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유아 스마트폰 이용에 대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선행연구 검토
1.3. 연구 목적 및 내용
2. 영유아기 스마트폰 사용과 인식의 현황
2.1.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
2.2.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2.3. 영유아의 정서 발달에 대한 부모의 인식
3. 영유아기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정서 발달에 미치는 문제점
3.1. 사회·정서에 미치는 영향
3.1.1. 공격성
3.1.2. 자기조절력
3.2.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3.2.1. 정서지능
3.2.2. 정서조절력
4. 해결방안
4.1. 스마트폰 중독 해결방안
4.1.1. 개인적 차원
4.1.2. 사회적 차원
4.2. 영유아의 정서 발달 촉진 방안
4.2.1. 개인적 차원
4.2.2. 사회적 차원
5. 결론
5.1. 연구 결과 요약
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스마트폰은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막대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성인과 청소년 뿐 만 아니라 인간의 전 생애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영유아기의 아이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 조가 이 주제로 글을 쓰고자 하는 이유는,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실태와 부모의 스마트폰 이용습관이 영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그리고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정서 발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심각성을 알아보고 그 문제들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영유아의 스마트폰의 올바른 사용방법을 제공하고 지도하기 위해서이다. 단순한 해결방안이 아닌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한 해결방안을 제시할 필요성을 느껴 이 글을 쓰게 되었다.
1.2. 선행연구 검토
선행연구 검토 결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들이 이루어졌다"
오윤경은 최근에는 스마트폰 육아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부모들의 휴식과 편리를 위해서 또는 자녀를 돌보기 힘들 경우 보상 또는 통제의 수단과 같은 양육의 방편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하고 있다고 하였다".
임연정은 스마트폰 사용연령은 점차 하향화 되고 있으며, 부모의 양육태도나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정도는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과도 연관성이 있으며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유아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였다".
원미진은 영유아기의 스마트기기의 이용률은 해를 거듭할수록 더욱 늘어날 것이며 영유아기의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문제는 점점 심각한 상황에 놓일 것이라고 하였다".
박경숙은 영유아 시기는 정서지능 형성에 매우 중요한 시기로서 이 시기의 스마트기기 사용은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영향을 크게 받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김건행은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어린 유아들의 폭력성, 충동성, 공격성을 증가시키고 자기조절능력 상실과 또래관계, 부모자녀관계, 학습 등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영유아기 때의 스마트폰 사용은 여러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여러 논문들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많은 논문에서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대한 위험성을 말하고 있지만, 확실한 해결 방안은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3. 연구 목적 및 내용
본 연구의 목적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유아기의 스마트폰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현 추세에 따라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영유아의 정서 발달에 미치는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와 부모의 인식을 살펴본다. 둘째, 영유아기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사회·정서적 측면과 정서지능 측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규명한다. 셋째, 영유아의 정서 발달을 촉진하고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고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영유아기 스마트폰 사용과 인식의 현황
2.1.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는 다음과 같다.
2014년 육아정책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가정 내 미디어매체의 보유율은 98% 이상으로 거의 대부분의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유아의 이용률은 68.4%로 영아(34.9%)보다 스마트폰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다. 또한 유아의 스마트폰 최초 이용 시기는 평균 만 2.7세로 점점 어려지고 있는 추세이다.
유아들의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시간을 살펴보면, 30~40분이 36.7%로 가장 많았고, 10~20분이 24.4%, 1시간 이상 사용하는 유아도 9.5%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자신의 소유가 아닌 경우에도 초등학생 수준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터치스크린 기술로 인해 유아들도 스마트폰에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아들이 스마트폰 사용법을 배우는 대상을 살펴보면, '유아 혼자서'라는 응답이 32.9%로 가장 높았고, 형제·자매가 26.6%, 어머니가 25.2%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함께 사용하는 대상으로는 부모(46.3%)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형제·자매(27.2%)로 조사됐다.
2.2.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의 필요성에 대해 부모들의 인식은 대체로 부정적이다.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어머니는 17.1%에 불과하였고,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어머니는 82.9%로 나타났다.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로는 "학습적인 면에서 도움이 되기 때문"이 70.3%로 가장 높았고,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로는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전자파나 아이의 시각 장애가 우려되기 때문"이 61.7%로 가장 높았다. 이를 통해 부모들은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이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
참고 자료
강현석, 조인숙. (2018).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 간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21(1), 153-169.
이현경, 홍혜경, 이수기. (2014).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현황과 게임 과몰입 경향성. 유아교육연구, 34(3), 239-262.
하은혜, 남수미. (2018). 유아의 최초 스마트폰 사용연령과 이용정도가 문제행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4, 5, 6세 3년 종단연구. 놀이치료연구, 22(2), 55-68.
김건행(2016),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간의 관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정 외 3인(2007),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부모의 태도, 남녀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28권 3호, 아동학회, 115~131쪽.
김효선(2015),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특성에 따른 정서조절력과 공격성 및 스마트폰 지향성,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경숙(2013),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이 정서지능이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박지애(2014), 유아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습관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윤경(2016), 아버지 양육참여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원미진(2016), 제약이론의 씽킹프로세스를 적용한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해결 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은정(2013),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유아의 정서지능간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미정(2013),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실태 및 유아발달에 미칠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이원석‧성영화(2012),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어머니의 인식, 6권 1호, 유아정책연구소.
이윤미(2014), 유아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습관, 유아의 주의집중 및 자기조절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연정(2016),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와 유아의 사회 정서적 특성(기질, 자기통제, 문제행동)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옥분 외 2인(2007), 정서발달과 정서지능, 학지사.
정은주(2005), 유아의 행동적·정서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유미(2013), 아동의 스마트폰 사용과 공격성에 대한 연구: 부모 양육태도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Goleman, D(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21). 2020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장진주,정인숙(2015).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수준 관련 요인.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제 16권 1호
이주연,최지훈(2020). 전북지역 영유아의 미디어 이용실태 및 대응방안 연구. 전북연구원
오주현,박용환(2019). 영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 실태 및 부모 인식 분석. 육아정책연구 제13권 제3호
육아정책연구소(2014). 영유아 스마트폰 노출 실태 및 보호대책. 육아정책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