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주막하출혈(SAH)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2. 본론
2.1. 간호사정
2.1.1. 주관적 자료
2.1.2. 객관적 자료
2.2. 진행기록
2.3. Problem List
2.4. 간호진단
2.5. 간호과정 적용
3. 결론
3.1. 사례환자의 질환의 정도 및 현 상태의 문제점과 주요사항
3.2. 향후 간호계획 시의 중요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지주막하 출혈(subarachnoid hemorrhage)은 뇌출혈 중 무서운 질병 중의 하나이며, 일반 뇌출혈과 다르다는 점은 뇌지주막하출혈은 다른 뇌출혈과 달리 동맥류 파열에 의해서 생긴다는 것이다.
이렇게 다른 뇌출혈과 달리 그 위험도가 큰 지주막하출혈을 더 알게 되고 연구하여 정확한 증상과 간호 및 치료 방법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하며, 지주막하출혈 환자에게 최대한의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깨닫고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에 대한 문헌고찰은 다음과 같다"
사람의 뇌를 싸고 있는 뇌막은 경막(dura mater), 지주막(arachnoid), 연막(pia mater)의 3층으로 구분되며, 이 중 중간에 있는 지주막은 마치 거미줄 모양과 같다고 하여 지주막 또는 거미막이라 불린다. 지주막과 가장 안쪽에 있는 연막 사이의 공간이 지주막하공간이다. 이 지주막하공간은 비교적 넓은 공간으로 뇌의 혈액을 공급하는 대부분의 큰 혈관이 지나다니는 통로이자 뇌척수액이 교통하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뇌혈관에서 출혈이 생기면 가장 먼저 이 지주막하공간에 스며들게 되며, 이렇게 어떤 원인에 의해 지주막하공간에 출혈이 일어나는 질환을 지주막하출혈이라 한다"
지주막하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뇌동맥류의 파열이며, 이 외에도 뇌동정맥기형, 외상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뇌동맥류는 주로 윌리스환(Willis' circle)의 특정 부위에 생기며, 가장 호발하는 부위는 내경동맥, 후교통동맥, 대뇌동맥 분기부 등이다. 뇌동맥류의 파열은 고혈압, 심장질환,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지주막하출혈의 주요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두통, 구토, 의식저하, 편마비 등이 있으며, 수막자극증상인 목 경직, 광공포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우선 뇌 전산화단층촬영(CT)으로 지주막하출혈을 확인하고, 뇌혈관조영술을 통해 출혈의 원인인 뇌동맥류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이 외에도 요추천자, 자기공명영상(MRI) 등의 검사가 활용될 수 있다"
지주막하출혈의 치료는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보존적 치료에는 안정, 혈압 조절, 진통제 투여 등이 포함되며, 수술적 치료로는 개두술을 통한 뇌동맥류 결찰술과 혈관내 치료인 코일 색전술 등이 시행된다. 이러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주막하출혈 환자의 예후는 좋지 않은 편으로, 재출혈, 뇌혈관연축, 수두증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등의 위험요인 관리가 중요하며, 두통이나 안구운동 이상 등의 경고증상이 있을 경우 신속한 검진이 필요하다. 또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한 뇌동맥류의 조기발견도 도움이 될 수 있다"
2. 본론
2.1. 간호사정
2.1.1. 주관적 자료
대상자의 주관적 자료는 다음과 같다.
입원 동기 및 입원 경로와 관련하여, 대상자는 구치소 수감 중 구토와 두통이 있어 구치소 내 의무실을 방문한 후 본원 응급실로 내원했다"". 대상자는 "'구치소 수감 중 구토와 두통이 있어 내원했다""고 밝혔다.
입원 시 상태와 관련하여, 대상자는 "'동측 편마비(Lt s...
참고 자료
기본간호학상·하, 강현숙 외, 수문사, 2013년
성인간호학Ⅰ·Ⅱ, 이향련 외, 수문사, 2013년
Mosby's 진단검사간호 핸드북, 정미영 외, 정담미디어, 2011년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뇌지주막하 출혈 후 중증 불응성 뇌혈관 연축에 대한 바비튜레이트 혼수요법,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허동화 외 5명, 2003.33.142-148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48
http://blog.naver.com/realptman?Redirect=Log&logNo=100009378860
http://cafe.naver.com/jfkdfleif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30
http://www.ksin.or.kr/clinic/clinic05.html
http://www.doereport.com/generateexhibit.php?ID=3449
http://www.netterimages.com/image/1892.htm
http://nsdoc.com/zb/view.php?id=medical&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it&desc=asc&no=4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손정태외 7인,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대한간호협회 , 김조자외 5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