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빌리루빈혈증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고빌리루빈혈증의 정의 및 중요성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고빌리루빈혈증의 이해
2.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2.2. 질병의 병태생리
2.3. 진단방법
2.4. 증상
2.5. 치료와 간호
2.5.1. 광선요법
2.5.2. 모유수유 관리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간호력
3.1.2. 신체사정
3.1.3. 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
3.2. 간호진단
3.3. 간호계획
3.4. 간호중재
3.5. 간호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고빌리루빈혈증의 정의 및 중요성
고빌리루빈혈증은 혈액 내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로 인해 피부와 다른 기관의 색깔이 황달로 인해 노랗게 변색되는 특징을 보인다. 고빌리루빈혈증은 신생아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대부분의 경우 비교적 경한 경과를 보인다. 그러나 신생아 황달의 대부분은 간접 빌리루빈이 피부에 침착되어 나타나는데, 간접 빌리루빈은 신경에 손상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일단 병리적 상태로 간주하여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고빌리루빈혈증은 신생아의 60~80%에서 발생하는 흔한 질환으로, 주로 생후 4~5일에 나타나며 피부가 노란색을 띠다가 생후 일주일이 지나면 저절로 사라진다. 하지만 일주일이 지나도 황달이 없어지지 않는 경우 뇌세포에 빌리루빈이 축적되어 뇌신경 장애, 뇌성 마비, 청각 상실, 지능 저하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지만 심각한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는 고빌리루빈혈증에 대한 원인, 종류 등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효과적인 치료와 간호 방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2. 고빌리루빈혈증의 이해
2.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고빌리루빈혈증은 혈액 내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하는 것을 의미하며, 피부와 다른 조직에 황달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비포합빌리루빈 또는 포합빌리루빈의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 대부분의 경우 양성의 경과를 보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신경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핵황달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질환이다.
고빌리루빈혈증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숙아의 간기능 미숙으로 인해 만삭아에 비해 핵황달을 일으킬 가능성이 증가한다. 둘째, 모유수유, 빌리루빈의 과도 생성(용혈성 질환, 생화학적 결함, 타박상 등), 간의 결합빌리루빈 분비 능력 장애(효소 부족, 담도 폐쇄 등), 과잉 생간과 배설 저하(용혈의 과잉)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셋째, 유전적 소인도 고빌리루빈혈증 발생의 요인이 된다.
2.2. 질병의 병태생리
빌리루빈은 적혈구의 파괴로 인한 혈색소의 분해산물 중 하나이다. 적혈구가 파괴될 때 파괴산물이 순환으로 분비되어, 거기서 혈색소가 heme과 globin부분으로 나누어진다. globin은 신체에 이용되고, heme부분은 알부민과 결합한 불용성인 간접 빌리루빈으로 전환된다. 이 빌리루빈은 간에서 단백과 분리되어, 간 효소인 glucuronyl transferase에 의하여 glucuronic acid와 포합되어, 물에 용해되는 직접 빌리루빈으로 변화된 후 담도를 통하여 장으로 배설된다. 정상 신생아는 순환하는 적혈구 농도가 높고, 적혈구의 수명이 60~80일로 짧기 때문에 빌리루빈 생산이 성인보다 평균 2배 많다. 또한 간접 빌리루빈을 직접 빌리루빈으로 전환시키는 간 능력이 glucuronyl transferase 생산부족으로 저하되어 있다. 신체는 정상적으로 적혈구의 파괴와, 그 부산물의 이용 혹은 배설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나, 발달적 제한이나 병리적 과정이 있으면 이 균형을 방해하여 빌리루빈이 조직에 축적되어 황달을 유발한다. 신생아에서 고빌리루빈혈증은 빌리루빈의 과잉생산, 직접 빌리루빈으로 전환시키는 간의 능력 장애, 담도폐쇄, 모유수유, 생리적 황달에 의해 발생한다.
2.3. 진단방법
고빌리루...
참고 자료
Susan Rowen James 외,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현문사, 2019.
김희숙 외 8명, 『아동간호학 실습지침서』, 2001
이상락, 「신생아 황달」,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9호, 2006.
정성진, 「전신마사지가 광선요법 중인 신생아의 경피 빌리루빈치, 수유량, 배설 상태에 미치는 영향」,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7.
장지영, 「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 관련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05.
KIMS 의약정보센터 : http://www.kimsonline.co.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 http://www.snuh.org/
홍경자 외 (2016)-아동건강간호학I-수문사-298~307p
이은희 외 (2019)-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고문사-217p~35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