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기생충학
1.1. 기생충의 분류와 생물학
1.1.1. 원생동물
원생동물은 가장 단순한 구조의 진핵생물로, 단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운동기관인 편모, 섬모, 가족족을 가지고 있다. 원생동물은 크게 근족충류, 섬모충류, 포자충류, 편모충류로 나뉜다.
근족충류에는 이질아메바, 대장아메바, 잇몸아메바, 왜소아메바, 요도아메바 등이 포함된다. 이질아메바는 대표적인 병원성 아메바로 감염될 경우 아메바성 장염, 아메바성 간농양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대장아메바는 병원성이 없으며 인체에 큰 해를 끼치지 않는다. 잇몸아메바는 구강에 기생하고, 왜소아메바와 요드아메바는 비병원성 아메바이다.
섬모충류에는 대장섬모충이 대표적이다. 대장섬모충은 감염될 경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가끔 급성 창자염을 유발할 수 있다.
포자충류에는 와포자충, 사람포자충, 톡소포자충, 말라리아포자충 등이 포함된다. 와포자충은 면역저하자에게 설사와 장관 흡수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사람포자충은 면역저하자에게 기회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톡소포자충은 태반이나 장기이식을 통해 감염될 수 있으며, 선천성 감염의 경우 맥락막염, 수두증, 뇌내 석회화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말라리아포자충은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주기적인 오한, 발열, 발한 증상을 보인다.
편모충류에는 람블편모충, 질편모충, 파동편모충, 리슈만편모충 등이 속한다. 람블편모충은 설사성 장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질편모충은 여성의 질염을 유발할 수 있다. 파동편모충은 사람의 혈액과 조직에 기생하며, 리슈만편모충은 모래파리에 의해 전파되어 피부나 내장에 기생한다.
이처럼 원생동물은 다양한 기생충에 속하며, 각각 숙주에 특이적인 감염 양상과 병리, 증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 원생동물 기생충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1.1.2. 후생동물(연충류, 윤충류)
후생동물(연충류, 윤충류)은 편형동물문(Phylum Platyhelminthes), 선형동물문(Phylum Nemathelminthes), 유선동물문(Phylum Nematomorpha), 구두충문(Phylum Acanthocephala), 환형동물문(Phylum Annelida)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기초적인 신경계와 소화계를 가지고 있어 원생동물보다 더 발달된 구조를 갖고 있다"".
연충류에는 흡충류(Trematoda), 조충류(Cestoda), 선충류(Nematoda) 등이 포함된다"". 흡충류는 편형동물문에 속하는 기생충으로, 주요 기생부위는 소장, 간, 담도, 방광 등이다. 흡충은 몸체가 크고 평평하며, 체내에 흡반(sucker)이 있어 숙주에 단단히 부착할 수 있다"". 조충류는 긴 편평한 충체로 되어 있으며, 전방에 두절(scolex)이 있고 흡반과 갈고리를 이용하여 숙주의 장벽에 부착한다"". 선충류는 원형의 몸체를 가지며, 대부분 선형동물문에 속하고 일부가 유선동물문에 속한다. 선충은 소화계와 생식계가 발달되어 있으며, 가장 흔한 기생부위는 소장과 대장이다"".
윤충류에는 회충(Ascaris), 요충(Enterobius), 편충(Trichuris), 구충(Ancylostoma), 분선충(Strongyloides), 선모충(Trichinella) 등이 포함된다"". 회충은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분포하는 기생충으로,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다량 감염 시 소화기 증상이 나타난다. 요충은 항문 주변에 기생하여 소양감을 유발하며, 편충은 대장에 기생하여 만성설사와 영양실조를 일으킨다"". 구충과 분선충은 피부를 뚫고 침입하여 폐, 장관 등을 침범하며, 선모충은 근육에 기생하여 근육통과 부종 등을 유발한다"".
이처럼 연충류와 윤충류는 다양한 기생부위와 병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기생충의 생활사와 숙주-기생충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감염경로를 차단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인체 기생충의 생활사와 감염경로
1.2.1. 경구감염
경구감염은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섭취하여 기생충이 체내에 침입하는 경로이다. 회충, 편충, 구충, 주혈흡충, 간흡충 등 많은 기생충이 경구감염을 통해 인체에 침투한다.
회충(Ascaris lumbricoides)은 오염된 토양 내 충란을 섭취하여 소화기관을 통해 건강한 숙주에 감염된다. 충란은 소장에서 부화하여 유충이 되고, 이 유충은 혈류를 따라 폐로 옮겨가 거기서 성충으로 자란 뒤 다시 소장으로 내려와 기생하게 된다. 이때 유충이 이동하면서 폐렴 등의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
편충(Trichuris trichiura)의 경우에도 토양에서 옮겨온 충란을 섭취하면 소장에서 유충이 부화하여 성충이 되어 기생하게 된다. 구충(Ancylostoma duodenale, Necator americanus)은 토양의 오염된 원형 유충을 통해 피부로 침입한 뒤 혈류를 따라 폐로 이동하여 성충이 된다.
