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구강 해부학과 감염
1.1. 치아와 구강의 해부학
1.1.1. 치아의 구조와 기능
치아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치아는 하나의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식도로 연결된 두 개의 근초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치아의 근초성은 치아의 근성층, 신경층, 회음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구성 요소는 치아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한다.
치아의 근성층은 가장 바깥층으로 치아의 외형을 결정하는 법랑질로 이루어져 있다. 법랑질은 단단하고 견고한 무기질 구조로 치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 아래에 있는 상아질은 유기질과 무기질이 혼합된 구조로, 치수를 보호하고 치아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최내층의 치수는 신경과 혈관이 포함된 연조직으로, 치아의 감각과 영양 공급을 담당한다.
치아의 기능은 저작, 발음, 심미성 등 다양하다. 저작 기능은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 소화를 용이하게 하고, 발음 기능은 명확한 발음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치아의 배열과 모양은 얼굴의 미적 조화를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처럼 치아는 구강 내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각 부분의 구조와 역할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치아의 건강 관리와 보존은 구강 건강 유지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1.1.2. 구강 내 조직의 구성과 역할
구강 내 조직의 구성과 역할은 다음과 같다.
입술은 구강 기능의 유지와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하 립의 근육인 구륜근의 작용으로 입술의 개폐와 운동이 이루어지며, 입술 주변의 감각을 전달한다. 또한 입술은 발음과 섭식, 미용적 기능을 수행한다.
혀는 미각, 연하, 발음 등의 구강 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혀의 근육인 설근육은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여 음식 탐색, 혼합, 연하 등의 작용을 돕는다. 또한 혀의 표면에 있는 미각 수용기는 맛을 감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치아는 구강 내에서 섭식, 저작, 발음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구강 조직이다. 치아는 치관, 치근, 치수로 구성되며, 치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는 별도의 장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잇몸(치은)은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결합조직으로, 치아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잇몸은 치조골과 유착되어 있어 치아의 단단한 고정을 도우며, 치아와 구강 점막 사이를 밀폐하여 외부 자극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한다.
경구개는 구강의 상부를 덮고 있는 경성 점막으로, 발음과 연하 작용에 관여한다. 또한 구개 근육의 수축과 이완으로 연구개와 협력하여 연하 시 인두와 구강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구개는 경구개 뒤쪽에 위치한 연성 점막으로, 연하와 발음에 관여한다. 구개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 인두와 구강을 분리시키거나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강 내 다양한 조직들은 각자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적 특성에 따라 섭식, 연하, 발음, 감각, 보호 등 구강 건강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2. 구강 감염의 전파 경로
1.2.1. 근막 및 근막공간의 감염 경로
근막 및 근막공간의 감염 경로는 다음과 같다.
구강 내부에서 발생한 감염은 근막을 따라 퍼져나가는데, 이 때 주된 감염 경로는 치성 감염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경우 하악 대구치 부위의 치근단 농양이나 치주 감염이 근막을 따라 인접한 근막공간으로 확산된다. 초기에는 호기성 세균에 의한 감염이 시작되지만, 심부 조직으로 침투하면서 혐기성 세균이 성장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져 다양한 균주에 의한 혼합 감염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주사바늘 사용, 외상, 벌레 물림, 부적절한 외과적 처치, 타액선 감염 등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근막공간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시작된 초기 감염이 근막을 따라 퍼져나가면서 점차 병변이 악화된다.
첫 단계인 접종(Inoculation) 단계에서는 세균의 침투와 군집화만 일어나고, 약한 동통과 가벼운 종창이 나타난다. 이후 봉와직염(Cellulitis) 단계에서는 종창이 더 단단해지고 압통, 자발통, 국소 열감이 심해진다. 마지막으로 농양(Abscess) 단계에서는 파동성 종창이 나타나며 주로 혐기성 균주가 번성한다.
이처럼 근막을 따라 감염이 확산되면 인접한 근막공간으로 빠르게 퍼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치성 감염 등 구강 내 감염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2. 주요 근막공간별 감염 증상과 진행
주요 근막공간별 감염 증상과 진행은 다음과 같다.
Buccal space는 초기에는 호기성 세균에 의해 감염이 시작되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