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치료적 의사소통과 인간관계
1.1. 대상자 사례 1
1.1.1. 대상자 정보
대상자 김**은 49세의 여성 환자로, 주요 증상으로는 망상과 병식결여를 보이며 조현병 진단을 받고 2022년 11월 10일에 입원하였다."대상자 허**은 60세의 여성 환자로, 주요 증상으로는 피해망상과 환청을 보이며 편집형 조현병 진단을 받고 1998년 6월 22일에 입원하였다."
1.1.2. 의사소통 과정
첫 번째 대상자의 의사소통 과정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실습 학생과 갑작스럽게 만나 반갑게 인사하며 대화를 시작하였다. 학생은 자신을 간호학과 실습생이라고 소개하며 대상자와의 라포 형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대상자는 자신의 식사와 가족, 감정에 대해 말하며 학생과 소통하려고 하였다.
학생은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며 공감하려 노력하였고, 개방형 질문을 통해 대상자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더 많이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은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며 대상자와의 신뢰감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불안감을 줄이고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대상자의 발음이 좋지 않아 학생이 대화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동의하며 대화를 이어나가는 과정에서 한계가 있었다. 또한 겨울 날씨로 인해 병동 복도에서만 대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제한적인 환경에서 치료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졌다는 점이 아쉬웠다.
1.1.3. 인간관계 과정
대상자 사례 1의 '1.1.3. 인간관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 대상자와의 관계 형성에서 학생간호사는 대상자에게 눈을 마주치며 반갑게 인사를 하고 간호학과 실습 학생임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와의 라포 형성을 시도하였으며, 대화를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다양한 개방형 질문을 함으로써 대상자와 신뢰 관계를 맺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불안과 경계심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었다.
대상자와의 관계 형성 시 어려운 부분은 대상자의 발음이 좋지 않아 내용의 일부만 이해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대화의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대상자의 말에 동의함으로써 대상자의 행동과 생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대상자와의 관계를 끝내면서 가장 문제가 되었거나 어려웠던 점은 대상자가 섭섭하다고 표현하며 아쉬워했다는 것이다. 이는 의사소통 초기에 종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 못했던 것이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추운 날씨로 인해 병동 복도에서만 치료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진 점도 아쉬웠다.
1.1.4. 대상자 분석
대상자는 질문에 대해 자세하게 답변하려는 노력을 하였으며, 대부분의 시간에 복도에서 운동을 하거나 대화를 하는 등의 활기찬 활동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화가 나는 상황에서 거친 표현 등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 안전한 환경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대상자는 자신이 환자가 아니라고 일관하며, 병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지 않다. 또한 밖에 나가고 싶다는 등의 이야기를 지속적으로 말하며, 입원 후 지금까지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한 번도 없고, 약물복용 시간에 장난을 치는 등의 거부 행동을 보인다. 이는 병식결여와 관련된 비효과적 대처 기전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는 6개월 이내에 자신의 병(조현병)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2일 이내에 조현병으로 인한 증상 2가지 이상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2일 이내에 조현병 증상에 대한 대처방안 2가지 이상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4일 이내에 약물 복용 시간에 장난을 치는 등의 거부 행동이 하루 1회 이하로 감소하도록 하며, 3일 이내에 정신 건강 재활 프로그램을 1회 이상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1.1.5. 간호과정
대상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