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전립선암 문헌고찰,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정의
1.3. 병태생리
1.4. 원인
1.5. 임상증상
1.6. 진단검사
1.7. 치료와 간호
2. 문헌고찰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 및 검사
2.5. 치료와 간호
3. 본론
3.1. 사례연구
3.2. 간호과정
3.2.1. 간호진단
3.2.2. 간호과정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립선암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남성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암이며 미국의 경우 암에 의한 사망원인 중에서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서구식 식생활과 고령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전립선암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2022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20년에 우리나라에서는 전립선암(C61)이 전체 암 발생의 6.8%로 6위를 차지했으며, 남성에게 발생하는 암 중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70대가 43.0%로 가장 많았고, 60대 31.5%, 80대 이상 17.1%의 순이다. 국내 전립선암의 5년생존율은 94.4%로 비교적 예후가 좋은 편이다. 증가 추위에 따른 중요성에 따라서 전립선암 환자에게 도움이 되고자 전립선암에 대한 사례를 정하게 되었다.
1.2. 정의
전립선암은 전립선의 주변부로부터 시작되는 악성종양이다. 이 종양이 자라면서 전립선의 내부에까지 종양이 퍼질 수 있다. 다른 암들과 같이 전립선암도 뼈나 폐 등 신체의 다른 중요 장기에까지 전이될 수 있다. 초기의 전립선암은 비뇨기과적 증상을 거의 일으키지 않으나 암이 진행함에 따라 요도의 압박이나 요로폐색 등의 중요한 비뇨기과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암에 비해 척추나 골반뼈 등 신체의 가장 중심적인 부위에 전이를 잘 일으키며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 전립선암은 전립선의 비대해져 나타나는 전립선비대증과는 다른 악성종양이다.
1.3. 병태생리
전립선암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전립선암의 95%는 선암이다. 선암은 전립선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며, 흔히 후엽이나 전립선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한다. 전립선암은 잠복적으로 서서히 성장하는 것과 공격적이고 빨리 성장하는 형태가 있으며, 대부분이 서서히 진행된다.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공격적인 형태의 전립선암은 젊은 남성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전립선 주위의 림프절, 골수, 골반뼈, 엉치뼈(천골)와 척추 등으로 전이되며, 후반에는 폐, 간, 부신과 콩팥과 같은 장기로 전이된다. 전립선암은 임상적인 진행단계에 따라 TNM 방법과 글리슨점수(Gleason score)를 사용하여 분류한다.""
1.4. 원인
원인은 불분명하며 전립선암의 약 10~ 15%는 유방암 유전자(mutaled breast cancer genes, BRCA2)로부터 야기되었다. BRCA2 돌연변이는 전립선암 조기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기타 위험요인은 65세 이상의 남성, 인종(아프리카 아메리칸), 가족력, 고지방식이, 비만, 흡연, 남성호르몬(고환을 제거한 남성은 전립선암이 발생되지 않음) 등이다."
1.5. 임상증상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전립선암은 요도를 둘러싸듯이 존재하기 때문에 증식에 의해 요도가 압박되어 각종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증상으로서는 배뇨 곤란(소변이 잘 나오지 않음), 빈뇨(소변 횟수가 잦음), 잔뇨감(배뇨 후에도 소변이 남은 듯한 느낌이 나는 것), 야간다뇨, 요의 절박(화장실에 가고 싶다고 느낀 후부터 화장실에 갈 때까지 소변을 참지 못하는 상태), 하복부 불쾌감 등을 들 수 있다. 암이 요도 및 인접하는 방광 내로 진전된 경우에는 그 부위에서 출혈하여 육안으로 혈뇨를 보게 되기도 하며, 전이 시 해당 부위와 관련된 증상이 나타난다.
1.6. 진단검사
조기에 발견한 국소암 환자의 5년생존율은 거의 100%이므로 전립선암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립선암의 진단을 위해서는 곧창자수지검사, 조직생검, 임상검사 등의 다양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곧창자수지검사는 전립선암 진단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 전립선 조직을 직접 만져볼 수 있다"" 조직생검은 전립선암을 확진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직장경유 전립선초음파 조직검사를 통해 전립선 조직을 채취한다"" PSA검사는 곧창자수지검사와 함께 가장 효과적인 전립선암 진단 방법이며, 4 mg/mL 이상일 경우 전립선암이 발생한 것으로 예측한다"" 그 외에도 전혈구검사, 혈액화학검사, 방사선검사 등 다양한 임상검사를 통해 전립선암의 진행정도와 전이여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검사를 통해 전립선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1.7. 치료와 간호
전립선암의 치료와 간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술 치...
참고 자료
유양숙 외, 제 8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22, p.231~238
황옥남 외, 제 7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7
원종순 외, 제 3판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22 p.49~58, p.103~112
약학정보원, Flumarin inj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340A0180 ,2023.05.16.
약학정보원, 5% Dextrose,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10A0002 2023.05.16.
약학정보원, otropase Injection(2mL)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A5839 2023.05.16.
약학정보원, Nadoxol Injection,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1280A0221 2023.05.16.
약학정보원,Peniramin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50A0080
2023.05.16.
약학정보원, Venoferrum Inj.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2087 2023.05.16.
약학정보원, Tridol Injection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50A0335
2023.05.16.
약학정보원, Magnesium Oxide Tab.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840A0137
약학정보원, Foichol Tab. 200mg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4120200019 2023.05.16.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상, 하), 현문사
성미혜 외(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전립선암(Prostate canc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조경숙 외(2014),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약학정보원. 주소: http://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_ 검색어 전립선암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2016. 전립선암의 치료/질병 검색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_ 검색어 전립선암
성인간호학 실습지침서Ⅱ, NANDA 간호진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