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최씨 무신정권의 붕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려의 무신정권
1.1. 무신정권의 배경과 성립
1.2. 무신정권의 전개 과정
1.2.1.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정권
1.2.2. 최씨 무신정권의 수립과 발전
1.3. 몽골 침입과 무신정권의 붕괴
1.3.1. 몽골의 고려 침입과 대응
1.3.2. 원나라 간섭기와 권문세족의 대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려의 무신정권
1.1. 무신정권의 배경과 성립
고려 무신정권의 배경과 성립은 다음과 같다.
고려 초기에 과거제가 도입되고 능력 중심의 인재 등용이 이루어지면서 문신 중심의 정치구조가 성립되었다. 그에 따라 무신들은 자신의 지위가 문신에 비해 낮아지는 차별을 겪게 되었다. 특히 의종 24년(1170) 보현원에서 문신 한뢰가 무신 이소응을 때린 사건을 계기로 무신들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등 무신들이 이를 계기로 반란을 일으켜 의종을 폐위하고 명종을 옹립하면서 무신정권이 수립되었다.
무신정권의 수립 배경에는 고려 초기부터 지속된 문무반 차별과 무신들의 불만이 자리 잡고 있었다. 과거제 도입과 문신 중심의 정치구조가 문신들의 우대와 무신들의 소외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특히 직접 전투와 행정 실무에 종사했던 무신들은 문신들의 멸시와 함께 낮은 대우와 봉급에 불만을 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현원 사건을 계기로 무신들이 반란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다.
결국 고려 초기 정치체제의 변화와 문신 중심 체제 강화가 무신정권 수립의 배경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문신과 무신 간의 갈등이 점증하다가 의종 24년 보현원 사건을 계기로 무신정권이 수립되었던 것이다.
1.2. 무신정권의 전개 과정
1.2.1.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정권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정권이다.
무신정권의 초기에는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순으로 집권하였다. 이들은 27년간 무신정권을 이끌었다.
먼저 이의방은 같이 무신란을 주도했던 이고, 채원 등을 제거하고 집권하였다. 이의방은 비록 무신란의 1인자였지만, 그 이전에...
참고 자료
『高麗史』.
민병하,『한국사』18, 「무신란과 초기의 무신정권」, 국사편찬위원회, 2003.
「진양부와 정방 및 서방」
이기백,『한국사신론』, 일조각, 1999.
박용운,『高麗時代史』下, 「무신정권과 그 사회」, 일지사, 1987.
민현구,『高麗政治史論』,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