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컬럼크로마토그래피 stilben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1. 실험 목적
1.2. 실험 방법
1.3. 실험 결과
1.4. 고찰
1.5. 참고문헌
2.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2.1. 실험목적
2.2. 실험원리
2.3. 실험기구 및 시약
2.4. 실험과정
2.5. 실험결과
2.6. 고찰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의 사용 방법을 익히고, 이를 통해 유기 화합물의 분리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nitrophenol의 이성질체(ortho, para isomer)를 분리하고, 유기 분자의 극성과 전개 용매, 고정상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된 nitrophenol 이성질체의 순도 및 수득량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1.2. 실험 방법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전개 용매를 준비한다. 각 조에서 결정된 혼합비로 전개 용매를 준비하며, 용매가 증발되지 않도록 막아준다.
2) 컬럼을 수직으로 장치하고, 긴 유리관을 이용하여 컬럼의 맨 밑을 솜으로 막고 sea sand를 천천히 넣어준다.
3) 실리카를 넣어준다. 넣어 줄 때 sea sand가 패이지 않게 천천히 부어준다. 그리고 컬럼을 두드려 packing 한다.
4) ortho-nitrophenol과 para-nitrophenol을 MC(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인 후 실리카를 넣어 흡착시킨다.
5) 흡착시킨 시료를 컬럼에 천천히 넣어준다.
6) sea sand를 넣어준다.
7) 준비한 전개 용매를 부어준다.
8) 용매가 50ml 정도 모이면 TLC를 이용하여 시료가 용출되는지 확인한다.
9) 시료가 용출되기 시작하면 새로운 용기에 용액을 담고, TLC를 이용하여 시료의 존재 유무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10) 1차 물질의 용출이 완료되면 다른 용기에 2차 물질을 받는다.
1.3. 실험 결과
컬럼을 sea sand와 실리카겔, 그리고 실리카로 흡착시킨 시료(ortho, para nitrophenol)로 채워준 후에 Ethyl acetate와 Hexane을 2 : 8로 혼합한 전개 용매를 컬럼에 부어준 결과, 첫 번째로 비교적 덜 극성인 ortho-nitrophenol이 먼저 용출되었다. 이는 예상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극성이 더 큰 para-nitrophenol은 극성인 실리카겔에 더 잘 흡착되어 컬럼을 천천히 내려왔기 때문에 ortho-nitrophenol보다 늦게 용출되었다. TLC 결과 확인에서도 용출된 시료가 ortho-nitrophenol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전개되어, 용출된 시료가 ortho-nitrophenol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nitrophenol의 이성질체를 성공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으며, 유기 화합물의 극성과 전개 용매, 고정상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분리된 ortho-nitrophenol의 순도 및 수득량도 확인할 수 있었다.
1.4. 고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험에서 사용한 전개 용매의 비율, 컬럼 충전 방법, 그리고 이성질체의 분리 결과에 대해 고찰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개 용매 조건에 대해 살펴보면, 극성이 큰 Ethyl acetate와 비극성인 Hexane을 2:8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는 TLC 크로마토그래피 실험 결과, 이 혼합 비율에서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실리카겔 [silica gel] (두산백과)
Tistory - Column Chromatography
Tistory - paper chromatography
“스틸벤 [stilbene]”, (화학용어사전, 2011. 1. 15.. 화학용어사전편찬회, 윤창주),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2022.10.1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17359&cid=40942&categoryId=32274
“나이트로페놀 [nitrophenol]”,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2022.10.1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78794&cid=40942&categoryId=32273
『공학용대학화학실험법』, 단국대학교출판부(2018. 02. 225), (p.293, p.294).
강미숙 외 8명,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최신일반화학실험』 1판, 대학교재연구회, 191p
크로마토그래피와 그 원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68830&cid=61233&categoryId=61233 (네이버 지식백과)
크로마토그래피의 종류
https://ko.wikipedia.org/wiki/%ED%81%AC%EB%A1%9C%EB%A7%88%ED%86%A0%EA%B7%B8%EB%9E%98%ED%94%BC (위키백과)
전개율
https://www.scienceall.com/%EC%A0%84%EA%B0%9C%EC%9C%A8rfrate-of-flow/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이성질체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84%B1%EC%A7%88%EC%B2%B4 (위키백과)
UV램프/ UV램프 254n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14297&cid=50324&categoryId=50324 (네이버 지식백과)
https://kosen21.org/mobile/knowledgeK/whatIs/whatIsDetailView.do?articleSeq=WHAT_000000000003370&parentSeq=WHAT_000000000003370 (KOS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