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식거래소의 등장과 발전
1.1.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등장과 특징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등장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최근 인터넷 상에서 지식을 주고받는 지식 공유 커뮤니티가 크게 유행하고 있다. 네이버, 엠파스, 야후 등의 검색사이트들은 단순히 사용자에게 사이버스페이스 내의 지식들을 찾아서 보여주는 역할에서 벗어나, 사용자들을 이어주어 이들 간에 지식을 주고받게 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 공유 커뮤니티에서는 활발한 활동과 질 높은 대답을 한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주어 혜택을 제공한다.
이러한 지식의 공유는 단순한 질문-답변 식의 1회성 묻고 답하기에서 그치지 않고, 서로 관련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의 교환, 그리고 이후에도 검색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획기적이다. 지식 공유 커뮤니티에서는 웬만한 문제에 대한 답변을 주제어 검색으로 빠르게 찾을 수 있으며, 질문에 대한 답변들은 질문자에 의해 포인트로 평가되어 지식의 가치가 계량화된다.
이렇게 소비된 지식은 단순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계속 축적되어 이후에도 참고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니므로, 역사가 오래되고 구성원의 수가 많은 지식 공유 커뮤니티는 살아있는 지식의 보고(寶庫)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초적인 지식 공유 커뮤니티가 발전하면 지식이 단순한 포인트 교환수단이 아닌 실제 화폐로 거래되는 "지식거래소"가 등장하게 된다.
1.2. 지식거래소의 등장과 특성
1.2.1. 해피캠퍼스의 사례 분석
해피캠퍼스는 지난 2000년, 에이전트소프트의 김정태 사장이 만든 대표적인 지식거래소이다. 해피캠퍼스와 다른 지식 공유 커뮤니티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회원들이 대학생 이상의 고급 인력이라는 점과, 회원들 간의 지식 공유가 유료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해피캠퍼스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는 것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리포트이다. 소비자는 먼저 해피캠퍼스 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주제에 대하여 검색을 한다. 검색 결과에서 다른 이들이 올린 평가와 가격 등을 고려하여 어떤 리포트를 구입할지 판단한다. 만약 자신이 원하는 자료가 없다면 "리처의 맥도날드화 논의를 기초로 한 해피캠퍼스 분석이 필요합니다. 기한은 X일까지, 자료는 A4로 X장 이상, 올려주신 분께는 포인트 XX점"과 같은 형식의 질문을 하면 며칠 내에 자료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마치 패스트푸드점에서 주문하듯이 빠르고 편리하다. 소비자는 해피캠퍼스에 주문을 넣고 원하는 "제품"을 빨리 받을 수 있다. 더욱이 해피캠퍼스에서는 무한정에 가까운 메뉴와 맞춤형 서비스까지 제공하므로 패스트푸드점보다 더욱 매력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제품의 다운로드 횟수가 많을수록 가격이 올라가는데,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제품의 질을 쉽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생산자 입장에서도 해피캠퍼스는 효율적이고 편리한 중개 수단이 된다. 생산자들은 저작권 등록이나 상표 등록, 광고 등을 할 필요 없이 자신이 만든 자료를 적정 가격으로 등록하기만 하면 된다. 나머지 과정은 해피캠퍼스에서 처리해주며, 해피캠퍼스가 그 자료가 생산자 자신의 고유한 자료임을 인정해주고 시장에 상품을 내놓는 것으로 모든 판매 준비가 완료된다.
리처의 관점에서 볼 때 해피캠퍼스의 가장 큰 의의는 질적인 요소를 한층 더 '계산 가능성'의 범주 안에 포함시켰다는 점이다. 리처는 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