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프로이트와 융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프로이트와 융의 이론 비교
2.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2.2. 융의 분석심리학
3. 프로이트와 융의 공통점과 차이점
3.1. 공통점
3.2. 차이점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정신분석학에 있어서 융과 프로이트는 떨어질 수가 없는 불가분의의 관계로 아직 계속 그의 이론들은 활용이 되어지고 있다. 프로이트는 1차대전 후에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기 시작하였으며, 정신 분석학은 정신 의학 혹은 사회 과학 뿐 아니고 문학, 교육, 윤리학, 미술과 같은 분야에서 또한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다. '잠재의식' 혹은 '자아'라는 말은 일상적 말이 되었다. 많은 인간들은 아동이 성적인 속성을 갖고 있다라는 주장에 충격을 받았으며, 정신 분석 이론에 대한 공격은 프로이트의 생애 동안에 계속 되었다. 게다가 융과 아들러와 같은 정신분석학의 리더가 프로이트의 이론에 반박을 하?瀏 프로이트는 자기의 명성에 손상을 입히게 되었다. 에릭슨은 1902년에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났으며 Karlsruhe에서 자라났다. 그의 방랑벽이랑 욕망은 형식적 학교생활으로부터 떠나서 그를 예술가로써 이끌었다. 여러 해의 방랑과 예술공부와 그리고 아이들 초상화를 그리는 것 이후에 에릭슨은 예술과 Freudian Training을 위해서 비엔나에서 온 미국 사람들의 아이들을 가르치게 되었다. 활발한 프로이트학의 모임에서 이와 같은 우연한 참가로 비엔나에서 정분석을 시작하였다.
2. 프로이트와 융의 이론 비교
2.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정신분석이론은 인간의 정신세계에 대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무의식에 초점을 두며 무의식적인 공격적·성적 충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갈등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한 이론이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의 특징으로는...
참고 자료
최옥채 외 공저(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정옥분(2014), 발달심리학 (전생애 인간발달), 학지사
이희자 외 공저(2010), 아동발달, 신정
이정서 저(201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동문사
김희수 저(2010), 교육심리학, 신정
곽금주 외 공저(2006), 아동발달 심리학, 박학사
김정훈ㆍ조인상 외 1명(20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파워북
정옥분(2019), 발달심리학 (전생애 인간발달), 학지사
천정웅ㆍ오정아 외 3명(20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