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제사회복지에서 한국의 기여와 사례에 대하여 작성하기 바랍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역할과 발전방안
1.1. 국제협력의 이념 및 필요성
1.2. 국제사회복지에서의 한국의 위상
1.2.1. 한국 국제협력의 특성
1.2.2.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국제협력단체
1.3. 국제사회 기여를 위한 한국 복지의 발전 방안
2.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족의 사회복지
2.1. 이사벨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
2.2. 이사벨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와 프로그램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역할과 발전방안
1.1. 국제협력의 이념 및 필요성
국제협력의 이념은 각 나라의 정치적, 경제적, 역사적 입장에 따라 다소 차이점이 존재하지만, 여러 선진국의 국제협력 이념을 종합하면 인도주의적 고려 및 상호의존성 인식으로 귀결된다. 이는 세계 전체를 공동체적인 하나의 지구촌으로 간주하여 공존과 공영을 이뤄내자는 이념이다.
우리나라 국제협력의 이념은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지만, 홍익인간의 정신에 입각해 인도주의적 고려 이념을 실현할 수 있으며 상부상조의 전통에 입각해 상호의존성 인식을 우리나라 국제협력의 이념으로 수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국제협력의 필요성은 대개 외교안보적, 경제적, 인도주의적 측면에서 논의되고 있다. 정부의 경우 첫째 외교안보, 둘째 경제, 셋째 인도주의의 순위가 될 것이며, 기업의 경우 첫째 경제, 둘째 외교안보, 셋째 인도주의의 순위를 가질 것이다. 종교단체의 경우 첫째 종교이념(인도주의), 둘째 경제, 셋째 안보 등과 같은 순위가 나타날 것이다.
이처럼 각 주체에 따라 국제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우선순위가 다르기 때문에, 개발도상국에 국제협력 원칙을 적용할 때 정부, 기업, 종교나 민간단체 간 갈등이 일어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사전적 조정 노력이 요구된다.
나아가 사회복지계에서도 인도주의적 측면에서의 국제협력에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다. 현재에도 세계인구의 1/5이 절대적으로 빈곤한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과거 어려움을 겪었듯이 이제는 국제사회 복지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1.2. 국제사회복지에서의 한국의 위상
1.2.1. 한국 국제협력의 특성
한국 국제협력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민국은 원조를 받는 국가에서 원조를 주는 국가로 전환된 유일한 국가이다. 1950년대 한국전쟁 당시와 전후 복구 과정에서 대한민국은 세계 최대 원조 수혜국이었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을 통해 급속한 성장을 이루면서 1980년대 후반부터는 원조를 제공하는 공여국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대한민국이 존재만으로도 많은 개발도상국의 희망이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원조 경험 공유가 수원국에게 원조의 진정성과 함께 빈곤 탈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둘째, 대한민국은 국제개발협력에 ...
참고 자료
박종삼(1996), 국제사회복지 지원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협의회.
복지타임즈, 한국 국제개발협력의 특성과 사회복지계의 참여 방안,(2022.07.25.)
복지타임즈, 한국 사회복지의 세계화를 위한 과제,(2022.08.01.)
복지로 홈페이지
보건사회연구, 2015, 이지원, 취업상태 혼인이주여성의 소득 및 고숙련직종 종사여부의 결정 요인
연합뉴스, 박성은, 2017.3.14. [카드뉴스] 보육사각지대의 장애아동.. 국공립 어린이집도 외면
한국보육진흥원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