난치병의 원인이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전병 환자들은 현재 병을 치료할 마땅한 치료법이나 방법이 없어 평생 고통 속에서 살아가야 한다.
유전자 편집 기술은 이러한 유전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실제로 중국의 연구진은 유전자가위 기술을 통해 인간 배아에서 비후성 심근증의 유전자 돌연변이를 교정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비후성 심근증이 자녀에게 유전될 확률을 50%에서 72.4%로 낮출 수 있었다. 또한 미국과 중국의 과학자들은 줄기세포 이식에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하여 백혈병과 에이즈 환자의 치료에 성과를 거두었다.
이처럼 유전자 편집 기술은 불치병 환자들의 고통을 해결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유전병 환자들이 고통받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이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이 기술의 발전과 활용은 매우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윤리적 문제들을 적절히 관리하며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의료분야 적용을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1.3. 현재 기술 수준과 규제에 대한 상황
현재 기술 수준과 규제에 대한 상황은 다음과 같다. 유전자 편집 기술, 특히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실제로 인간 배아 단계에서 유전병의 유전자를 교정하는 연구들이 성공을 거두고 있다. 2017년 한미 공동 연구진이 인간 배아 유전자 교정에 성공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또한 2018년 중국의 과학자 허젠쿠이가 세계 최초로 유전자 편집 기술로 에이즈 저항성을 갖춘 맞춤형 아기를 탄생시킨 바 있다. 이처럼 유전자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