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위식도 역류 질환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위식도 역류질환
1.1. 구조와 기능
1.1.1. 식도
1.1.2. 위
1.2. 임상진단검사
1.3. 위식도 역류질환
1.3.1. 원인
1.3.2. 병태생리
1.3.3. 증상과 징후
1.3.4. 협동적 관리
1.3.4.1. 진단
1.3.4.2. 치료
1.3.4.3. 투약
1.3.4.4. 시술 및 수술
1.3.4.5. 영양요법
2. 사례
3. 간호과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위식도 역류질환
1.1. 구조와 기능
1.1.1. 식도
식도는 직경 2cm, 길이가 약 25cm 정도의 긴 근육성 관으로, 횡격막의 중심을 관통하며 음식이 지나가는 통로이다. 식도 상부는 음식물이 통과할 때 수축과 이완을 하고, 식도 하부는 평활근(민무늬근육)으로 구성되어 음식물을 위로 밀어 넣는 기능을 한다. 식도 중간부위에는 샘이 있어 점액을 분비하여 음식물이 식도를 부드럽게 통과하도록 해준다.
식도에는 상부식도괄약근과 하부식도괄약근이 있는데, 상부식도괄약근은 호흡 중 공기가 식도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닫혀 있다. 하부식도괄약근(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은 연하, 트름, 구토를 할 때를 제외하고는 수축 상태에 있어 산성 위액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 점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식도의 연동운동은 설인신경(혀인두신경, glossopharyngeal nerve)의 불수의적 반사에 의해 일어나며, 식도 하부의 이완과 동시에 이차적인 연동운동이 발생한다.
1.1.2. 위
위(胃)는 복강의 좌상부에 위치하며 위쪽 끝은 식도와 연결되고 아래쪽 끝은 소장과 연결된다. 정상적으로 위의 길이는 약 25cm로 용적은 1500ml이며 약 4L의 음식과 수분을 보유할 수 있을만큼 확장 가능한 팽창성 기관이다. 위는 분문부(cardiac region), 위저부(fundus), 몸체(body), 유문부(pylorus)로 나눌 수 있다.
위는 음식을 저장하고, 기계적으로 잘게 부수며, 단백질 소화를 시작하고 음식을 위액과 섞어 미즙(chyme)이라 불리는 진한 액체로 만든다. 위의 안쪽은 원주상피세포와 점액생산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위 분비샘과 연결된 내막의 수많은 구멍은 하루에 4~5L의 위액을 생산할 수 있다.
위 분비샘은 위액으로부터 소화되지 않도록 위를 보호하는 물질을 생산하고, 염산과 내인자를 분비하며 위장운동을 조절하는 것을 돕는 다양한 분비세포를 포함하고 있다. 위액의 분비는 신경계와 내분비계에 의해 조절된다. 미주신경을 통한 부교감신경자극은 위액 분비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교감신경 자극은 위액 분비를 감소시킨다.
위의 혈액공급은 복강동맥(celiac artery)에 의해 이루어지고 소만부와 대만부로 분지된다. 위동맥은 비장동맥에서 공급받아 위저부에 혈액을 공급하고, 위정맥은 문맥으로 배액된다. 위의 림프절은 점막밑층에 있으며 흉관으로 배액된다. 위벽은 바깥쪽에서부터 장막층, 근육층, 점막밑층, 점막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1.2. 임상진단검사
임상진단검사는 객관적인 자료로써 간호사가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적절한 간호를 계획하는 데 중요한 정보이다"" 위장계 진단검사를 위해 간호사는 환자에게 검사 전 동의서를 받고 검사과정을 설명하며 검사 전ㆍ후 주의사항을 교육한다"" 또한 대부분의 검사에서 위장을 비우며 약물이나 조영제를 사용하므로 영양상태와 수분과 전해질 균형 상태를 관찰하고 약물이나 조영제에 대한 알레르기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주요 위장관계 검사로는 내시경검사, 식도기능 검사, 24시간 pH 검사 등이 있다"" 내시경검사는 식도, 위, 십이지장 점막상태를 직접 관찰할 수 있고, 식도기능 검사인 식도내압 검사는 식도의 운동 및 식도괄약근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4시간 pH 검사는 GERD를 평가하기 위해 식도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수문사, 김영숙 외
「성인간호학(여섯째판)」, 현문사, 이향련 외
「의학용어」, 수문사, 김귀영 외
「일반병리학」, KMS, 박창수 외
「PCN - 6. 소화기질환 편」, 정담, PCN 편찬위원회
황옥남 외 8인, 『성인간호학 상권 』, 현문사, 2018.
원종순 외 3인, 『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 현문사, 2018.
송경애 외 14인, 『 기본간호학 I 』, 수문사, 2019.
서울대학교 병원 N 의학정보, “위-식도 역류 질환”항목,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12
김인자 외 3인, 「불면증 최소스크리닝척도의 심리측정적 특성과 적합성 검증」 제42권 제6호, 『대한간호학회지』, 한국간호과학회, 2012년.
최명애 외 40인, 『 임상약리학 』 8판, 앨스비어, 2018.
김숙영 외(2023). 성인간호학 I. 경기도. 수문사.
성미혜 외(2023).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경기도.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