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현대자동차 기업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현대자동차 기업 현황
1.1. 기업 개요
1.2. 기업 연혁
1.3. 글로벌 사업 전략
1.3.1. 북미 진출
1.3.2. 유럽 진출
1.3.3. 중국 진출
2. 현대자동차 SWOT 분석
2.1. 강점(Strengths)
2.2. 약점(Weaknesses)
2.3. 기회(Opportunities)
2.4. 위협(Threats)
3. 현대자동차의 경영전략
3.1. 기술 및 품질 경쟁력 강화
3.2. 고객 가치 중심 경영
3.3. 해외 시장 확대
3.4. 친환경차 개발
4. 현대자동차의 사회적 책임 활동
4.1. 어린이 교통안전 캠페인
4.2. 교통사고 유자녀 지원 사업
4.3. 로드킬 예방 캠페인
4.4. 해피무브 글로벌 청소년 봉사단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현대자동차 기업 현황
1.1. 기업 개요
현대자동차(주)는 자동차 제조 회사로 1967년 12월 29일 설립되어 현재는 자산총계 약 180조에 포춘지 글로벌 100대 기업에 이름을 올리는 세계적인 기업이다. 국내에서 310억대, 해외에서 765억대의 누적판매량을 기록한 현대자동차는 전세계에 현재 약 27만명의 직원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는 울산, 아산, 전주에 생산공장이 위치해 있고 남양에 기술연구소와 디자인센터, 마북에 환경기술연구소, 의왕에 중앙연구소를 두고 있다. 미국, 브라질, 터키, 체코, 러시아, 인도, 중국에 생산법인을 두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디자인센터와 기술연구소를 운영 중이다.
1.2. 기업 연혁
기업 연혁은 다음과 같다.
1967년 12월 29일 현대자동차(주)가 설립되었다. 1967년 6월 '포니' 자동차를 에콰도르에 수출하면서 첫 해외 수출을 시작했다. 1983년에는 캐나다에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최초로 해외에 현지법인을 설립하였다. 이어 1985년 미국에 현지법인을 설립하였고, 1986년 '엑셀'을 미국에 처음으로 수출하였다. 1989년에는 첫 현지공장인 캐나다 브로몽(Bromont) 공장을 가동하였다. 이후 터키, 인도 등에 공장을 준공하고 해외에 기술 개발연구소를 지으며 글로벌 생산 기지를 확대해 나갔다. 2005년에는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 진입하게 되었다. 2008년에는 프리미엄 세단 '제네시스'를 출시하고 2011년 수소전기차 시범운행 사업에 선정되는 등 신기술 개발에도 힘을 보탰다.
1.3. 글로벌 사업 전략
1.3.1. 북미 진출
현대자동차는 1983년 캐나다 현지법인 설립을 시작으로 북미시장 진입을 모색하였다. 이는 현대차 최초의 시장공략 대상이었는데 1985년 미국 현지법인 설립, 1986년 '엑셀' 수출 등의 결과로 이어졌다. 현대의 엑셀은 수출 첫 해 16만여대가 판매되어 당해 최다 판매 소형 수입차의 영광을 누리기도 하였다.
하지만 현대자동차의 북미시장 진출이 시작부터 녹록한 것은 아니었는데 이는 '브로몽의 악몽'이라 불리는 현대자동차의 첫 실패 사례로 알 수 있다. 현대는 본격적인 북미시장 공략을 위해 첫 현지공장인 캐나다의 브로몽(Bromont) 공장에서 1989년부터 소나타II를 양산하기 시작하였으나 미흡한 시장경쟁구도분석, 판매망확보 실패, 공급업체와의 접근성 부족 등의 이유로 결국 공장 가동 4년만인 1993년에 가동을 중단하고 이듬해에 완전 철수를 실시한다. 당시 캐나다의 무역부 장관의 설득으로 2억 9천만 달러라는 방대한 자금을 투자하여 공장을 건설하였으나 준공이 되었을 시기는 이미 북미시장의 위축과 일본의 자동차 회사들의 현지생산이 급증하여 공급과잉 상태에 빠졌던 때였다. 브로몽 공장의 실패는 현대에게 현지시장조사의 부족으로 인한 실패를 뼈아프게 알려주었다.
