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황제내경의 영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의학의 역사
1.1. 동의보감
1.2. 동의수세보원
1.3. 한의학의 근현대 변화
2.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비교
2.1. 한의학의 장점
2.2. 서양의학의 장점
2.3. 한의학의 단점
2.4. 서양의학의 단점
3. 한의학 발전을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의학의 역사
1.1.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1610년 조선 시대 대표적인 의학자 허준에 의해 편찬된 의학 고전이다. 동의보감이 갖는 의의와 중요성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동의보감은 병났을 때의 치료보다 병을 예방하거나 건강을 추구하는 양생의 정신을 강조하였다. 이 책은 중국에서 별개의 전통으로 내려오던 의학과 양생의 전통을 하나로 합쳐냈다. 병의 치료와 예방, 건강도모를 같은 수준에서 고려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둘째, 동의보감은 기존 중국과 조선의학의 핵심을 잘 정리하였다. 허준은 중국의 한나라에서 명나라에 이르는 200여 종의 문헌과 조선의서를 참고한 내용을 자신의 학식과 경륜에 결합하여 동의보감 안에 녹여내었다. 또한 의학의 경전인 『영추(靈樞)』와 『소문(素問)』의 정신에 따라 의학의 줄기와 가지를 잡고, 다양한 학설과 처방을 병의 증상·진단·예후·예방법 등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셋째, 동의보감의 뛰어난 편집 방식이다. 목차 2권은 오늘날 백과사전의 색인 구실을 할 정도로 상세하며, 본문의 관련 내용끼리는 상호 참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참고한 자료의 인용처를 일일이 밝힘으로써 원(原) 저작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인용 대목이 갈리는 곳은 'O'를 쳐서 구별하고, 제목과 본문 내용을 큰 활자와 작은 활자를 써서 쉽게 구별하도록 하였다.
이처럼 동의보감은 의학의 경전과 조선의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한의학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이를 통해 한의학이 체계적인 학문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1.2. 동의수세보원
이제마는 1837년에 태어나 1894년에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을 편찬하였다." 『동의수세보원』의 의의와 평가는 다음과 같다.
이제마는 1백여 년 전에 사상체질론(四象體質論)을 제창하여 원리(原理)·생리(生理)·병리(病理)·체질감별(體質鑑別)·진단(診斷) 및 사상체질에 맞는 약물선택과 치료방제조성 등 모든 것을 창도(創道)하였다. 또 『동의수세보원』을 저술함으로써 동의임상(東醫臨床)의 새로운 분야가 우리나라 의자(醫者)에 의하여 개척된 것이다.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태음인·소양인·소음인으로 나누고, 같은 병이라도 체질에 맞게 약을 써야 한다는 사상의학은 전인미답의 처녀지를 개척한 신학설이다. 사상의학의 현묘한 학리, 간편한 운용, 경이적인 영효(靈效)에 수긍하게 되어 의계(醫界)의 대세는 사상권(四象圈) 안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1.3. 한의학의 근현대 변화
한의학의 근현대 변화는 다음과 같다.
1906년 同濟學校 설립 이래로 지지부진하게 이어졌던 한의학 학교 교육이 ...
참고 자료
흠정사고전서 자부 오 의가류 53, 대성문화사, 난대궤범, 서영태(徐大椿) , 페이지 393-395
이도규 원장의 우리 몸 사용 설명서
사상체질 건강백과
체질과 인간유형을 알면 사람 만나는 것이 즐겁다. 박영규 지음 북하우스
[네이버 지식백과] 동의수세보원 [東醫壽世保元]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네이버 지식백과] 동의보감 [東醫寶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한의학 연구원
명상한의학 : http://meditation.co.kr/goldencrow/goldencrow_frame.htm
OK한방병원 : http://www.okmedi.net/hanmedi.asp
알기 쉬운 우리의 한의학, 대한한의사협회, 1993
즐거운 한의학 여행, 서울특별시 한의사회, 강서구 한의사회 편집위원회 편, 2001
[한의학이란?], 문찬기(광주 경희한의원장), 2002