주혈흡충(Schistosoma spp.)은 감염된 담수 어패류나 식용 식물을 섭취하여 감염되며, 소화기관을 통해 체내에 침입한 유충이 문맥계 혈관에 기생하게 된다. 간흡충(Clonorchis sinensis)의 경우에는 오염된 민물고기나 게를 생식하여 감염되며, 십이지장에서 성장한 흡충이 간담도계에 기생하여 증상을 일으킨다.
이처럼 경구감염은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의 섭취를 통해 기생충이 체내로 침입하는 감염경로이다. 이러한 경구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식물과 물의 위생관리 및 건강한 배변습관 등이 중요하다.""
1.2.2. 경피감염
경피감염이란 기생충의 유충이 피부를 통해 침입하여 인체에 감염되는 경로이다. 대표적인 예로 구충(Ancylostoma)과 분선충(Strongyloides stercoralis)이 있다.
구충의 전염성 유충은 상처 없는 피부를 관통하여 혈류에 침입한 후 폐로 이동한다. 이 때 폐를 통과하면서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성숙한 유충을 삼키게 되면 작은창자에서 성충으로 발달한다. 구충 감염은 주로 맨발로 걷거나 활동할 때 유충이 피부에 침투하면서 발생한다.
분선충의 전염성 유충 또한 상처 없는 피부를 관통하여 혈류에 침입한다. 유충은 숙주 체내를 이동하면서 폐에 도달하고, 다시 소화기관으로 내려가 장점막에 침투하여 성충이 된다. 분선충은 땅에 오염된 유충이 있는 경우 주로 피부를 통해 감염된다.
피부를 통한 기생충 감염은 주로 걸레벗기, 농작업, 맨발로 활동할 때 발생한다. 기생충 유충이 피부를 뚫고 침입하면 피부염, 알레르기 반응, 피하 결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유충의 이행 과정에서 폐렴, 화농성 육아종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경피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상처를 막고, 맨발로 활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토양 위생 관리와 함께 개인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1.2.3. 모기 및 절지동물 매개 감염
모기 및 절지동물 매개 감염은 기생충의 생활사에서 중요한 경로이다. 모기나 진드기와 같은 절지동물은 기생충의 중간숙주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사람에게로 감염이 전파된다.
말라리아 원충은 대표적인 모기 매개 기생충으로, 모기(주로 Anopheles속 모기)에서 유성생식이 일어나고 사람의 혈액 내에서 무성생식을 거친다. 모기가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되면 체내에서 생장하여 타액선에 축적되고, 이후 사람을 흡혈할 때 침과 함께 원충이 주입되어 사람이 감염되는 것이다. 이처럼 말라리아 원충은 모기를 통해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전파되는데, 이러한 전파방식을 생물학적 전파라 한다.
또한 회선사상충은 검은파리(Simulium속)에 의해 매개되며, 로아사상충은 등에(Chrysops속)에 의해 전파된다. 이들 사상충은 모기나 파리 등의 절지동물이 감염된 사람을 흡혈할 때 체내 미성숙 유충이 주입되어 사람에게 전염된다. 이처럼 절지동물이 기생충의 중간숙주 역할을 하며 사람과 사람 사이의 전파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어떤 기생충은 절지동물에 기생하면서 그 과정에서 인체로 감염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고래회충은 해산 갑각류를 중간숙주로 하며, 사람이 이러한 중간숙주 생물을 섭취하면 인체 내에서 유충이 자라 감염을 일으킨다. 이러한 전파방식을 기계적 전파라 한다.
이처럼 모기, 파리, 진드기 등의 절지동물은 다양한 기생충의 전파에 관여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매개체에 대한 적절한 방제와 관리가 기생충 감염 예방에 중요한 전략이 된다.
1.3. 기생충 감염의 병리와 면역
1.3.1. 기생충 감염의 병해
기생충 감염은 다양한 방식으로 숙주에게 병리학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첫째, 기생충이 숙주의 조직이나 기관을 물리적으로 손상시켜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테면 회충이 장폐쇄를 일으키거나, 낭미충이 기관을 압박하여 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둘째, 기생충의 활동으로 인해 숙주 세포와 조직이 파괴되는 경우가 있다. 이질아메바는 장점막을 침범하여 궤양을 유발하고, 톡소포자충은 뇌조직을 침범하여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셋째, 기생충이 분비하는 독성물질로 인해 숙주에 독성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모충의 근육 기생으로 근통증이 발생한다. 넷째, 기생충 감염에 대한 숙주의 과민성 반응으로 인해 병변이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혈흡충 감염에서 충란에 대한 육아종 형성으로 장이나 방광 손상이 일어난다. 다섯째, 기생충이 숙주의 영양물질을 탈취함으로써 영양 손실이 초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충 감염으로 인한 영양실조가 대표적이다. 마지막으로, 기생충의 활동이 숙주의 행동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톡소포자충에 감염된 쥐는 고양이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