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주 2강에서 언어 능력 평가의 사회적 영향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어떤 외국어든 외국어 시험이 학습자에게 미친 사회적 영향을 찾아 정리하고 기술해 봅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언어 능력 평가와 외국어 시험
1.1. 언어 능력 평가의 개념과 목적
1.2. 외국어 시험의 정의와 특징
2. 언어 능력 평가의 변천과 특징
2.1. 과학 이전 시기의 언어 능력 평가
2.2. 심리 측정학적 구조주의 시기의 언어 능력 평가
2.3. 심리언어학과 사회언어학적 시기의 언어 능력 평가
2.4. 의사소통적 시기의 언어 능력 평가
3. 언어 능력 평가의 사회적 영향
3.1. 국제 교류 및 문화 이해 증진
3.2. 진로 및 취업 기회 확장
3.3. 자아개발과 자신감 증진
3.4. 문화 교류와 다문화 이해
3.5. 국제 이해와 평화 유도
4. 언어 능력 평가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4.1. 교육체계와 학습 동기부여
4.2. 진로 결정과 취업 경쟁력
4.3. 문화 간 이해와 교류
4.4. 개인적 성취와 자아 존중
5. 언어 능력 평가의 공정성과 다양성
5.1. 공정성 제고를 위한 방안
5.2. 다양성 반영을 위한 노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언어 능력 평가와 외국어 시험
1.1. 언어 능력 평가의 개념과 목적
언어 능력 평가는 학습자의 언어적 역량을 평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언어 능력 평가는 다양한 방법과 도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학습자의 언어 이해 및 표현 능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 능력 평가는 학습자가 특정 언어를 얼마나 잘 구사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언어 능력 수준을 확인하고, 이에 맞는 교육 및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언어 능력 평가는 학습자의 진로 및 취업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언어 능력 평가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다양한 언어 활동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학습자의 총체적인 언어 능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강점과 약점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맞춤형 교육 지원이 가능해진다.
종합적으로 볼 때, 언어 능력 평가는 학습자의 언어 구사 능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고 진단하는 과정이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언어 능력 향상과 교육 목표 달성을 도모하는 것이 그 핵심적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 외국어 시험의 정의와 특징
외국어 시험은 특정 외국어의 이해와 사용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외국어 시험은 해당 언어의 문법, 어휘, 듣기 및 읽기 이해, 말하기 및 쓰기 능력 등을 평가하여 학습자의 외국어 역량을 측정한다"" 외국어 시험은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외국어 시험은 학습자의 언어적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단순히 암기한 지식이 아닌 실제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을 평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둘째, 외국어 시험은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 방식을 채택한다. 선다형, 서술형, 면접 등 다양한 문항 유형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셋째, 외국어 시험은 표준화된 기준과 척도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외국어 시험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인증 자격을 제공한다. 이는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공인된 기준에 따라 인정받을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외국어 시험은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종합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국제적인 인증을 제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언어 능력 평가의 변천과 특징
2.1. 과학 이전 시기의 언어 능력 평가
과학 이전 시기의 언어 능력 평가는 외국어 번역, 언어 구조 분석, 어휘 등이 주를 이루었으며, 교사의 주관적이고 비과학적인 평가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이 시기의 언어 능력 평가는 의사소통을 위한 구어의 중요성이 거의 무시되었고, 시험문제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부족한 초기 단계였다"" 학습자들은 교사에게 잘 보이기 위해 노력해야 했으며, 평가 결과에 대한 믿음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2.2. 심리 측정학적 구조주의 시기의 언어 능력 평가
이 시기에는 언어 능력 평가가 심리 측정학적 구조주의 접근을 취하게 되었다. 어휘, 발음, 문법 등을 세분화한 객관식 선다형 문항이 많이 사용되면서 객관적이고 통계적인 평가가 가능해졌다. 따라서 평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평가 방식에는 한계가 있었다. 지나치게 분석적이고 객관식으로 제작된 문항들이 단순해, 학습자의 종합적이고 고차원적인 언어 구사 능력을 체계적으로 측정하지 못했다. 또한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 사용의 실제 상황을 왜곡시킨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처럼 심리 측정학적 구조주의 시기의 언어 능력 평가는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었지만, 언어 능력에 대한 제한적이고 단편적인 평가에 그쳤다고 볼 수 있다. 평가 도구의 단순성으로 인해 학습자들은 단순 암기로도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실제 언어 구사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2.3. 심리언어학과 사회언어학적 시기의 언어 능력 평가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언어 평가에 대한...
참고 자료
지현숙, 『한국어평가론』, 서울 : 한글파크, 201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능력평가론』,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
위키백과 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B%8C%80%EB%AC%B8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24568&cid=46615&categoryId=46615
신상근, 2004, 외국어 시험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평가도구의 목적과 사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김광조, 1997, 정보산업사회에서의 외국어 교육, 인제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이근님, 2001, 제 2외국어 교육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지현숙, 『한국어평가론』, 서울 : 한글파크, 201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능력평가론』,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