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High Scope 프로그램의 이해
1.1. High Scope 프로그램의 배경 및 이론적 기초
High Scope 프로그램의 배경 및 이론적 기초는 다음과 같다.
High Scope 프로그램은 1990년대 미국 미시간주 입실란티의 저소득층 아동을 지원하기 위한 인지지향적 교육과정에서 시작되었다. 1950~1960년대 미국에서는 저소득층 가정의 자녀들이 초등학교부터 낮은 성적을 만회하지 못해 대학교육에 진입하기 어려워 빈곤이 대물림되는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었다. 전문가들은 이들 아동의 지적 결핍과 문화적 결핍을 보상해 줄 교육이 필요하다고 진단했으며, 이에 따라 저소득층 가정의 영유아에게 인지적 학습을 제공하기 위해 High Scope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High Scope 프로그램은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기초하여 "능동적 학습"을 기본 전제로 삼고 있다. 즉, 유아는 능동적인 학습자로서 경험을 통해 스스로 지식을 구축해 나가는 능력을 가진 존재이며,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사물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 그리고 이에 대한 논리적 사고 등을 통해 지식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High Scope 프로그램은 교사와 유아를 모두 능동적인 존재로 보는 개방체제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High Scope 프로그램을 개발한 와이카트는 1962년부터 30여 년에 걸친 종단 연구를 통해 이 프로그램의 효과와 효율성을 입증했다. 이후 1998년 이후 세계 각국에서 적용,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2004년에 High Scope 시범학교가 개원하였다.
1.2. High Scope 프로그램의 교육목표
High Scope 프로그램의 교육목표는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을 돕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존의 High Scope 프로그램은 사회성 발달보다 인지발달에 중점을 두었지만, 현재의 프로그램은 아동의 인지발달 뿐만 아니라 전 영역의 발달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사건, 개념 등과 관련된 학습에 의욕적으로 참여하는 자세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앞으로 펼쳐질 학교생활, 더 나아가 인생을 대하는데 필요한 독립성, 책임감, 자신감을 고취하도록 돕는다. 셋째, 아동 스스로 행동을 계획, 이끌어 나가며 학습한 내용을 또래 및 교사와 이야기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넷째, 언어능력(말하기, 듣기, 쓰리, 읽기), 사회성, 창의적 표현, 건강한 신체, 논리적 사고력을 습득하도록 돕는다.
이와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