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질향상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질 향상(QI) 활동의 개요
1.1. 질 향상 활동이란?
1.2. 질 향상 활동 과정
1.2.1. FOCUSPDCA
1.2.2. 식스 시그마
2. 간호단위 QI 활동 사례
2.1. SBAR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의료진간 의사소통 증진
2.1.1. 문제 발견
2.1.2.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2.1.3. 문제 분석
2.1.4. 개선 전략
2.1.5. 활동 효과
3. 낙상 예방 QI 활동 사례
3.1. 주제 선정 배경 및 활동 목적
3.2. 팀 구성 및 활동 계획
3.3. 자료 수집 및 문제 분석
3.4. 목표 설정
3.5. 개선 활동 수립 및 수행
3.6. 성찰일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질 향상(QI) 활동의 개요
1.1. 질 향상 활동이란?
질 향상 활동(QI)이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서 의료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의료 질이란 복잡하고 다면적이며 적절한 치료적 목표 달성과 위험 및 위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의료의 질을 Donabedian이 주장한 '효능, 효과, 적정 수준, 수용성, 합법성'로 정의를 내리고 있다. 양질의 의료를 위한 3가지 요소는 기술적 요소, 대인관계 요소 그리고 편의와 쾌적 요소가 있다. 이외에도 의료 질의 영역으로 구조, 과정, 결과가 있다. 구조는 진료의 수단과 여건으로 물리적 구조, 시설, 장비 등을 말한다. 두 번째로 과정은 환자를 치료하는 중 의료인의 진료행위와 환자의 진료구축 행위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결과는 진료의 효과와 진료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다. 의료 질 향상 활동은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업무과정과 시스템을 개선시키는 구조적 활동이다. 질 향상 활동을 통하여 의료 질을 향상시키게 된다면 병원의 비용은 절감하고 환자의 만족도는 상승하게 된다."
1.2. 질 향상 활동 과정
1.2.1. FOCUSPDCA
FOCUSPDCA는 우리나라 병원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질향상 활동 과정이다. FOCUSPDCA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F(focus)는 개선활동이 필요한 활동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다. 개선 활동의 실행 도중에 적절한 문제를 가려내어 집중적으로 다루어야 할 것을 결정한다.
O(organize)는 여러 구성원이 모여 팀을 구성하는 것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 관련된 구성원들이 모여 팀을 구성하여 함께 활동한다.
C(clarify)는 자세한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찾는 것이다. 상황을 명확히 파악하고 정확한 문제점을 찾아내는 단계이다.
U(understand)는 현재 상황의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문제점의 원인을 찾아내어 이해하고자 한다.
S(select)는 우선순위에 따른 개선 전략을 세우는 것이다. 다양한 개선 전략 중에서 효과적이고 우선순위가 높은 전략을 선택한다.
P(plan)는 개선전략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선택한 개선 전략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D(do)는 개선전략을 실행하고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계획에 따라 개선 전략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제시한다.
C(check)는 개선 결과 목표 도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개선 활동의 결과가 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한다.
A(action)는 미래 진행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향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앞으로의 진행 방향을 결정한다.
1.2.2. 식스 시그마
식스 시그마는 모든 과정에서 결함을 제거하고 목표로부터 이탈을 최소화해서 이익창출과 고객 만족을 최대화하려는 전략이다. 식스 시그마 활동은 문제의 정의, 측정, 분석, 개선, 관리의 5단계로 진행된다.
첫째, 문제의 정의 단계에서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현재 성과수준을 파악한다. 둘째, 측정 단계에서는 공정능력을 평가하고 데이터를 수집한다. 셋째, 분석 단계에서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결함의 근본 원인을 파악한다. 넷째, 개선 단계에서는 개선 솔루션을 개발하고 시험해본다. 마지막으로 관리 단계에서는 개선 성과를 표준화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식스 시그마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방식을 통해 공정의 결함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며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료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의료오류 감소, 재입원율 감소, 고객만족도 향상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2. 간호단위 QI 활동 사례
2.1. SBAR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의료진간 의사소통 증진
2.1.1. 문제 발견
간호사의...
참고 자료
신명진 이희정, 김영미, 정두련, '손씻기 증진 프로그램이 의료진의 손씻기 수행률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성심병원.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http://www.cdc.go.kr/
임영희 등. 간호관리학. 개정 7판. 경기도: 수문사; 2020. p598-607
『 SBAR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의료진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증진』 : 경희대학교병원 ; 2015
http://www.hira.or.kr/images/11/newsletter/qinews1512/qi_sub201512_04.html
정면숙 외(2020), 알기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관리학 제 4판, 현문사.
병원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소중한 행동지침,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sbe-zWmePCA.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낙상 사고 예방을 위한 행동지침 <성인>, https://www.cmcujb.or.kr/page/board/hospital_life/456878?p=1&s=10&q=%7B%7D.
대한비뇨의학회, 2020년 환자안전 통계연보 발간 안내, https://www.urology.or.kr/rang_board/list.html?num=15656&start=45&code=no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