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Group technolog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Group Technology
1.1. 정의와 발전과정
1.1.1. GT의 정의
1.1.2. GT의 발전과정
1.2. 활용부문 및 효과
1.2.1. 설계 및 기술부문에서의 활용
1.2.2. 생산부문에서의 활용
1.2.3. 경영부문에서의 활용
1.2.4. GT의 효과
1.2.5. GT 적용사례
2. Group Technology Problem
2.1. Single linkage cluster algorithm (SLCA)
2.2. Rank order algorithm (ROC)
2.3. Direct cluster algorithm (DCA)
2.4. Bond energy algorithm (BEA)
2.5. 병목요소 해결방안
2.6. 각 알고리즘별 Grouping Efficiency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Group Technology
1.1. 정의와 발전과정
1.1.1. GT의 정의
Group Technology(GT)는 유사한 문제들을 인식하고, 그러한 유사 문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모아 단일한 해결책을 찾음으로써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철학이다. 구체적으로 GT는 1) 유사한 작업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2) 유사한 작업을 표준화함으로써, 3) 반복되는 문제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함으로써 제조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즉, GT는 유사 설계나 가공공정을 가진 부품/제품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효과적인 설계 합리화, 데이터 검색 및 제조 표준화를 통해 생산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철학과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1.1.2. GT의 발전과정
GT의 발전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조분야에 GT의 최초 적용은 F. W. Taylor의 생산성 향상 시도 시 적용된 것이 최초이다. 이후 1959년 러시아의 기술자 S. P. Mitrofanov이 "Scientific Principles of Group Technology"라는 개념을 정립했다.
1960년대에는 독일과 영국에서 GT기법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독일 아헨(Aachen) 공대의 H. Opitz교수가 Opitz 분류시스템을 개발했고, 영국 J. L. Burbidge교수가 생산흐름분석(Production Flow Analysis)을 개발하였다.
1970년대에는 일본 정부에서 GT연구를 지원하여 부품분류코딩시스템인 KC-1(10진법5자리, 1968), KC-2(10진법9자리, 1969), KK-1(10진법13자리, 1970), KK-2(10진법13자리, 1973), KK-3(10진법21자리, 1976)가 개발되었다.
1970년대 후반에는 미국에서 GT에 관한 연구 및 적용이 이루어졌고, 한국에서도 1970년대 중반부터 Pennsylvania주립대학교 함인영교수가 GT를 소개하면서 적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1980년대 이후 CAD/CAM 통합화에서 GT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1.2. 활용부문 및 효과
1.2.1. 설계 및 기술부문에서의 활용
GT의 활용 - 설계, 기술부문은 다음과 같다.
분류시스템을 이용한 설계 합리화"이다. GT는 분류 및 코드화를 통해 유사 부품의 설계를 표준화하고, 기존 도면의 중복 및 다양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설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도면관리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GT는 기능 중심의 부품 명칭 채택으로 부품 명칭의 다양화를 방지할 수 있다. 유사 부품을 집약하고 반복 수를 조사하면 표준화 및 공용화 대상 부품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무질서한 부품 변종을 합리적으로 압축할 수 있어 도면 수를 줄이고 설계 자료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더불어 GT는 CAD의 기초로도 활용될 수 있다. 유사 부품의 그룹화와 코드화를 통해 CAD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도면 작성과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다. 이는 곧 설계 합리화와 생산 효율화로 이어지게 된다.
즉, GT는 설계 및 기술 분야에서 분류와 표준화를 통해 부품 관리 및 설계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이다.
1.2.2. 생산부문에서의 활용
GT의 활용 - 생산부문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신속하고 정확한 공정계획과 부품 그룹별 표준작업 절차를 수립할 수 있다. GT를 통해 부품들을 유사한 특성별로 그룹화함으로써 각 그룹에 최적화된 공정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생산관리가 가능해지며, 작업 준비 시간 및 제품 생산 리드타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생산능력 및 생산가능성의 파악, 가치분석 등에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유사 부품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되므로 각 그룹의 생산능력, 생산가능성, 제품 가치 등을 파악하기 용이하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생산계획 수립과 자재관리가 가능해진다.
공정간의 운반경로 단축, 대기시간 단축, 공정 내의 재고량 감소와 같은 효과도 있다. GT를 통해 부품을 그룹화하면 유사 부품들이 근접한 공정에서 생산되므로 부품 이동거리와 운반시간이 감소한다. 또한 공정간 대기시간과 공정 내 재고량도 줄어들어 전체적인 생산 효율성이 높아진다.
이 외에도 효과적인 일정계획 수립, 공통 치공구의 계획 및 그룹작업 준비, NC/M/C 등 자동화 설비의 이용 ...
참고 자료
Avkiran, N.K., 2006. Developing foreign bank efficiency models for DEA grounded in finance theory. Socio-Econ. Plann. Sci., 40: 275-296.
Allwein, E.L., R.E. Schapire and Y. Singer, 2001. Reducing multiclass to binary: A unifying approach for margin classifiers. J. Mach. Learn., Res., 1: 113-141.
A New Approach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for Ranking Classification Algorithms 1A. Bazleh, 1P. Gholami and 2F. Soleymani
Charnes, A., W.W. Cooper and E. Rhodes,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 J. Operat. Res., 2: 429-444.
http://www.ielm.ust.hk/dfaculty/ajay/courses/ieem513/GT/GT.html
1. 강경식 외, GT 분석 이론에 관한 연구, 공학기술연구소 논문집, 1991
2. 이준한, 그룹 테크놀러지와 제조셀 형성방법에 대한 연구, 地域開發論叢, 1998
3. 이진구, GT를 이용한 일정계획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