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국의 외교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미국 외교정책의 변화
1.1. 대외정책 기조
1.2. 대 한반도 정책
1.3. 대 중국 정책
1.4. 대 유럽 정책
1.5. 대 중동 정책
2. 미국 외교 정책에 미치는 셰일 혁명의 영향
2.1.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
2.2. 미국의 셰일 가스 개발 기술의 발전
2.3. 셰일 가스의 긍정적 요소
2.4. 셰일 가스의 부정적 견해
2.5. 친환경 에너지: 셰일 가스
2.6. 미국의 에너지 수출 강대국으로의 부상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미국 외교정책의 변화
1.1. 대외정책 기조
미국 외교정책의 대외정책 기조는 "미국이 돌아왔다(America is back)"라는 바이든 대통령의 연설에 잘 나타나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과거 오바마 정부에서 부통령을 맡았던 경험을 바탕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독선적이고 고립적인 외교정책을 비판하며,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위상과 역할을 회복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바이든 정부는 지배나 힘을 통한 평화가 아닌 협력과 포용을 통해 국제사회를 이끌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던 과거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을 버리고, 동맹국과의 협력과 연대를 통해 국제사회가 직면한 여러 문제에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대처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바이든 정부는 파리기후협약 재가입, NATO 내 미군 추가 배치, WTO 분담금 지급 재개 등을 통해 과거 정부에서 멀어졌던 국제기구 및 다자협력체계와의 관계 회복에 나섰다. 또한 경제 분야에서도 보호무역주의에서 벗어나 자유무역을 추구하며, 노동자 권리 보호, 기후변화 대응, 형평성 제고 등의 목표를 제시하며 보다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무역정책을 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이든 정부의 대외정책 기조는 과거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와는 대조적인 것으로, 민주주의와 국제규범의 수호를 위해 능동적으로 국제사회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향후 바이든 정부가 이러한 기조를 얼마나 일관되게 유지하며 실천에 옮길 수 있을지 주목된다.
1.2. 대 한반도 정책
바이든 행정부의 대 한반도 정책은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정책과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트럼프 정부는 북한 비핵화 목표 달성을 위해 김정은 국방위원장과 직접 회담하는 등 정상외교를 강조했지만, 뚜렷한 성과 없이 임기를 마감했다. 반면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 문제에 있어 보다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바이든 정부는 취임 초기부터 한국과의 동맹관계를 강화하고자 했다. 2022년 5월 서울에서 개최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공동성명을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더불어 한미동맹의 발전적 관계를 재확인했다. 특히 핵을 포함한 모든 범주의 방위역량을 동원해 한반도 확장억제를 강화하고, 북한의 군사적 도발과 사이버 공격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또한 민주주의와 보편적 가치의 수호를 위한 양국의 협력을 약속했다.
이처럼 바이든 정부는 기존 동맹국과의 관계 복원과 협력 증진에 주력하고 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이고 강경한 대북정책에서 벗어나, 한국 등 역내 국가들과 협력하여 북핵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북한 비핵화와 관련해서는 바이든 정부 역시 큰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북한이 지속적으로 핵·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의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 없이는 제재 완화나 경제 지원에 나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북미관계와 비핵화 협상은 교착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가운데 바이든 정부는 한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대중국 견제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특히 인도-태평양 전략의 일환으로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들과 연대를 강화하며, 북한 문제 해결과 역내 안보 증진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는 바이든 정부가 한반도 문제에 있어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고자 하는 의도로 해석된다.
결과적으로 바이든 행정부의 대 한반도 정책은 북한 비핵화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동시에 한미동맹 강화와 역내 다자협력 체제 구축을 통해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개별 현안 해결에 집중하던 트럼프 행정부와 달리, 보다 종합적이고 전략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1.3. 대 중국 정책
바이든 정부는 트럼프 정부의 강경한 대중국 정책기조를 어느 정도 계승하고 있지만, 그 양상은 다소 완화된 모습을 보인다. 오바마 정부의 부통령을 지냈던 바이든은 중국을 전략적 경쟁자로 인식하고는 있지만, 트럼프 정부처럼 강압적인 일방주의적 행태는 지양하고 있다. 대신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통한 다자적 압박을 시도하고 있다.
바이든 정부는 중국이 미국의 패권에 도전하려는 의도를 지닌 수정주의 국가라고 판단하고 있다.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과 함께 군사력 증강, 기술 발전, 영토 분쟁 등을 미국의 이익에 위협이 되는 요인으로 보고 있다. 특히 중국의 첨단기술 분야 발전과 미중 무역 갈등은 바이든 정부의 주요 관심사이다.
