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화로 보는 자연재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화 '투모로우'를 통해 본 기후변화와 지구의 변화
1.1. 서론
1.1.1. 영화 '투모로우'의 간단한 줄거리
1.1.2. 지구온난화와 빙하기의 관계
1.2. 본론
1.2.1. 영화 '투모로우'에서 볼 수 있는 이상기후 현상
1.2.2. 지구온난화의 원인
1.2.3. 지구온난화의 영향
1.2.4. 영화 '투모로우'에서 볼 수 있는 이상기후에 대응하는 사람들의 태도 및 영화의 결말
1.3. 결론
1.3.1. 영화 '투모로우'와 관련하여 자연재해에 대해 사람들이 길러야 할 태도
1.3.2. 영화 '투모로우'의 현실가능성과 지구온난화 예방 대책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화 '투모로우'를 통해 본 기후변화와 지구의 변화
1.1. 서론
1.1.1. 영화 '투모로우'의 간단한 줄거리
영화 '투모로우'는 간빙기 상태인 지구에 지구온난화 현상이 일어나게 된 후, 지구가 빙하기에 들어서는 과정에서 기후학자 '잭'과 그의 아들 '샘'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극지방의 빙하가 녹게 되면서 해수 온도가 급격히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해류의 흐름이 바뀌게 되어 지구온난화로 인한 빙하기가 시작되는 내용이다.
1.1.2. 지구온난화와 빙하기의 관계
지구온난화는 지구의 기온이 높아지는 현상이지만, 이로 인해 오히려 빙하기가 시작되는 것처럼 보이는 모순이 있다. 이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극지방의 빙하가 녹게 되면 그 빙하의 물로 인해 해수 온도가 급격히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해류의 흐름이 바뀌게 되어 지구온난화로 인해 빙하기가 시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구는 오랜 역사 동안 일정한 주기로 간빙기(따뜻한 시기)와 빙하기(추운 시기)를 반복해 왔다. 이러한 주기적인 변화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 변화이다.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는 약 41,000년의 주기로 22.1°에서 24.5° 사이로 변화하며, 기울기가 증가할수록 여름에는 더 많은 태양 복사열을 받고 겨울에는 더 적게 받게 되어 계절의 변화가 뚜렷해진다. 반대로 기울기가 감소하면 이러한 계절의 변화가 작아진다.
또한 지구의 공전궤도 형태도 약 10만년의 주기로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변화한다. 공전궤도가 완벽한 원이 아닌 타원형이기 때문에 근일점(태양에 가장 가까운 점)과 원일점(태양에서 가장 먼 점)의 변화가 생기며, 이로 인해 지구에 입사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 변화하게 된다. 공전궤도가 타원형에 가까워질수록 계절 간 온도 차이가 더 커지고, 반대로 원형에 가까워질수록 온도 차이가 작아진다.
이처럼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와 공전궤도 변화는 지구의 기후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전축 기울기와 공전궤도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지구 에너지 시스템의 불안정화를 초래하여 간빙기와 빙하기가 반복되는 것이다. 즉, 지구온난화로 인해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해류의 흐름이 변화하는 상황은 이러한 지구 기후 변화 과정의 일부로 볼 수 있다.
1.2. 본론
1.2.1. 영화 '투모로우'에서 볼 수 있는 이상기후 현상
영화 '투모로우'에서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이상기후 현상이 나타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우선 인도 뭄바이에서는 기온이 갑자기 떨어지면서 눈이 내리고, 일본에서는 수박만 한 크기의 우박이 쏟아진다. 또한 캘...
참고 자료
최은계, (2004), 환경재앙극 투머로우, 노동사회, Vol.89, No.0, pp137-139
정희모, (2004), [문화와 상황:영화읽기]롤랜드 에머리히 감독의 <투모로우>절대적 자연과 왜소한 인간, 기독교사상, Vol., no.574, pp.208-215
정진택, (2004),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대책, vol.44, no.7, pp.1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