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실천 현장 중 관심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현장을 홈페이지 방문하거나 직접 방문하고 방문보고서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개념과 범위
1.2.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중요성
2. 장애인 사회복지시설 두리원
2.1. 두리원 소개
2.1.1. 위치 및 시설종류
2.1.2. 연혁
2.1.3. 설립이념
2.1.4. 사업목표
2.2. 두리원의 사업 내용
2.2.1. 장애유형별 거주시설 설치 및 운영
2.2.2. 개인별 맞춤 서비스
2.2.2.1. 운동재활
2.2.2.2. 심리정서재활
2.2.2.3. 사회재활
3. 청소년복지 현장 - 강북청소년Dream센터
3.1. 청소년복지의 개념
3.2. 강북청소년Dream센터 소개
3.2.1. 기관소개
3.2.2. 센터사업
3.2.3. 시설안내
3.2.4. 주요활동
4. 개인의 사회복지 구상
4.1. 빈곤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배제 문제
4.2. 개인의 사회복지 구상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개념과 범위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개념과 범위는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실천 현장은 사회복지의 이념적 의미인 인간생활의 이상적인 상태를 달성하기 위한 조직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최일선 영역이다. 사회복지실천 현장은 사회복지서비스 영역 전반을 포괄하지만, 특히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활동들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Kahn(1973)은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을 개인적 서비스, 보호서비스, 정보/안내 서비스, 유지서비스 등 4가지로 개념화하였다. 하지만 사회복지실천 현장은 이러한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면서도,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분야에 보다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즉, 사회복지는 단순히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실천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현장인 것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실천 현장은 사회복지의 이념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조직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특히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실천적 노력이 집중되는 최일선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1.2.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중요성
사회복지실천 현장은 사회복지 이념의 달성을 위한 조직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최일선 영역이다.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실천 현장은 사회복지서비스가 실제로 제공되고 대상자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간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실시되는 다양한 활동과 서비스는 대상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기능을 회복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둘째, 사회복지실천 현장은 사회복지 이론과 실천을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는 이론 발전에 기여하고, 이론적 지식은 실천 현장에 적용되어 실천의 질적 향상을 가져온다.
셋째, 사회복지실천 현장은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한다. 사회복지사는 실천 현장에서 전문성을 발휘하고 역할을 수행하면서 사회복지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
넷째, 사회복지실천 현장은 사회복지 정책 개발의 바탕이 된다. 실천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와 요구사항은 새로운 정책 도입의 근거가 되며, 정책 시행 과정에서 현장의 피드백은 정책 수정과 보완에 활용된다.
따라서 사회복지실천 현장은 사회복지 실현의 핵심적인 공간으로서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 사회복지 이론과 실천의 연계,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 형성, 그리고 사회복지 정책 개발의 기반이 된다고 할 수 있다.
2. 장애인 사회복지시설 두리원
2.1. 두리원 소개
2.1.1. 위치 및 시설종류
두리원은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비룡로908번길 52-19에 위치한 장애인 거주시설이다. 대지면적은 540㎡, 건물 연면적 269.54㎡로 지상2층과 다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2.1.2. 연혁
두리원은 2001년 직업재활시설로 시작하여 2006년까지 개인운영 신고시설로 운영하다가 2019년에 사회복지법인 두리원으로 전환하며 현재 정원 21명이 거주하는 장애유형별거주시설로 운영하고 있다.
2.1.3. 설립이념
두리원은 장애인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직업'이라는 의지 아래 2001년 직업재활시설로 문을 열었다. 지난 20년간 장애인의 재활을 돕고 이용인의 잔존능력 개발 및 자활을 목표로 운영해왔다. 2019년 장애인 거주시설로 전환하면서 급변하는 사회복지 흐름에 맞추어 이...
참고 자료
두리원 홈페이지 (http://duriwon.co.kr/)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64879&cid=44412&categoryId=44412, 청소년복지, Naver 지식백과
http://www.gbdream.or.kr/bbs/board.php?bo_table=accomm, 강북청소년Dream센터
노혁, 빈곤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와 청소년복지정책의 방향, 미래청소년학회, 6권,3호, 2009년, pp.23-43
보건복지부, 국회입법조사처 제출자료, 2019.8.21.
보건복지부, 『2019 모자보건사업 안내』, 2019.
여성가족부, 국회입법조사처 제출자료, 2019.8.22.
여성가족부, 『2019년 한부모가족지원사업 안내』, 2019.
인구보건복지협회, 『양육미혼모의 실태 및 욕구조사』, 2018.
통계청, 『2017년 영아사망・모성사망・출생전후기사망 통계』, 2018 「사회복지실습」, 양서원, 2004
양옥경, 「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