이에 따라 바이든 정부는 쿼드(Quad)와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등을 통해 중국에 대한 견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쿼드는 미국, 일본, 호주, 인도로 구성된 비공식 안보 협의체로, 인도-태평양 지역의 자유롭고 개방된 질서 수호를 목표로 한다. IPEF는 미국이 주도하는 새로운 지역 경제 협력체로, 중국의 국제 규범 기반 경제질서 주도를 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범했다.
또한 바이든 정부는 대만과의 경제 협력 강화, 미 대만 간 고위급 교류 활성화, 대만에 대한 군사적 지원 등을 통해 중국의 대만에 대한 압박을 견제하고자 한다. 특히 대만이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인 TSMC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으로서는 대만의...
참고 자료
강계만·손일선. (2022년5월27일). "시진핑의 중국, 이대로 둘 순 없다" 새 전략 꺼낸 美.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2/05/470913/
고석현. (2022년2월3일). 美, 루마니아·폴란드·독일에 미군 3000명 추가배치…"수일 내 출발".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5142
김관옥. (2021). 트럼프정부의 대중국 안보정책: 바이든정부와의 비교연구. 국제정치연구, 24(2). 53-74.
김귀수. (2022년6월2일). “러, 돈바스 요충지 80% 장악”…미국 로켓 지원, 러 “직접 충돌”. KBS NEWS.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77170&ref=A
김동수. (2021).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정책: 자유주의적 헤게모니로의 회귀. 인문사회과학연구, 22(1). 415-438.
김영준·신영환. (2021). 바이든 행정부 대외정책 특징과 과제. 국가안보와 전략, 21(3), 83-109.
김정남·신정은. (2022년6월2일). 미, IPEF서 빠진 대만과 경제 채널 구축…중국 "미중 관계 위험". 이데일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84&mediaCodeNo=257&OutLnkChk=Y
김지현·김현. (2022년2월3일). '우크라 침공 대비' 바이든·마크롱, 대러 경제 제재 검토(상보). NEWS 1. https://www.news1.kr/articles/?4572815
김학재·서영준. (2022년05월21일). [전문] 한미 정상 공동성명. 파이낸셜 뉴스. https://www.fnnews.com/news/*************88646
박정호·정민현·강부균. (2022).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 주요 쟁점과 시사점. KIEP 세계경제 포커스, 5(5). 1-16.
박형주. (2021년12월25일). [2021 연말기획: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한반도] 1. 미북 관계 경색 국면 장기화. VOA 뉴스. https://www.voakorea.com/a/6368801.html
변효선. (2021년10월22일). 미·유럽 5개국, 디지털세 분쟁 합의…무역갈등 일단 해소. 이투데이. https://www.etoday.co.kr/news/view/2071386
안세득. (2020년3월15일). [트럼프의 신중동정책] ③ 이국해법 vs 일국해법. KBS NEWS.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402065&ref=A
오태현·이현진·윤형준. (2021). 미 바이든 행정부의 대유럽 정책과 전망. KIEP 세계경제 포커스, 4(23). 1-15.
이권형·손성현·장윤희·유광호. (2021).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동 정책과 중동 주요국의 대응 방향. KIEP 세계경제 포커스, 4(11), 1-13.
이상현. (2020). 2020 미국의 선택 ⓵: 바이든 행정부 대외정책 기조: ’리셋 2.0‘ 시대의 도래. 2020(24). 세종논평. https://www.sejong.org/web/main/
이재우. (2021년4월8일). 바이든, 팔레스타인 지원 재개…두 국가 해법 지지도 재천명.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408_0001399384&cID=10101&pID=10100
임종명. (2022년3월17일). 美-영국, 다음 주 양국간 무역·투자 대화 시작.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17_0001797525&cID=10101&pID=10100
장은수. (2021년12월10일). 양극화 직면한 21세기… “자유민주주의만이 인류 진보의 길”. 문화일보.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312000002
“The Influence of Shale Gas on U.S. Energy and Environmental Policy” (White house, IEAA 2012)
“Unconventional Oil & Gas: Reshaping Energy Markets”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CSIS) 2012)
“The Influence of Shale Gas on U.S. Energy and Environmental Policy” (White house, IEAA 2012)
“Outlook for U.S. shale oil and gas”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EIA) 2014)
“Annual Energy Outlook (AEO) 2013” (EIA 2013)
“Annual Energy Outlook (AEO) 2014” (EIA 2014)
“BLUEPRINT FOR A SECURE ENERGY FUTURE” (White House 2011)
“Economic and Market Impacts of Abundant International Shale Gas Resources” (CSIS 2011)
“TRADE IMPLICATIONS OF U.S. ENERGY POLICY” (CSIS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