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2019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공포에 빠졌다. 지금까지 전 세계 3,106,433명의 사망자와 국내에서 1,820명의 사망자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다. (2021.4.26.기준) 이에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를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백신과 치료제를 신속하게 개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코로나19 예방용 백신의 종류로는 바이러스벡터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불활화 백신(시노팜, 시노백), DNA백신, RNA백신(모더나, 화이자), 재조합 백신(노바백스), 바이러스 유사입자 백신 등이 있다. 치료용 백신의 종류로는 중화항체치료제, 혈장분획치료제, 항바이러스제, 그 외 면역조절제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코로나19를 예방하기 위한 백신의 원리와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백신을 일정 조건에 따른 우선접종군을 먼저 접종하였으나, 2021.4.26.일부로는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접종을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는 올해 11월까지는 집단면역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백신이 나라마다 단기간에 급하게 개발되다 보니,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했다는 사례도 계속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우선접종을 시행하면서 백신부작용으로 사망하거나, 이상반응을 일으키는 상황이 일어나면서 백신에 대한 안전성과 검증성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도 안전성과 효과가 100% 확보된게 아니므로 대부분 더 시간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처럼 백신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공존하는 가운데, 백신의 정확한 작용원리와 각 백신들 간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하여 정확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백신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코로나19로부터 자신과 가족, 지역사회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어떠한 백신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고민해보았으면 한다.
2. 코로나19 백신의 개념 및 특징
2.1.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은 다음과 같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5월 1일 0시 기준으로 국내 신규 확진자 수는 593명, 해외유입 사례는 34명으로 집계되었다. 누적 확진자 수는 122,634명(해외유입 8,356명)에 이르렀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은 5월 1일 0시 기준으로 신규 1차 접종자가 259,018명을 기록하여 총 3,326,003명이 1차 접종을 완료했고, 2차 신규 접종자는 29,655명으로 총 228,399명이 2차 접종까지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일 접종자 10,991명이 추가 등록된 수치이다.
즉, 국내에서는 코로나19의 지속적인 확산세 속에서 정부 주도로 대규모 예방접종이 진행 중이며, 1차 접종자가 330만 명을 넘어서는 등 백신 접종이 속도를 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2. 백신 접종에 의한 코로나19 예방원리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으면, 인체 내로 들어온 백신의 항원 성분들이 면역세포(B세포)를 자극시킨다. 자극된 B세포에서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중화항체를 만들어서 몸속에 보관하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침입하는 경우, 몸속의 중화항체가 침입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제거한다. 이처럼 백신 접종을 통해 인체 내에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가 생성되어, 추후 실제 바이러스 감염 시 신속하게 이를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예방 효과를 나타낸다.
3. 코로나19 백신의 종류 및 작용 원리
3.1. 바이러스벡터 백신
바이러스벡터 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유전자를 다른 바이러스 주형에 넣어 주입함으로써 체내에서 표면항원 단백질을 생성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백신이다.
이 백신은 보관과 유통조건이 까다롭지 않고 가격이 저렴한 편이라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최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일부 사람들에게서 혈전 문제가 발생하는 등 안전성이 낮은 편이며,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에게 부작용이 발현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바이러스벡터 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를 다른 바이러스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벡터 바이러스가 사람의 세포에 침투하면 세포 내에서 스파이크 단백질이 생산되고, 이를 통해 면역반응이 유도된다. 즉, 코로나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