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주 교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일동장유가 소개
1.1. 일동장유가의 개요
1.2. 일동장유가의 구성
2. 봉수형 유리병
2.1. 봉수형 유리병 개요
2.2. 봉수형 유리병 특징
2.3. 봉수형 유리병의 복원
3. 반가사유상
3.1. 반가사유상 개요
3.2. 반가사유상의 특징
3.3. 반가사유상의 유래
4. 신라문화의 국제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일동장유가 소개
1.1. 일동장유가의 개요
일동장유가는 조선 후기에 김인겸이 지은 기행가사로, 조선 영조 때 조엄이 일본에 사신으로 갈 때 작가가 그의 수행원으로 따라갔다가 일본에서 보고 느낀 점들을 기록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4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권에서는 서울을 출발하여 용인, 충주, 문경, 예천, 안동, 영천, 경주, 울산, 동래를 거쳐 부산에 이르는 과정을, 제2권에서는 부산에서 배를 타는 상황부터 대마도, 일기도, 축전주, 남도를 거쳐 적간관에 도착하는 상황을, 제3권에서는 오사카, 교토, 오다와라, 시나카와를 거쳐 에도에 들어가는 상황을, 제4권에서는 부산에 귀환한 후 서울에 와서 영조께 복명하는 상황을 기록하고 있다.
일동장유가는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기행 가사로 평가받고 있으며, 작가의 평범한 정신을 잘 엿볼 수 있는 한글로 된 장편 기행 가사이다. 이 작품은 일본으로 떠나는 상황에 대해 생생하게 기록하고 있어, 당시 조선과 일본의 외교 상황과 친선 사절단의 규모를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임진왜란 이후의 일본에 대한 좋지 않은 감정도 솔직하게 드러내고 있어, 외교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2. 일동장유가의 구성
일동장유가의 구성은 모두 4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권은 서울을 출발하여 용인, 충주, 문경, 예천, 안동, 영천, 경주, 울산, 동래를 거쳐 부산에 이르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제2권은 부산에서 배를 타는 상황부터 대마도, 일기도, 축전주, 남도를 거쳐 적간관에 도착하는 상황을 기록하고 있다. 제3권은 오사카, 교토, 오다와라, 시나카와를 거쳐 에도에 들어가는 상황을 기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4권은 부산에 귀환한 후 서울에 와서 영조께 복명하는 상황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동장유가는 작가의 일본 여행 과정을 순서대로 4권의 가사 형식으로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2. 봉수형 유리병
2.1. 봉수형 유리병 개요
봉수형 유리병은 경주 대릉원에 있는 고분 중에서 규모가 매우 큰 황남대총 남분에서 발굴된 국보급 문화재이다. 1973년부터 1975년까지 2년간 발굴이 이루어졌으며,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에서 1980년도에 이 유물을 보존처리하였다. 황남대총에서는 봉수형 유리병을 포함한 많은 이국적인 유리제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봉수형 유리병은 당시의 신라 문화와 장식기법과 다른 디자인 방식인 지중해 연안에서 유행하던 로만 글라스(Roman glass)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이를 통해 신라에서 출토된 유리용기의 수입 경로는 실크로드를 거쳐 서역으로부터 수입된 것으로 볼 수 있고, ...
참고 자료
우리역사넷. “3) 통일신라시대 미술의 특성” , 국사편찬위원회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01_0050_0050_0030 (참고일: 2021.05.01)
봉수형유리병, 반가사유상 사진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황현성, “이국적인 아름다움, 황남대총 출토 봉수형 유리병”.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93호 봉수형 유리병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view?relicRecommendId=519881' . (참고일:2021.04.19)
배한철 기자, “다시 살아난 페르시아 유리병…국보 193호 ‘봉수형유리병’”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14/12/1494767/ . 『매일경제』 2014. 12. 04
황현성, 윤은영, “국보 제193호 봉수형 유리병 금사의 특성과 제작기법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2015. 3. 31
유튜브, 국립중앙박물관 National Museum of Korea “[보존과학부]봉수형 유리병의 복원 Restoration of the Phoenix-shaped Glass Bottle. ”https://www.youtube.com/watch?v=AjHBcyvMBXg 2020. 6. 16
유튜브, 클래스로그 “[삼국시대] 역사채널e - 신라 무덤에서 나온 로마 시대의 봉수형유리병” https://www.youtube.com/watch?v=oMuzc2mkn24, 2019. 9. 5
손호성, “고분유물을 통해 본 신라의 대외교류 / External exchange of Silla on the tomb artifacts”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이영희. “실크로드의 遺寶”,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6,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674963 (2005)
권강미, “국보 83호 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참고일:2021.04.19)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view?relicRecommendId=16866
문명대, “국보 83호 삼산보관형 금동미륵반가사유상의 새로운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p273-294, (2020.12)
네이버 지식백과.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KBS 천상의 컬렉션 (참고일: 2021.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