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측량 개요
1.1. 평판측량의 정의와 특징
평판측량은 야외에서 거리 및 방향을 관측하여 제도용지 위에 직접 지형 및 지물을 작도하는 방법이다. 사용 장비 및 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한 측량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로 소규모 지역의 측량에 널리 이용된다. 장비가 저렴하며 취급이 쉽고, 노력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으나 현장의 기후, 측각과정의 생략으로 인한 면적 값의 부정확성 등 전체적으로 측량값의 높은 정도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번 실습에서는 현장의 장애물 및 지형변화가 있을 시 주로 사용되는 전진법을 통한 임의의 5각형을 측량하도록 한다.
1.2. 평판측량의 장단점
평판측량은 장비가 저렴하며 취급이 쉽고, 노력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으나 반면에 현장의 기후, 측각과정의 생략으로 인한 면적 값의 부정확성 등 전체적으로 측량값의 높은 정도를 기대하기 어렵다"
평판측량은 야외에서 거리 및 방향을 관측하여 제도용지 위에 직접 지형 및 지물을 작도하는 방법으로, 사용 장비 및 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한 측량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로 소규모 지역의 측량에 널리 이용된다"
2. 측량 장비
2.1. 폴 (Pole)
폴(Pole)은 측량에 사용되는 장비로, 지름 약 3cm의 목제 또는 금속제 막대기이다. 일반적으로 2m나 3m 길이로 제작되며, 목표물을 보기 쉽도록 하기 위해 막대부분을 20cm씩 적색과 백색으로 칠한다. 폴은 측점이나 측선의 방향을 명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측량 시 폴을 세워두면 목표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거리나 방향을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2.2. 쇠줄자 (Steel tape)
쇠줄자(Steel tape)는 폭 12mm, 두께 0.2mm 정도의 강철판에 눈금을 매긴 자로서, 일반적으로 길이가 30m, 50m, 100m 등으로 제작되어 있다. 평지에서 먼 거리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하는데 유용하지만,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 발생으로 인한 오차의 원인이 된다. 또한 녹슬기 쉽고 비틀림 발생 시 쉽게 파손되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쇠줄자는 측량 작업에서 거리를 측정하는 주요 장비로 사용되고 있다. 강철제로 제작되어 내구성이 높고, 눈금이 정밀하게 표기되어 있어 정확한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녹슬거나 구부러지기 쉬워 다루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레이저 거리측정기와 같은 전자식 측정 장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2.3. 앨리데이드 (Alidade)
앨리데이드(Alidade)는 "조준의"라고도 하며, 평판이 지상기준면과 평행이 되도록 하고 측선이 시준한 선의 방향과 평행하게 작도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이다.
앨리데이드는 막대 기포관을 통해 평판의 수평을 유지시켜 주며, 방향선을 그은 후 원하는 축적으로 측판 위의 용지에 작도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간접적으로 거리와 고저차를 측정하여 경사각을 구하는 등 이용범위가 넓은 측량장비이다.
평판측량의 핵심 장비인 앨리데이드는 방향선을 그어 측판 위 용지에 작도할 때 주로 사용된다. 앨리데이드를 통해 지상의 측선 방향과 측판 상의 측선이 평행하게 작도될 수 있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