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분석이론에서의 방어기제에 관하여 정리한 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정신분석이론에서의 방어기제
2.1. 방어기제의 개념
2.2. 방어기제의 종류
3. 방어기제의 영향
3.1. 긍정적인 영향
3.2. 부정적인 영향
4. 내가 사용하는 방어기제
4.1. 분산기제와 부전제
4.2. 합리화
4.3. 투사
4.4. 고착
5. 방어기제 사용의 균형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방어기제는 정신분석이론에서 나타난 개념으로, 현실에서 불안과 스트레스 등의 정서적 충격으로부터 인간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어기제들은 인간의 심리적 안정에 큰 역할을 하며, 일상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것들이 많다. 본 레포트에서는 정신분석이론에서의 방어기제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고, 필자가 주로 사용하는 방어기제와 그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방어기제의 개념과 활용 양상을 이해하고, 나아가 보다 적절한 방어기제 사용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 정신분석이론에서의 방어기제
2.1. 방어기제의 개념
방어기제의 개념은 프로이트의 딸 안나 프로이트에 의해 처음 등장한 용어로, 자아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속이거나 상황을 다르게 해석하여 감정적 상처로부터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자아 방어전략이다. 개인은 현실에서 겪는 불안감, 갈등, 스트레스 등의 정서적 충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어기제를 통해 현실을 왜곡하거나 자신을 속이면서 자신의 자아를 보호하고 정서적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방어기제는 인간의 심리적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2.2. 방어기제의 종류
안나 프로이트는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어기제의 방법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억압(repression)은 견디기 힘든 감정을 무의식적으로 억누르는 것으로 충격적인 사건을 겪은 후 그 기억을 상실하는 것이다"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감정과 반대로 행동하는 것으로, '미운 놈 떡 하나 더 주기'가 그 예이다"
퇴행(regression)은 자신의 불안과 갈등에서 벗어나기 위해 과거의 발달 수준으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어린 아이가 동생이 태어나 부모의 관심이 동생에게 쏠리는 경우 대소변을 못 가리게 되는 것이 그 예이다"
격리(isolation)는 어떤 사건과 그 사건에 동반되는 감정을 분리시킴으로써 그 감정을 불러일으키지 않으려는 것으로, 연인과 헤어지고 그 당시에는 슬픔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그 예이다"
취소(undoing)는 이미 했던 행동에 죄책감을 덜기 위해 하는 속죄행동으로, 사소한 잘못을 한 아이를 지나치게 야단치고 아이를 다시 안아주는 경우나 살인을 저지르고 강박적으로 손을 씻는 경우가 그 예이다"
투사(projection)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충동이나 욕구를 다른 사람에게 돌려 그 사람이 그 충동이나 ...
참고 자료
김진성, 김상희.(2023).프라이버시 위협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심리적 통제 과정에 관한 연구: 방어기제를 중심으로.대한경영학회지,36(2),305-328.
한상희, 신동열. (2016). 상담가의 방어기제 사용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 21, 7(3), 673-690.
정신과학 1, 장수환,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2.
정신건강의 이해,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2015.
심리치료학, 이상우, 학지사, 2017.
아동상담론 교안
부정적인 생각 회피… 정신건강에 좋을까, 안좋을까, 헬스조선, 이슬비,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9/21/2023092102763.html
현명한 직장인은 성숙한 방어기제로 고난에 대처한다, 매일경제, 유재천,
https://www.mk.co.kr/news/society/8851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