엑셀은 현대차가 미국에서 예측이상의 높은 성적을 내는 것에 크게 일조했다. 진출 4년 만인 1990년에 누적 판매량 100만대를 넘겼을 정도였다. 하지만 그 기록은 더 큰 위기를 불러왔다. 값싼 자동차라는 이미지로 마케팅을 펼치던 현대는 엑셀의 품질과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는 입소문에 시달리기 시작했다. 결국 1998년 엑셀 판매량이 10만대 밑으로 떨어지게 된다. 회사의 이미지가 그저 값싼 싸구려 제품을 만드는 회사가 되어버린 것이다. 이에 정몽구 회장은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소비자들이 믿고 탈 수 있는 자동차를 생산하는 것이며, 그 기본은 품질이다."라며 품질경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품질총괄본부를 발족시키고 매달 품질 관련 회의를 열었으며, 원하는 품질 수준에 이르지 못하면 생산라인을 멈추게 하기도 하였다. 생산방식에서 '모듈화'와 '직서열(Just in Sequence)'방식을 도입하기도 하였다. 정몽주 회장이 미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되돌리기 위해서 선택한 것은 '10년 10만마일 무상보증제도'였다. 당시 3년에서 5년간 무상 보증이 고작이었던 것을 10년간 보장한다는 강수를 꺼내 들자 소비자들이 현대차를 믿기 시작했다. 결국 1999년 16만대의 판매량을 회복하고 이듬해에는 25만대의 차량을 팔았다. 2003년에는 미국 자동차 전문지인 JD파워의 신차품질 조사에서 도요타를 이기기도 하였다. 2005년에는 앨라배마 주에 NF쏘나타의 미국 생산을 위한 공장을 짓기도 하였다. 이 공장이 준공된 이후부터 연 평균 6%의 성장을 거듭하던 현대자동차는 2007년에 500만대, 2014년 900만대를 돌파하는 등 꾸준히 성장하였다.
1.3.2. 유럽 진출
현대자동차의 유럽 진출은 1977년 그리스에 포니 300대를 수출하면서 시작되었다. 유럽에는 독일의 폭스바겐, 아우디 등이 포진해 있는 등 전통적인 자동차 강국들이 많았기 때문에, 유럽 소비자들의 소비경향은 몹시 깐깐한 안목과 함께 혁신적이거나 독창적인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판매함으로써 승부를 걸어야 했다. 중소형 차량과 하이브리드 등의 친환경차량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벌이는 것은 본토 브랜드의 강력한 이미지와 고객들의 충성도에 의해 단기간에 극복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특히 SUV, 픽업트럭을 선호하는 미국과 SUV와 세단의 선호도가 높은 한국과는 달리, 유럽 소비자들은 왜건이나 MPV가 강세였다. 따라서 현대자동차는 '팬유러피안 전략'을 채택했다. 생산공장을 현지에 설립하고, 그 지역의 시장부터 공략해나가 성공 모델을 만든 후에 나머지 시장에서도 다양한 모델...
참고 자료
하영명, 차태훈, 경영교육연구 제5권 제2호, 2002, 2.
남상욱, 「인도21세기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일빛, 2001,11.
장세진, 이관섭, 「한국기업의 글로벌 경영 사례집」, 박영사 1999.
현대자동차 www.hyundai-motor.com
네이버캐스트 - 급변하는 자동차시장 (세계의 자동차 브랜드)
MK뉴스 - [현대차가 두렵다] 대내외적 여건 좋지만 브랜드 파워는 과제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CN뉴스 - 현대·기아차 뒤통수 '후끈'..도요타 맨발로 추격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 (기획특집)'현대기아차, 유럽 공략 현장을 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