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한항공 esg"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ESG 경영
2.1. ESG 경영 개념 및 한국 동향
2.2. 항공기업의 ESG 경영 사례 고찰
3. 항공운송시장의 현황과 미래
3.1. 항공운송시장의 현황
3.1.1. 코로나로 인한 타격
3.1.2. 화물 운송 통한 위기 극복
3.1.3. 각국의 지원
3.2. 항공운송시장의 변화될 미래
3.2.1. 친환경적인 방향으로의 변화
3.2.2. 포스트 코로나
3.2.3. 비행 택시
4.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합병에 따른 항공운송산업의 변화와 재편
4.1. 항공 운송 산업의 구조
4.2. 인수합병
4.3. 인수 합병 이후 독점기업에 대한 우려 발생 : 공정위의 조치를 중심으로
4.4. 산업 구조 개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ESG는 2000년대 태동 하여 최근 급격하게 확산하고 있다. UN 책임투자원칙(PRI)이 출범 이후 ESG라는 용어가 범용화되었다. 이후 ISO 26000이 발간되고,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발표하였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ESG 평가가 확산하면서 국내도 탄소 중립 2050 선언 및 ESG 확산 원년 발표 등으로 기업 경영의 화두로 등장하였다. 한국표준협회에 따르면 현재 ESG는 기업 경영의 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 기업의 대외 신인도 및 투자유치에 ESG 경영이 부각되면서, ESG평가가 기업 평가의 뉴-노멀로 부상하고 관련 생태계가 구성되었다. 이러한 ESG는 기업의 경영 철학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2. ESG 경영
2.1. ESG 경영 개념 및 한국 동향
ESG 경영은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단어로, 기업이 친환경 정책 및 경영과 사회적 기여를 통해 투명한 지배구조를 구축함으로써 기업에 대한 투자를 결정할 때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이 재무적 성과 이외의 비재무적 성과까지 고려하도록 하는 경영 방식이다.
ESG 경영은 2000년대 태동하여 최근 들어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다. UN 책임투자원칙(PRI)이 출범 이후 ESG라는 용어가 범용화되었으며, 이후 ISO 26000이 발간되고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발표하면서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ESG 평가가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50 탄소 중립 선언 및 ESG 확산 원년 발표 등으로 ESG 경영이 기업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표준협회에 따르면 ESG는 기업의 대외 신인도 및 투자유치에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면서, ESG 평가가 기업 평가의 새로운 기준이 되고 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회사인 블랙록의 2019년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 1천여 개 이상의 ESG 평가 지표가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2003년부터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기업지배구조를 평가하기 시작하였고, 2011년에는 환경 경영과 사회책임 부분을 추가하여 한국형 ESG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는 상장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투자자들의 책임투자를 활성화시키고, 투명한 지배구조를 통해 기업 신뢰성과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2.2. 항공기업의 ESG 경영 사례 고찰
대한항공은 지난 1년 동안 국내 7개 항공사 중에서 'ESG 경영' 관심도 1위를 차지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이다. 최근 유럽과 미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폭염 등 이상 기후현상이 크게 도드라지고 있는 가운데 항공사의 경우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업종이어서 ESG 경영 정보량이 상대적으로 중요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이다.
대한항공은 지난달 국내 항공사 최초로 ESG 채권을 발행한다고 밝혔다. 당초 2,000억 원 규모로 예상됐던 최종 발행 금액은 수요가 몰리면서 발행금액을 늘려 최종 3500억 원으로 확정됐다"이다. 대한항공은 친환경·고효율 항공기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B787-10 20대, B787-9 10대를 추가 도입했다"이다. B787-10는 동급 기종과 비교하면 좌석 당연료 효율이 20% 높고, 이산화탄소 및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20% 적다"이다. 국내 최초로 SAF도 혼합 사용해 운항하고 있다"이다. SAF는 폐식용유를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 등유 등으로 만든다. 따라서 화석 연료 대비 탄소 배출량을 최소 75% 줄일 수 있다"이다.
한편 아시아나항공은 해마다 폐기 및 소각 되는 유니폼을 회수하여 태블릿 파우치 굿즈를 선보였으며 기존 유니폼의 색감과 색동 포인트를 살려 항공사의 고유 이미지를 그대로 담았다"이다. 아시아나항공은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포함한 경영 활동과 성과를 담은 첫 번째 ESG 보고서를 발간했다"이다. 이 보고서는 국제 ESG 표준 가이드인 GRI 표준의 핵심적 부합방식에 의거해 작성됐다"이다.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수익 역량 강화, 안정적 운항복원과 안전 관리 강화, 지배 구조 개선과 코로나 19 대응 등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실천 의지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이다.
