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학과 리더십우선순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 리더십
1.1. 간호 리더십의 필요성
1.2. 간호 리더십의 배경
1.2.1. 특성이론
1.2.2. 행동이론
1.2.3. 상황 이론
1.2.4. 현대적 리더십 이론
1.3. 셀프 리더십
1.3.1. 셀프 리더십의 개념
1.3.2. 셀프 리더십의 구성요소
1.4. 간호 리더십의 유형
1.4.1. 권위적-민주적-자유방임적 리더십
1.4.2. 구조주도와 배려적 리더십
1.4.3. 관리격자 이론
1.5. 신규간호사의 간호 리더십 역량
1.5.1. 논문 핵심 요약
1.5.2. 논문 내용과 관련된 실제 임상 사례
1.5.3. 연구의 의의 및 간호에서의 연구 결과 활용 방안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 리더십
1.1. 간호 리더십의 필요성
간호 리더십의 필요성은 질 높은 간호 서비스 제공이라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간호관리자가 리더십을 발휘하여 고객 접점에서 환자를 만나고 있는 간호사의 태도와 행동을 긍정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리더십은 구성원이 기꺼이 자발적으로 리더를 따르도록 하는 것으로, 조직성과의 차이는 종종 리더십의 차이에서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 높은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력 문제 등 관련 공공 정책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전문직으로서 지속적으로 성장·발전하기 위하여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간호 리더십의 배경
1.2.1. 특성이론
특성이론은 리더가 갖추어야 할 개인적 특성이나 자질을 밝혀내고자 하는 이론이다. 리더들은 조직 내 일반 구성원들에 비해 뛰어난 리더에게 필요한 자질이나 기술 및 능력을 가진다고 믿고 이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리더의 특성은 타고난 성격이나 자질로 좁게 볼 수도 있지만, 넓게는 선천적 특성과 함께 후천적으로 습득한 지식과 기술 및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특성이론에서 강조하는 리더의 주요 특성에는 신체적 특성(연령, 신장, 체중, 외모, 체력), 인격·성격 특성(독립심, 자신감, 지배성, 공격성, 인내력, 통제력, 독창성), 사회적 배경 특성(교육 정도, 사회적 지위, 사교 관계), 지능 특성(지식, 기억력, 판단력, 결단력, 상상력, 표현능력), 인간관계 능력(설득력), 과업 관련 특성(지식과 기술, 성취 욕구, 주도성, 지구력, 책임 욕구, 안정 욕구, 결과 지향성) 등이 포함된다. 특성이론은 리더십을 리더의 개인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해하는 접근법으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리더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1.2.2. 행동이론
행동이론은 리더의 행동 유형에 초점을 맞추어 효과적인 리더십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에 따르면 리더십은 리더의 특정한 행동유형에 따라 달라지며, 리더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행동이론의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권위적-민주적-자유방임적 리더십, 구조주도와 배려적 리더십, 관리격자 이론 등이 있다.
먼저, 권위적-민주적-자유방임적 리더십에서는 리더의 의사결정 참여 양상에 따라 리더십 유형이 구분된다. 권위적 리더십은 부하의 의사결정 참여를 매우 제한하고 리더가 부하의 업무 목표, 작업 일정, 업무 수행 방법 등에 대해 결정하여 엄격하게 통제하고 관리·감독하는 유형이다. 반면 민주적 리더십은 리더가 최종 의사결정의 책임을 가지고 있으면서 부하가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여 리더와 부하가 교류하며 의견을 교환하는 유형이다. 또한 자유방임적 리더십은 의사결정을 비롯한 자신의 권한과 책임을 부하직원에게 넘기고 그들의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하는 유형이다.
다음으로 구조주도와 배려적 리더십에서는 리더의 행동이 과업 수행에 초점을 두느냐 인간관계에 초점을 두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구조주도 행동은 구성원의 과업을 조직화·구조화하고 작업 일정을 구체화하며 구성원의 역할 및 책임을 명확히 전달하는 행동을 말한다. 반면 배려 행동은 구성원과의 인간관계를 중요시하며, 서로 존경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동료관계를 갖도록 구성원을 배려하고 보살피는 행동이다.
마지막으로 관리격자 이론은 리더가 과업 수행과 구성원 관계에 대해 어느 정도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리더십 유형을 구분한다. 무관심형 리더는 과업 완수와 구성원과의 관계 모두에 관심이 부족한 유형이며, 과업형 리더는 구성원에 대한 관심은 낮지만 과업 완수에 대한 관심이 높은 유형이다. 중간형 리더는 과업 수행과 구성원의 욕구 사이에 균형을 유지하려 노력하는 유형이고, 인간관계형 리더는 구성원과의 관계에 높은 관심을 가지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팀형 리더는 과업 수행과 구성원 관계 모두에 높은 관심을 가지는 유형이다.
이와 같이 행동이론은 리더의 특정한 행동 유형에 따라 효과적인 리더십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간호 조직에서도 간호사들의 리더십 발휘를 위해...
참고 자료
김인숙 외, 최신 간호관리학, 현문사, 2014
간호관리자가 인식한 신규간호사의 간호 리더십 역량 – 한국 간호 행정학회, 간호 행정학회지 제27권 제5호, (김지미, 홍성경, 박미미, 유재선), 2021.12
알기 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 관리학 제5판, 현문사, (정면숙, 김은경, 김세영, 김종경, 박은준, 유미 외 공저)
간호 리더십의 유형과 필요성 https://blog.naver.com/lkm3046/222445045666
간호 리더십에 대한 개념분석 – 한국간호과학회 간호 행정학회, (김정숙, 김윤민, 장금성, 김복남, 정석희), 2015년
김솔잎(2017),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와 셀프리더십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부산
조향순(2017), 간호관리자의 리더십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와의 관계-혁신행동의 매개효과-, 석사학위 논문, 목포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목포
이동희(2017),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국제보건간호역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서울
김진선 외2명(2017), 간호대학생을 위한 국제보건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 Jou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3 (B).pp.1637-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