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강형평성 제고 위한 국내외 보건의료정책 변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필요성
2. 본론
2.1. 국내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2.1.1.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 2030)
2.1.2. 국내 보건의료 정책의 변화
2.2. 국외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2.2.1. 미국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2.3. 국내·국외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비교
2.3.1. 유사점
2.3.2. 차이점
2.4. 개선된 국내·국외 건강증진 보건의료 정책 수립을 위한 제안
2.4.1. 국내 보건의료 정책 수립을 위한 제안과 개선점
2.4.2. 국외 보건의료 정책 수립을 위한 제안과 개선점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필요성
건강증진은 개인의 건강 생활 실천 능력의 제고뿐 아니라 법·제도·공공정책 등의 사회지원체계가 건강 친화적으로 구축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는 국민건강의 패러다임이다. 이는 사업목표를 중시하는 개념, 중재 과정을 중시하는 개념, 자가 건강 관리 능력개발을 중시한 개념으로 나뉜다. 이러한 건강증진의 목표 및 목적을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비용 효과적이며 자가 건강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개인이나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건강잠재력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건강한 수명을 연장하고 만성 퇴행성 질환의 증가로 인한 국가의 경제·사회적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선진국인 우리나라는 생활 환경과 의료 수준의 발달로 인해 고령화가 진행되었다. 의료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구의 기대수명이 늘어나고 이에 따른 개인과 사회적 부담감은 점차 증가하게 되었다. 시대의 발전으로 인한 빈부격차로 인해 의료비가 증가하면서 치료를 받지 못하는 인구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만성질환이 증가하면서 여러 개의 만성질환을 보유한 복합 만성질환 발생과 복합 만성질환의 관리에 대한 예방 차원의 적극적인 건강 관리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민들의 만성질환의 유병률 감소, 만성질환의 조기 치료 및 예방 정책을 2002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2. 본론
2.1. 국내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2.1.1.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 2030)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 2030)은 국민건강증진법 제4조에 근거하여 매 5년마다 수립되는 중장기 정책 계획으로, 건강 관리와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은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21년~2030년)을 추진 중이다.
이 계획은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총 6개의 주요 분야와 28개의 중요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6개의 주요 분야는 건강생활실천, 정신건강관리, 비감염성 질환 예방관리, 감염 및 기후변화성 질환 예방관리, 인구집단별 건강관리, 건강 친화적 환경 구축으로 분류된다.
이 계획의 비전은 "모든 사람이 평생 건강을 누리는 사회"이며, 주요 목표로는 "건강수명 연장"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설정하고 있다. 건강수명 연장은 평균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활동하지 못한 기간을 뺀 기간을 나타내는 지표로, 건강증진을 통한 질병 예방과 건강한 삶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건강형평성 제고는 다양한 인구 집단 간의 건강 격차를 줄이고 모든 사람들이 동등한 건강 수준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앙정부는 이러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법령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매년 시행할 계획 및 세부 계...
참고 자료
지역사회보건간호학편찬위원회. (2022). 최신 지역사회 보건간호학 Ⅰ·Ⅱ, 수문사.
신지원. (2023). 이주민의 건강권 증진을 위한 지역보건의료사업: 미국 캘리포니아와 LA 사례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다문화, 13(3), 145-170.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2022).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Ⅱ. 수문사.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ttps://www.khealth.or.kr/healthplan
보건복지부. (2017).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실행전략 개발』.
이영선외 3명. (2020). 지역사회 공공보건의료정책 강화방안. 경운대학교.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Orte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87366
이정재 외 3명. (2014). 한국과 일본의 미래기술 비교(생명·의료분야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https://koreascience.kr/article/CFKO201209763878513.pdf
지역사회보건간호학편찬위원회. (2021). 최신지역사회보건간호학. 수문사.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22).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ttps://www.khealth.or.kr/board/view?pageNum=4&rowCnt=8&no1=4&linkId=1002740&menuId=MENU01320&schType=0&schText=&searchType=&boardStyle=Gallery&categoryId=&continent=&country=&contents1=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22).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ttps://www.khealth.or.kr/board/view?pageNum=4&rowCnt=8&menuId=MENU01320&maxIndex=99999999999999&minIndex=99999999999999&schType=0&schText=&searchType=&categoryId=&continent=&country=&upDown=0&boardStyle=Gallery&no1=4&linkId=1002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