3. 항공운송시장의 현황과 미래
3.1. 항공운송시장의 현황
3.1.1. 코로나로 인한 타격
코로나19 사태로 항공운송시장이 엄청난 타격을 입었다. 코로나19 사태가 발발하기 이전 지난 2019년 말을 기준으로 10여 년 간 항공산업에서는 지속적인 성장세가 이어졌다. 당시 항공 운송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금융 시장에서도 항공 산업과 유관한 분야에 투자되고 있던 유동자산의 규모 역시 상당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발발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항공 운송 시장이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코로나19 사태가 발발한 직후에는 글로벌 항공 네트워크가 이전에 비해서 크게 축소되면서 대형항공사에 항공 운송이 집중되었다. 우리나라의 10개 항공사가 보유한 항공기의 수 역시 지난 2019년에는 414대였던 것에서 20...
참고 자료
김기원(2023), 세계 기업들의 ESG 경영실태 조사 : 세계적 기업들의 경영사례 비교,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자영(2022), 호텔기업의 ESG 경영이 주관적 재무성과와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모별(2023), 국내 항공사의 ESG 경영 현황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대형 항공사(FSC)와 저비용 항공사(LCC)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최근 동향과 전망, 신만희, 정책과이슈, 2021.04
에어버스 “한국 항공시장 2023년 완전 회복할 것”, 김우영, 조선비즈, 2021.10.18.
국내 항공운송산업의 현황 및 지속발전을 위한 정책제언, 최두환, 황호원, 2018.12
코로나19로 인한 항공 운송 수요 증가 당분간 지속될 듯, KITA, 2021.05.26.
코로나 1년, 항공운송 비중 역대 최고...해운 운임비 오르고 선박 수배 어려워 이중고, 김성현, 아주경제, 2021.03.16.
[코로나19가 바꾼 한국경제㉑] 항공업계, 화물사업 가능성 발견...대형항공사·LCC, 화물 수송력 강화 '액셀'. 김명현, 녹색경제신문, 2021.05.28.
코로나 이후 항공사 실적 격차 커졌다… '화물'에 울고 웃어. 박찬규, 머니S, 2021.08.19.
국내 항공사, 코로나 2년 새 보유 항공기 수 42대 감소, 손의연, 이데일리, 2021.09.22.
대한항공, ‘항공사도 코로나19 극복할 수 있다’…화물 중심으로 실적 개선, 문성준, 더밸류뉴스, 2021.09.23.
‘여행의 시간’ 준비하는 항공사, 새 ‘비상’ 전략은?, 김재섭, 한겨레, 2021.05.05.
[줌인] 구직난 허덕이는 파일럿들…항공업계 ‘포스트 코로나’ 취업난 우려, 진상훈, 조선비즈, 2021.08.02.
[대한항공-아시아나 통합]②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쟁력 키우자, 신건웅, 뉴스1, 2021.09.23.
美 항공사들 비행기·인력 보충, 포스트 코로나 대비 나섰다, 김미혜, 글로빌이코노믹, 2021.06.30.
"포스트 코로나 선제 대응"…ESG경영 강화하는 항공업계, 손의연, 이데일리, 2021.10.25.
대한항공, 2천억원 규모 ESG 채권 발행, 김재섭, 한겨레, 2021.06.25.
[문성후의 ESG 칼럼] ESG, 대한항공이 잘한다, 문성후, 뉴스투데이, 2021.09.28.
항공업계 ‘착한 발걸음’…ESG 경영 강화, 김진이, 이지경제, 2021.11.19.
[단독] "362조 플라잉카 시장 잡아라"…오너 3세들 '미래 하늘길 대전', 강경민, 한국경제, 2021.05.05.
에어택시의 미래…"사고확률 10억분의 1, 소음은 진공청소기 수준", 이유섭, 매일경제, 2021.09.16.
조종사 탄 K-에어택시…4년 뒤 서울 하늘 난다, 강갑생, 문병주, 2021.09.29
대한 항공 2000억대 ESG 채권, 아시아나 최적 연료 시스템 구축, 2022.0.20, 조병욱 기자, 세계일보, http://www.segye.com/newsView/20220314518871?OutUrl=naver
대한항공-아시아나 독점 우려에 ‘알짜’ 몽골 노선 LCC에 배분, 2022.04.14, 박효정 기자,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264OVULMU8
조원태 회장 ‘아시아나 인수합병, 혼연일체 돼 철저히 준비’, 2022.03.23, 이은영 기자, 조선일보,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2/03/23/N3AYQTMLSNGZBI3IFD3CO2WH5A/?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