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경계성 성격장애 대상자 치료적 의사소통 시뮬레이션
1.1. 가상 시나리오
대상자는 23세 여성으로 경계성 성격장애를 진단받았고, 퇴원하지 얼마되지 않아 2주 후에 다시 손목을 그어서 입원한 상황이다. 대상자는 의료인을 이상화하면서도 버림받는 기분이 들면 적대적으로 돌변하는 행동을 반복한다. 특히 핸드크림 향이 좋다는 간호사의 말에 환자들에게 억지로 바르게 하며 난동을 피우다가 사람들이 말리자 액팅아웃하며 얼굴에 핸드크림을 퍼바르고 무기마냥 들고선 날카로운 부분으로 손목을 찌르는 등의 행동을 보였다.
대상자는 의료인에게 과하게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다가도 신속히 적대적인 모습을 반복한다. 대상자의 주요 증상은 충동성, 불안정, 자살사고이며, 기분의 기복이 심하고 외로움과 공허감을 잘 느낀다. 또한 의료인에 대한 이상화와 평가절하가 동시에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자해 및 타해의 위험성이 높으며, 과다활동과 충동적 행동을 보인다. 대상자는 병식이 없으며 피해적 사고를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사는 의사소통 기술을 활용하여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 형성을 시도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대상자의 감정을 반영하고 수용하며,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는 등의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대상자에게 점진적 근육이완요법, 변증법적 행동치료, 심리도식 치료 등의 교육적 중재를 제공하여 충동성과 불안정한 정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1.2. 간호과정
경계성 성격장애 대상자에 대한 간호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선순위 간호진단은 "충동적 행동 및 불안정한 정서와 관련된 자살의 위험"과 "충족되지 않은 요구와 관련된 폭력의 위험"이다. 자살의 위험은 5점 만점에 19점으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며, 폭력의 위험은 18점으로 그 뒤를 따른다.
자살의 위험에 대한 간호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단적 계획으로 대상자의 전반적인 감정상태와 자살 및 자해의 위험도와 유형, 빈도 등을 사정한다. 둘째, 치료적 계획으로 대상자와의 라포 형성을 통해 정서적 지지를 하고, 안전한 환경을 마련하며,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셋째, 교육적 계획으로 충동적 행동과 불안정한 정서 관리를 위해 점진적 근육 이완요법, 변증법적 행동치료, 심리도식 치료 등을 제공한다.
폭력의 위험에 대한 간호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단적 계획으로 대상자의 폭력 행동과 관련된 지각정도, 일상 생활 속 행동, 폭력 유발 요인을 사정한다. 둘째, 치료적 계획으로 자극이 적은 환경을 조성하고, 위해 물건을 제거하며, 충족되지 않은 요구를 다른 방향으로 환기하고, 필요 시 억제대 적용 및 격리를 실시한다. 셋째, 교육적 계획으로 대상자와 치료적 의사소통 관계를 유지하고, 마음헤아리기 치료를 제공하며, 가족과의 관계 회복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간호과정을 통해 경계성 성격장애 대상자의 자살과 폭력의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