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해혁명 입헌군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국의 현대사와 신해혁명
1.1. 신해혁명의 배경
1.1.1. 열강의 침략과 개혁의 움직임
1.1.2. 청의 철도 국유화
1.2. 신해혁명의 전개과정
1.2.1. 타오르는 혁명의 불씨
1.2.2. 우창봉기와 신해혁명
1.3. 혁명 이후의 정세와 대립의 심화
2. 신해혁명의 영향과 의의
2.1. 신해혁명이 동아시아에 끼친 영향
2.2. 신해혁명의 성과와 의의
3. 민국혁명과 5.4운동
3.1. 민국혁명의 시작과 전개
3.2. 5.4운동과 중국 현대사의 발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국의 현대사와 신해혁명
1.1. 신해혁명의 배경
1.1.1. 열강의 침략과 개혁의 움직임
청말, 제국주의 열강의 압박과 태평천국 운동 등으로 청 내부의 혼란은 심화되었으며 개혁에 대한 목소리는 커져갔다. 이에 부국강병을 목적으로 근대화를 추진하게 되었다. 먼저 서양식 무기 도입과 근대산업, 신식교육을 들여오는 양무운동을 펼친다. 양무운동은 "중체서용"정신에 입각하여 진행되었다. 중국의 정치체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서양의 문물만을 들여온 반쪽자리 개혁의 성패여부는 두 차례의 전쟁으로 입증되었다. 1884년 프랑스에서와의 전쟁에서, 1894년 일본과의 전쟁에서 대패를 거둔 것은 양무운동의 실패를 증거했다. 이후 캉유웨이와 량치차오의 주도로 변법자강운동이 전개되었다. 변법자강운동에서는 입헌군주제 등 봉건시대적 제도를 타파하는 개혁안이 제시되었지만, 위안스카이의 배신과 서태후와 수구파의 반대에 의해 실패로 돌아가게 되었다. 서태후와 보수세력의 개혁에 대한 입장이 변하게 된 것은 의화단 운동을 중심으로 한다. 의화단 운동은 서구세력에 의해 무참히 짓밟히게 되었고, 이에 서태후와 보수세력은 서양의 군사력에 대해 실감하게 되며 서양의 이점을 취하고, 중국의 단점을 고쳐 부국강병을 꾀하려 뒤늦게 신정(新政)을 선포하였다.
1.1.2. 청의 철도 국유화
중국은 1905년 이래 이권회수운동에 의하여 광산채굴권과 철도부설권이 외국으로부터 상당부분 회수되었다. 그렇기에 중국인들은 스스로 철도를 건설하기로 하여 호북 성, 호남 성, 광둥 성, 쓰촨 성의 상인들이 회사를 설립하고 주식을 모았다. 다만 기대하던 만큼의 자금이 모아지지 않아 공사는 순조롭지 못하였다. 또한 각 지역 신상(新商)들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아 일처리가 늦어지고 각자의 사리사욕을 꾀하느라 철도공사는 난관에 봉착하였다.
당시 청조는 입헌군주정체로 이행함에 따라 지방에서 베이징으로 의원을 소집하여 중앙에서 지방으로 통치를 확대할 필요가 있었다. 여기에 국방의 관점이나 현지의 요청도 있어서 서북과 북부 등으로 철도망을 확대할 필요가 생겨났다. 변경으로 향하는 철도 건설은 지방의 총독?순무들에게도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몽골이나 서북쪽으로 나가는 철도는 채산이 맞지 않아, 청은 우전부가 책정한 철도 계획에 기초하여 대외적으로는 국토를 유지하고 대내적으로는 의회제도에 부합하는 근대 통일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전국 각지로 철도망을 정비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철도망을 국유화함으로써 동남 등 채산이 맞는 노선의 이익을 서북 등으로 돌려 경영? 것을 상정하였다.
1911년 청은 철도 국유화를 정식으로 결정하였다. 이는 책임내각제가 발족한 다음 날로, 이 내각에 대한 불신을 배경으로 민간 자본을 통해 철도 건설을 시도하고 있던 각 지역에서 반대가 일어났다. 그러나 청은 돤팡을 웨한 두 철도의 감독대신으로 임명하며 민간 철도회사를 접수하는 일을 맡기고, 이금과 염세를 담보로 열강의 은행단으로부터 차관을 실시했다. 이에 대해 철도를 건설하기 위해 신상들이 모였던 후난, 후베이, 쓰촨, 광둥에서는 철도국유화 반대운동 (보로운동 保路運動)이 일어났다. 특히 쓰촨에서는 쓰촨 보로동지회가 반대운동을 활발하게 펼쳤으며, 9월 7일 쓰촨 총독은 쓰촨 보로동지회의 수반을 체포 ? 구금하고 보로동지회와 철도회사를 폐쇄했다. 이에 많은 사람들이 항의하며 총독아문에 몰려들었고 총독은 이에 대해 발포하여 탄압한다. 그 뒤 혁명파의 움직임과 쓰촨 각지에서 무장봉기가 일어나 총독군과의 공방을 벌이게 되었다.
1.2. 신해혁명의 전개과정
1.2.1. 타오르...
...
참고 자료
양필승. (1996). 신해혁명(1911)에서 6.4 사태(1989)까지: 혁명기 중국을 보는 눈, 한국중국학회, 261-262
김형종. (2011). 신해혁명 100주년을 기념하여. 지식의 지평, (10), 283-298.
鄭惠仲. (2011). 동아시아 신해혁명의 기억. 명청사연구, 36(), 315-345.
배경한. (2011). 동아시아역사 속의 신해혁명. 동양사학연구, 117(), 219-256.
가와시마 신. 『중국근현대사2: 근대국가의 모색』. 삼천리. 2013.
신동준. 『인물로 읽는 중국 근대사』. 에버리치홀딩스.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