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청소년상담사 자격증 취득에 관한 기초 정보
1.1. 국내 상담 관련 자격증 개요
1.1.1. 국가자격증과 민간자격증
우리나라의 상담분야 자격은 국가자격과 민간자격으로 나뉜다. 국가자격은 청소년상담사, 직업상담사 등과 같이 일정 요건을 갖춘 사람을 대상으로 필기, 실기, 면접 등의 검정과정을 거쳐 자격을 부여하는 검정형 자격이 있다. 또한 전문상담교사, 건강가정사와 같이 법령에서 정한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자격이 주어지는 과정 이수형 자격도 있다. 최근에는 직업상담사의 경우 과정 평가형 자격시험도 도입되었다. 이러한 국가자격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법인, 단체 또는 개인이 발급하는 민간자격이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민간자격정보서비스에 따르면 2020년 7월 기준 '상담'을 키워드로 검색하면 5,093개의 민간자격증이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상담관련 민간자격증이 있으나, 학생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심리정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전문상담교사 자격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1.2. 상담 관련 대표적인 국가자격증 및 민간자격증
상담 관련 대표적인 국가자격증으로는 청소년상담사, 직업상담사, 전문상담교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등이 있다. 이들 국가자격증은 학력이나 경력 등의 일정 요건을 갖춘 사람을 대상으로 필기 또는 실기시험, 면접 등 일련의 검정과정을 거쳐 자격을 부여한다.
대표적인 민간자격증으로는 (사)한국상담심리학회의 상담심리사, (사)한국상담학회의 전문상담교사 등이 있다. 상담관련 민간자격증은 법인, 단체 또는 개인이 발급하는 자격증으로, 2020년 7월 기준 '상담'을 키워드로 검색했을 때 5,093개의 자격증이 등록되어 있을 정도로 다양하다.
상담 관련 국가자격증과 민간자격증은 상담 전문가를 양성하고 상담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이다. 국가자격증은 관련 법령에 따라 체계적인 관리와 운영이 이루어지는 반면, 민간자격증은 다양한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발급하고 있어 전문성에 대한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볼 수 있다.상담 분야 국가자격증과 민간자격증의 차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국가자격증은 청소년상담사, 직업상담사, 전문상담교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등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일정 자격 요건을 갖춘 자에 한해 시험을 통해 자격을 부여한다. 반면 민간자격증은 상담심리사, 전문상담교사 등 각종 학회나 협회, 개인 및 단체에서 자체적으로 발급하는 자격증이다.
국가자격증은 정부의 관리와 감독 하에 체계적인 자격 검정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만, 민간자격증의 경우 발급 기관마다 자격 기준과 검정 절차가 상이하여 전문성과 신뢰도에 대한 논란이 있다. 또한 국가자격증은 관련 법령에 근거하여 자격이 규정되어 있어 취득 후 취업 및 진로 선택에 유리한 반면, 민간자격증은 상대적으로 그렇지 않다.
이처럼 국가자격증과 민간자격증은 각자의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상담 분야에서 이들 자격증은 상담 전문가 양성과 상담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주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청소년상담사 자격증 개요
1.2.1. 자격증의 목적 및 도입 배경
청소년상담사 자격증의 목적 및 도입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청소년상담사 자격증은 심각해져 가는 청소년 문제를 현실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전문적인 상담인력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에 도입되었다. 기존의 청소년 상담실, 사회기관 등의 종사자들의 청소년 상담 전문성을 확보함으로써 청소년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