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자아방어기제 적용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아방어기제
1.1. 자아방어기제의 개념과 유형
1.1.1. 자아방어기제의 정의
1.1.2. 자아방어기제의 대표적인 유형
1.2. 필자의 자아방어기제
1.2.1. 합리화
1.2.2. 전치
1.3. 자아방어기제의 과도한 사용에 대한 관리 및 극복 노력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아방어기제
1.1. 자아방어기제의 개념과 유형
1.1.1. 자아방어기제의 정의
자아방어기제의 정의는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심리기제"이다. 자아방어기제는 외부의 갈등이나 불안에 의해 자아가 부정적인 감정을 겪는 것을 막기 위해 작용하는 인간의 무의식적인 심리적 메커니즘을 말한다. 즉, 자신의 자아를 보호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가 무의식적으로 발현되는 것이 자아방어기제의 정의라고 할 수 있다.
1.1.2. 자아방어기제의 대표적인 유형
자아방어기제의 대표적인 유형에는 취소, 상환, 투사, 동일시, 대상(보상), 대체형성 등이 있다.
첫째, '취소'는 무의식의 범주에서 특정 대상을 향해 가지고 있었던 자신의 성적 및 적대적인 욕구 때문에 그 대상이 입었다고 상상하는 피해 등과 같은 감정을 불인정하거나 취소 또는 원상복귀 하는 행위를 말한다.
둘째, '상환'은 무의식 범주에 존재하는 죄책감 등을 소거하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일부러 고생을 사서 하는 등과 같은 행동을 말한다.
셋째, '투사'는 무의식의 범주 내에서만 지니고 있었던 공격적인 충동 및 계획 등이 나의 것이 아닌 타인의 것이라고 미루는 것을 말한다.
넷째, '동일시'는 보통 청소년기에 많이 표출되며, 부모, 형제 혹은 선호하거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인물들의 태도 및 행동 양식 등을 닮고자 하는 것을 ...
참고 자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교안
[시니어이미지컬럼] 방어기제에 관한 탐구, 퍼블릭뉴스, 김이령,
https://www.p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8493
[상한 마음의 치유]방어기제-합리화, 중앙일보, 박상섭,
https://news.koreadaily.com/2018/05/22/society/opinion/6218503.html
권석만. 성격심리학(인간 이해를 위한). 학지사. 2017.
김상인. 방어기제와 정신건강. 한국전인교육개발원. 2009.
안나 프로이트. 자아와 방어 기제. 열린책들.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